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 파트리치오 주교, 선교사(3.17)◀
1. 가토릭 굿 뉴-스 성인록 ▷
성인명: 파트리치오 (Patrick)
축일: 3월 17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주교, 선교사
활동지역: 아일랜드(Ireland)
활동연도: 389?-493년
같은이름: 바드리시오, 빠뜨리시오, 빠뜨리시우스, 빠뜨리치오, 빠뜨리치우스, 파트리시오, 파트리치우스, 파트리키오, 파트리키우스, 패트릭
♧♧♧♧ T ♧♧♧♧ T ♧♧♧♧
성인설명 :
• 로마제국의 브리튼(현재의 영국) 식민지에서 지방의회 의원이었던 귀족 칼푸르니우스(Calpurnius)와 콘체사(Concessa)의 아들로 태어난 성 파트리키우스(Patricius, 또는 파트리치오)는 389년경 스코틀랜드 던바턴(Dunbarton) 근처 킬패트릭(Kilpatrick)에서 태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 그는 16세 때에 아일랜드 해적들에게 붙잡혀 노예로 팔려가 북아일랜드의 앤트림(Antrim)에서 6년 동안 양치기 생활을 하였는데, 이 기간 동안 열정적인 신앙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던 중 꿈 속에서 천사의 목소리를 듣고 용기를 내어 탈출한 그는 200마일이 넘는 길을 헤맨 끝에 킬랄라(Kilala) 만에 도착하였고, 그곳에서 항해 준비를 마치고 있던 배를 만나 우여곡절 끝에 집으로 돌아왔다.
· 성 파트리키우스는 자신이 경험한 노예 생활을 자신의 회개를 위한 기간이자 앞으로의 사도직을 위한 하느님 섭리의 준비 기간으로 생각하였다.
왜냐하면 이 경험을 통해 아일랜드에 신앙을 전하고 싶다는 열망이 자라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명에 따라 그는 갈리아(현재의 프랑스) 지방으로 가서 오세르(Auxerre)의 성 게르마누스(Germanus, 7월 31일) 주교를 찾아가 사제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으며 4년 동안 머물렀고, 그로부터 사제품을 받았다.
그는 아일랜드를 회개시키려는 열망을 계속 간직하고 있었는데, 마침내 교황청으로부터 그 임무를 맡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432년경에 성 게르마누스 주교로부터 주교품을 받고 435년 3월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아일랜드인들을 위한 초대주교였던 성 팔라디우스(Palladius, 7월 7일)를 계승하였다.
· 그는 그리스도교에 대하여 적개심을 품은 수많은 원주민 추장들과 과감하게 만났고, 대개는 기적적인 방법으로 그들을 회개시킴으로써 섬 전체에 그리스도교의 뿌리를 깊이 내렸다.
그는 442년과 444년에 로마(Roma)를 방문하였고 아마(Armagh) 대성당을 세워 아일랜드 선교 활동의 본거지로 삼았다.
아일랜드에서 보낸 40년간의 활동에서 그는 학문의 기풍을 진작시키고, 라틴어 공부를 비롯하여 아일랜드를 서방교회와 아주 가깝게 만든 공로자가 되었다.
그는 하느님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기록한 영적 자서전인 "고백록"(Confessio)을 썼는데 그것은 일종의 호교서이기도 하다.
· 성 파트리키우스는 493년 3월 17일 처음으로 성당을 지은 아일랜드의 다운패트릭(Downpatrick)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상징은 뱀과 토끼풀이다.
전설에 의하면, 그가 아일랜드에 있는 뱀들을 바다 속으로 몰아내어 없애 버렸다는 것과 그가 어떤 미신자에게 한 줄기에 잎사귀가 3개 달린 토끼풀을 가지고 삼위일체 교리를 설명하였다는 이야기에서 기인한다.
그래서 아일랜드인들은 성 파트리키우스를 기념하는 성 패트릭 데이(Saint Patrick's Day)에 국화인 토끼풀을 옷깃에 달고 녹색 옷을 입는다.
ㅡㅡTㅡ♥ㅡTㅡㅡ
2. 한국재속프란치스코회 성인록 ▷
< 3월17일 성 파트리치오 주교 >
......... (안젤라 | 2010.03.15 Ud.)
▷ 축일:3월17일
< 성 파트리치오 >
- ST. PATRICK
- St. Patricius, Episc et Confess
- San Patrizio Vescovo
(注: - 성 패트맄.
- 고백록?의 주교, 성 파트리치우스.
