1.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
원가계산은 생산방식(methods of production)이나 생산형태에 따라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으로 구분된다. 이 분류방법은 가장 기본적인 원가계산방법이다.
개별원가계산(job order costing)은 다른 종류의 상품을 개별적으로
생산하거나 주문생산하는 업종에 적합한 방법으로 각 제조지시서별로 원가를 산정하므로 제조지시서별원가계산이라고 한다. 이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제조간접비를 합리적으로 배분하는 것이다.
종합원가계산(process costing)은 동종 또는 이종의 제품을 연속하여
반복생산하는 업종에 적합한 방법으로 일정기간에 제품제조에 소비된 모든원가요소를 집계하여 제품원가을 구한다. 이 방법에서 중요한
것은 기말재공품원가를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다.
2. 실제원가계산·정상원가계산·표준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시의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제조간접비, 종합원가계산시의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집계할 때 사용되는 원가개념에는 원가계산목적에 따라 실제원가, 정상원가, 표준원가가 있다. 실제원가는 기발생한 과거원가이고, 정상원가는 정상상태하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추정원가이다. 표준원가는 과학적으로 산정한 원가이다.
이에 따라 원가계산은 실제원가계산, 정상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으로 구분된다.세 가지 원가계산 모두가 재무보고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표준원가계산은 여기에 부가하여 원가관리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실무에서 엄격한 실제원가계산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정확한 단위원가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무에서는 정상원가계산이널리 사용된다.
3. 전부원가계산과 직접원가계산
원가는 조업도의 변동에 따라 원가총액이 변동하는 변동비와 변동하지 않는 고정비가 있다. 원가를 분해하여 변동비만을 제품원가에 포함시키는 원가계산방법을 직접원가계산이라고 한다. 반면에 원가를
분해하지 않고 변동비와 고정비 전체를 제품원가에 포함시키는 원가계산방법을 전부원가계산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재무보고목적에는
전부원가계산이 사용되고 있고, 직접원가계산은 원가-조업도-이익분석과 같은 경영계획 및 통제목적에사용된다. 직접원가계산을 변동원가계산 또는 부분원가계산이라고 하며, 전부원가계산을 흡수원가계산이라고 한다.
4. 원가계산유형의 결합
원가계산의 기본적인 방법은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으로 구분되고,이때 적용되는 원가개념에는 (1) 전부원가와 변동비, (2) 실제원가, 정상원가, 표준원가가 있다. 실제로 기업은 여러 가지 생산형태를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이 혼합된 원가계산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5. 요소별원가계산-재료비
제품원가계산은 요소별원가계산, 부문별원가계산, 제품별원가계산의
단계를 거치는데, 요소별원가계산은 재료비계산(직접재료비계산), 노무비계산(직접노무비계산), 경비계산(제조간접비계산)으로 구분된다.
5.1. 재료비의 의의와 분류
제품은 재료(또는 원재료)를 노동력과 생산수단을 이용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재료가 가공중에 있을 때를 재공품(미완성품)이라 하고, 가공이 끝난 상태에 있을 때를 제품(완성품)이라고 한다. 재료, 재공품, 제품은 모두 대차대조표상의 재고자산이다. 재료가 제품제조를
위해 소비되었을 때이를 재료비(재료원가)라고 한다. 이때의 재료비는 재료의 소비량에 소비단가를 곱하여 계산한다.
재료비는 제품에의 추적가능성에 따라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로
구분된다. 이 구분은 개별원가계산의 경우에 중요하다. 직접재료비는
특정 제품의 제조지시서별로 부과되고, 간접재료비는 제조간접비(공통비)로써 인위적인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된다.
5.2. 재료소비량의 계산
재료소비량의 계산방법에는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역산법 등이 있다.계속기록법은 기중에 재료의 입·출고가 있을 때마다 재료원장에 기록을계속해 나감으로재료매입액, 재료소비액(재료출고액), 재료잔액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기초재료재고액에
당기재료매입액을 합계한 금액에서 당기재료소비액(= 재료비)을 차감함으로써 기말재고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실지재고조사법(실사법)은 원가계산기말에 실지재고조사를 실시하여
기말재고량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기초재료재고액에
당기재료매입액을 합계한 금액에서 기말재고량를 차감함으로써 당기재료소비액(= 재료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형식은 제조원가명세서상의 재료비계산 형식과 같다.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병용함으로써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병용하게 되면 장부상의 잔액과 실지재고액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부상의 잔액보다 실지재고액이 적은 경우가 많은데 이를 재료감모손실(재고자산감모손실)이라고 한다.
장부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을 적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추정법을 사용한다. 즉, 제품단위당 표준소비량을 결정하고 여기에 생산량을 곱하여 재료소비량을 산출하는 방법이 사용되는 데 이를 역계산법이라고 한다.
5.3. 재료소비가격의 계산
소비된 재료의 매입가격은 물가가 변동하는 경우 매입시점에 따라 달라질수 있다. 이런 경우 소비된 재료의 어떤 매입가격을 적용할 지가
문제가 된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실제로 소비된 재료의 매입가격을 소비가격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개별법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비용과 노력이 과대하게 투입되어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정한 원가흐름가정하에 재료소비가격을 결정하게 된다.
이 때 사용되는 방법에는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총평균법, 이동평균법 등이 있다.
선입선출법은 먼저 매입한 것을 먼저 출고하여 소비한다는 가정에 따라 재료소비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에 정반대되는 방법으로는
후입선출법이 있다 이 방법은 최근에 매입한 것을 먼저 출고하여 소비한다는 가정에 따라 재료소비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재고자산가액과 매출원가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물가상승시에 선입선출법을 사용하면 매출원가는 낮은 가격으로 결정되어 당기순이익이 과대계상되고, 재고자산가액은
과대평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반면에 후입선출법을 사용하면 매출원가는 높은 가격으로 결정되어 당기순이익이 과소계상되고, 재고자산가액은 과소평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총평균법과 이동평균법은 가중평균법의 일종들이다. 총평균법은 기초재료 재고액에 당기재료매입액을 합계한 금액을 기초재료재고량에
당기재료 매입량을 합계한 수량를 나누어 총평균단가를 구하고 여기에 소비수량을 곱하여 재료소비가격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이동평균법은 재료매입시마다 재료원장의 잔액과 매입된 재료의 가중평균단가를 구하여 이를 소비재료의 출고단가로 하여 재료소비액을 구하는
방법이다.
선입선출법과 후입선출법은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총평균법은 실지재고조사법하에서만 사용가능하고, 이동평균법은 계속기록법하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입선출법하에서는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간의 재고자산가액과 매출원가가 다르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