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재 정재 성정 해석
5) 편재(偏財)
[특성]
전국무대, 투기성, 융통성, 낭비성, 사업성, 술꾼, 이성문제, 금전 욕심, 역마성, 총명, 증권, 사채, 편법, 사기, 도박, 협박, 뇌물, 횡령, 부친, 첩, 시부모 등
[성정]
청렴결백하고 돈을 잘 쓰며 재복이 있는데 처첩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있다. 남의 돈으로 큰 사업을 일으키는 능력있는 사업가 기질이 많다. 마음속에 재물과 애정문제를 큰 비중으로 둔다. 금전 집착이 강하고 자신의 이권 쟁취를 위해 체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아 비난을 받기도 합니다.
[직업]
무역업, 금융, 귀금속, 기술, 간호사, 영양사, 경영, 자영업 등이 좋으며 봉사단체에 근무하거나 지배인 참모 역할도 잘한다.
편재를 쓴다는 것은 대체로 사업성 요소를 강하게 한다는 뜻이고
정재를 쓴다는 것은 월급, 재산 또는 고정소득 요소로 보면 됩니다.
편재는 木과 土의 경우일 때 大 陰陽은 맞지만 음양에서는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큰 음양의 용도는 채우더라도 짝이 제대로 잘 안 맞는 모양이죠. 그래서 결국은 치우친 형태로 가야된다는 말입니다. ‘짝이 제대로 잘 안맞다’는 생각, 이것이 부정적 의미가 아닙니다. 맞는 짝이 없기 때문에 열심히 더 노력하고 더 분발합니다. 그래서 편재는 일종의 세상살이의 술수나 총명의 인자이기도 합니다. 편재의 입장에서 볼 때는 ‘융통성 없는 것은 인간도 아니다.’ 치우쳐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것저것 맞추어 살아가려는 융통성은 편재의 기본입니다.
6) 정재(正財)
[특성]
책임감, 고정소득, 보수적, 노력, 인색, 구두쇠, 절약, 현금재산, 인품, 번영, 신용, 단정, 자산, 정의, 봉사, 부동산, 봉급자, 유가증권, 상인, 사업가 등입니다.
[성정]
성실 안정적이고 신용을 중히 생각하므로 섬세하고 자상하며 빈틈이 없으며, 정의감, 봉사정신이 남달라 타인을 잘 돌보며 믿음직하며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성향입니다. 합리적이고 구두쇠 기질 인상을 주지만 쓸 때는 확실하게 쓰는 대장부이며 헛된 꿈을 꾸지 않으므로 줄 것은 주고 받을 것은 받고하는 논리가 바릅니다.
[직업]
독립적인 경영에 맞고 판매, 제조, 상업, 사업가, 금융, 설계사, 회계사, 기업가 등이 좋다.
남자 팔자에서 정재는 주로 처덕(妻德), 사회적인 일에서는 책임 완수, 공사(公私) 구분, 고정성, 안정적인 힘입니다. 자동차로 친다면 편재는 자동차에서 큰 짐과 같은 것이고 정재는 주로 자동차 연료 또는 부담없는 짐의 형태가 되므로 대체로 오랫동안 머물러 주는 재산으로 변화가 크지 않고 그 소모처나 용도가 대체로 뚜렷합니다.
그런데 편재는 욕심만 가득 내어서 실어놓은 짐과 같아서 한번씩 이 짐 때문에 자동차가 퍼져서 잘 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편재가 좋으냐 정재가 좋으냐’ 꼭 어느 것이 좋다고 말할 수는 없는데 편재는 대체로 역동성이 강하고 정재는 고정성이 강합니다. 재성은 밭과 같은 거예요. 밭을 갈아야 즉 결국 내가 파헤치고 뒤집고 조절해야 재물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재물의 원리라는 것이 어떻게 보면 피곤한 거예요. 氣를 많이 소모하니까 그런데도 즐겁죠? 왜 즐거울까요? 반대끼리 결국 큰 음양을 충족시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근본적으로 木은 발산력이나 추진력인데 土가 응집해 주는 작용을 하니까 그 추진력과 응집력이 조화를 이루면서 음양운동을 하니 서로 재미있더라 이거예요. 생명이라는 자체가 결국 음양운동이므로 나와 반대편의 것을 어떤 식으로든 짝을 맞추어 써야 하는 것이거든요. 그러니까 인간이 사는 것이 결국은 재관(財官)이라는 글자 속에서 계속 음양운동을 하며 짝지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첫댓글 편재 정재 성정 해석~ 감사합니다.^
치우쳐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것저것 맞추어 살아가려는 융통성은 편재의 기본입니다.~
편재는 대체로 역동성이 강하고 정재는 고정성이 강합니다.~
공부합니다.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편재를 쓴다는 것은 대체로 사업성 요소를 강하게 한다는 뜻~
감사합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