- 성 파트리치오 주교)
- 387-390 at Scotland as Maewyn Succat - 461-464 at Saul, County Down, Ireland
(注: - 387-390 년간에 스코트랜드에서 마윈 스코트란 이름으로 출생 - 461-464 년간에 아일랜드 카운티 다운의 사울에서 사망)
- Canonized :Pre-Congregation
(注: - 시성: 공식 시성없이 전례적 공경)
- Patrizio = di nobile discendenza, dal latino = of noble descendancys, from the Latin
(注: - 파트리치오 = 라틴계의 고귀한 혈통 = 라틴계의 고귀한 자손들)
- Name Meaning :warlike (Succat - pagan birth name); noble (Patricius - baptismal name
(注: - 이름 의미 : 호전적 (Succat - 이교도 출생 이름); 귀족 (Patricius - 침례교의 이름))
* 위(注: '18.3.17 일 - 아타시 韓 譯)
• 385년 영국에서 태어났다.
청년 시절 아일랜드에 노예로 잡혀가 목동으로 일하게 되었다.
거기서 자유를 얻자 사제가 되기를 원했다.
아일랜드의 주교가 된 후 지칠 줄 모르고 복음을 전하여 많은 사람들을 신앙에로 귀의시켰다.
또한 아일랜드 전국의 교회를 조직화하였다. 461년 다운 패트릭에서 세상을 떠났다.
▷ 성 빠뜨리시오 주교의 [고백록] 에서
(Cap. 14-16: PL 53,808-809)
• 나를 통하여 많은 사람들이 하느님 안에서 다시 태어났습니다.
시련의 날에 나를 충실히 지켜 주시어 지금까지 겪어 온 모든 곤경 속에서 보호해 주신 내 주 그리스도께 오늘 내가 내영혼의 산 제물을 바치게 된 데 대하여 하느님께 끊임없이 감사를 드립니다.
그래서 나는 이제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주여, 제가 누구이며 제 소명이 무엇이기에 그렇게도 엄청난 천상 은총을 입혀 주셨습니까?
당신은 제가 이교인들 가운데서 기뻐 용약하며
일이 잘 안될 때나 잘될 때나 당신 이름을 전파하는 것을 허락해 주셨습니다.
또 당신은 그 어떤 일이 생기더라도 그것을 똑같은 마음으로 받아 들일 수 있는 흔들리지 않는 신앙을 주시고
제 청을 잘 들어 주시는 당신께 감사 드려야 한다는 것을 깨우쳐 주셨습니다.
그리고 당신은 무지한 인간인 제가 당신이 예언하신 대로 이교인들 앞에 주님의 증인으로서
복음을 전파한 분들을 본받아 이 시대에 그렇게 놀랍고도 거룩한 일을 할 능력을 저에게 베푸셨습니다."
내 나이조차 모르고 하느님의 단맛도 몰랐던 나에게 그전에 없었던 이 지혜는 어디서 생겨났습니까?
내가 하느님을 알게 되고 사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아일랜드에 와서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본국과 가족을 떠날 수 있게 된 이 크나큰 은혜는 어디서 왔습니까?
그리고 내가 내 인간적 약점을 체험하기 위해 이교인들로부터 모욕을 당하고 사슬에 매일 정도까지 수많은 박해를 견디어 내어
마침내 다른 이들의 유익을 위해 내 목숨을 바칠 수 있게 된 그 힘은 어디서 왔습니까?
하느님께서 내가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인정하시고 허락해 주신다면 서슴지 않고 기꺼이 그분의 이름을 위해
목숨까지 바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죽을 때까지 그 이름을 위해 내 생명을 모두 소비하고 싶습니다.
사실 나는 하느님께 너무도 큰 은혜를 입고 있습니다.
그분은 나를 통하여 많은 민족들이 하느님 안에서 다시 태어나게 하시고 진보하여 완성에 이르도록 하셨습니다.
그리고 개종한 민족들에게 계속하여 봉사할 수 있도록 어느 곳에서나 성직자들을 성품에 올리도록 하셨습니다.
과거에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이 민족들은 그분이 땅 극변에서부터 불러 주신 민족들입니다.
예언자 예레미야는 말합니다.
"온 세상 구석 구석에서 뭇 민족이 주께 와 아뢸 것입니다. `우리가 조상 적부터 모시던 것은 헛된 우상이었다!’"
예언자 이사야는 또 말합니다. "나는 너를 만국의 빛으로 세운다. 너는 땅 끝까지 나의 구원이 이르게 하여라."
나는 이제 주님의 그리침 없는 약속의 성취를 기다리고 싶습니다. 그분은 복음서에서 말씀하십니다.
"많은 사람이 동서방에서 와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야곱과 한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세상 곳곳에서 신자들이 생기리라고 믿고 있습니다.
(가톨릭홈에서)
• 로마-브리텐의 관리인 칼푸르니우스의 아들인 그는 아마도 반나벰이라는 마을에서 태어난듯 한데,
이곳은 골 지방이 아니면, 스코틀랜드의 던 바톤 교외의 킬 패트릭인듯 하다.
그는 16세 때에 해적들의 포로가 되어 아일랜드의 어느 이교인에게 노예로 팔렸다가,
6년 후에 도망하여 골 지방으로 갔다.
그리고 22세 경에 그는 브리텐으로 다시 돌아갔는데,
이번에는 레린스의 수도원에서 공부하는게 목적이었던 것이다.
그 후 그는 15년 동안 오세르에서 지내다가, 417년에 사제로 서품되었고,
432년 경에는 성 제르마노에 의하여 주교로 축성되어 아일랜드로 파견되고, 성 바울리노를 계승하였다.
그는 크리스챤에 대하여 적개심을 품은 수많은 원주민 추장 등을 과감하게 만났고,
대개는 기적적인 방법으로 회개시키므로써, 섬 전체에 그리스도교를 뿌리 깊게 심었던 것이다.
그는 442년과 444년에 로마를 방문하였고, 아르마그 대성당을 세워, 아일랜드 교회 활동의 본거지로 삼았다.
아일랜드에서 보낸 30년 간의 활동에서 그는 학문의 기풍을 진작시키고,
라틴어 공부를 비롯하여 아일랜드를 서방교회와 아주 가깝게 만든 공로자가 되었다.
그는 "고백론"을 썼는데, 이것은 일종의 호교론이다.
성 파트리치오의 문장은 뱀과 토끼풀이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 성 파트리치오는 오곤네르와 같이 아일랜드 사람들에게 뛰어난 영웅으로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실제로 19세기에 오곤네르가 정치계에 남겨 놓은 것과 같은 공적을
파트리치오는 5세기에 종교계에 남겨 놓은 인물이다.
그는 385년 스코틀랜드의 기르바그에서 태어났다.
그의 소년 시절에는 별 다른 일이 없었지만 그 자신이 서술한 참회록이라 지은 자서전 속에서
당시의 자신은 거의 하느님에 대해서는 생각지 않은 죄인이었다고 자책(自責)하고 있다.
☞ 16세 때 아일랜드의 해적이 스코틀랜드에 침입해 그는 그들의 포로가 되어 불쌍하게도 노예로 팔려갔다.
그러나 이 같은 재앙이 전혀 그에게 이익이 안 되었다고는 볼 수 없었다.
그 이유는 파트리치오가 목동으로서 가축을 지키는 한편 하느님께 대해 깊이 생각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노예 생활하기를 6년,
22세의 청년이 된 파트리치오는 결단심을 가지고 탈주에 성공해 무사히 고향의 집으로 돌아올 수가 있었다.
아일랜드에서 고생하는 동안 친히 목격한 외교인들의 가련한 영혼의 상태는
오랫동안 그의 마음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그는 그것이 원인이 되어 장차 사제가 되어 복음을 전하며
그들의 영혼 구원을 위해 노력하려는 결심을 갖기에 이르렀다.
전승에 의하면 그는 자신의 결심을 관철시키기 위해
프랑스 레닌 수도원에 들어가 옥세르에서 신학을 배우고 귀국 후 사제가 되었다한다.
그는 친척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선교를 목적으로 아일랜드레 건너가려고 하던 차.
때마침 아일랜드의 주교 바라디오가 서거했으므로 그는 주교직에 올라
보좌 신부 약간명과 함께 고국을 출발했다.
☞ 그 당시의 아일랜드에는 소수의 그리스도교 신자만 있었을 뿐
주민의 대부분은 우상숭배의 미신에 젖어 도루이도(이교 제사장)라는 자의 지도를 따르는 형편이었다.
정치적으로는 각지에 추장(酋長)들이 있어 각자의 토지를 다스렸고,
전체를 통할하기 위해서는 다라라는 곳에 왕이 있었다.
파트리치오는 보좌 신부들과 같이 아일랜드에 도착했으나 토민들에게 해적으로 오인(誤認)받아 돌로 쳐죽임을 당하게 될 찰나에 피신해
전에 노예 생활을 하고 있던 북부지방에 가서 복음을 전하여 그 곳 추장을 개종시켰다.
그 후 파트리치오는 남쪽으로 가서 라오게르 왕을 축하하기 위해 도루이도나 추장들과 한자리에 앉아 있을 때
그 앞에 나와서 참된 종교를 설명하니 왕과 장관들과 상류 부인들이 개종하여 그에게 세례를 받았다.
또한 도루이도인 트부도라는 자도 교회의 진리를 깨닫고 그의 시재(詩才)로써 복음 보급에 힘껏 노력했다고 전해 내려온다.
풍부한 하느님의 은총의 도움으로 대단한 성공을 거둔 파트리치오는 더욱 동분서주하며
불요불굴의 활동을 계속해 사람들을 가르쳐 인도하고
성당, 수도원을 세우고 사제를 양성하여 마침내 아일랜드 전국을 가톨릭국으로 만들 수가 있었다.
따라서 전 국민은 그를 자비로운 아버지와 같이 생각하며 누구하나 그에게 순종치 않는 이는 없었다.
☞ 그가 어려운 교리를 쉽게 설명하는데 얼마나 교묘했던가는 다음의 일례로 알 수 있다.
어느 날 그가 삼위일체의 오묘한 도리를 설명하고 있었는데
원체 오묘한만큼 누구나 좀처럼 이해하기가 곤란했다.
그때 파트리치오는 생각한 끝에 곁에 있던 클로버(Clover) 한 포기를 손에 들고
“보는 바와 같이 이것은 하나의 클로버이지만 끝은 세잎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느님께서도 한 분이시지만 그의 위(位)는 셋으로 되어 있다”라고 설명했다.
청중은 이런 적절한 비유에 비로소 삼위일체의 개념을 확실히 파악할 수가 있었다.
지금도 아일랜드에서 성 파트리치오 축일에
신자들이 클로버를 가슴 또는 모자 등에 붙이는 습관이 있는데 이것은 이 일화(逸話)에 기인한 것이다.
• 파트리치오는 아일랜드의 포교 사목에 큰 성공을 얻은 것처럼
그동안 남 모르는 역경과 고통을 당한 적도 적지 않았다.
그 하나는 그가 부활 축일에 사람들에게 세례를 주고 있었는데
전부터 신자였던 그 지방의 추장 고로틱이 무슨 영문인지 신자들을 습격해 죽이거나
혹은 노예로 삼은 사건이었다.
파트리치오는 그의 난폭함을 슬퍼하며 즉각 서간을 보내 그의 그릇됨을 타이르며
즉시 포로로 잡아간 형제들을 석방하라고 명했지만
추장은 완강히 거절했으므로 평화를 사랑하는 주교께서도 눈물을 머금고 그를 파문에 처하지 않을 수 없었다.
파트리치오는 각지를 순회하며 복음을 전하면서 기도하고 덕을 닦는데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전승에 의하면 그는 밤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제1부분에는 다윗 성왕의 시편 백편을,
제2부분에는 시편 나머지 50편과 기도를 올리고,
제3부분에는 수면으로 돌을 베개 삼아 쉬었다고 한다.
이같이 일생을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봉헌한 파트리치오는 많은 공로를 쌓고, 464년 80세로 세상을 떠났다.
(대구대교구홈에서)
▣ 복음
• 소설같이 파란만장한 삶으로 유명한 성 파트리치오는
‘성 파트리치오의 방패’ 라고 하는 아름다운 기도문의 작가로 알려져 있다.
"예수 그리스도님!
오늘 나의 방패가 되소서.
나와 함께 계시고, 내 앞에 계시며,
내 뒤에 계시고, 내 안에 계시고, 나의 기초가 되는 반석이 되소서.”
“그리스도는 고요 안에 계시고, 위험 안에서도 계시며,
나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도 계시고, 친구와 이방인의 입술에도 계십니다.”
이 기도문을 성 파트리치오가 직접 썼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이 기도를 통해 그의 삶과 신앙이 어떠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다른 성인들과 마찬가지로 그도 예수 그리스도를 삶의 중심에 두고 살았다.
그가 행한 모든 것들은 복음의 메시지에 대한 열정적인 믿음의 표출이었다.
더구나 대개의 사람들이 읽거나 쓸 줄을 몰랐던 시기에
그의 복음적 삶은 예수님의 참 복음을 보여 주는 표양이 되었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믿는 바의 반영이다.
우리가 물질주의나 소비주의에 집착한다면 우리의 행동도 그것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
우리가 자기 자신만을 생각한다면 만나는 사람들에게 그런 모습을 보여 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성 파트리치오처럼 남을 위한 삶과 희생이라는 참된 복음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세상의 부패한 곳에 생명과 희망을 전해 줄 전달자가 될 것이다.
나는 말과 행동은 복음적인가?
성 파트리치오의 전적인 헌신을 본받자.
(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시편97(98)
위 원곡을 불러올 수 없어 아래 곡을 올림:
시편 98(주님께 찬양하라):찬양노래(할레루야 찬양대)
https://youtu.be/2K0ZIsS3YUo
ㅡㅡ끝.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