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치 | 경남 창원시 동읍 | |
높이 | 567m | |
주봉 | 봉림산 |
고려시대 웅천지방(현재의 진해시)에 왜구의 침입이 잦자 이를 물리치기 위해 군사를 훈련하였던 곳이라는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제2차세계대전 중에는 일본군 야포부대가 이곳에서 훈련하고, 6·25전쟁 중에는
미군이 우수령에 방어선을 쌓은 적이 있어 군대와 관련이 많은 산으로 알려져 있다. 봉림산 또는 징산이라고
도 부르며, 옛날에는 전단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정상에 이르기까지 봉우리가 5개나 겹쳐 있어 정상을 찾기 힘든데, 한자로 봉림산이라고 새긴 비석이 서
있는 곳이 정상이다.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용추고개·비음산·대암산을 거쳐 용지봉까지 이어지며
정상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매우 아름답다.
한때 봉림산·전단산·징산이라 부르게 된 유래가 전한다. 《진경대사보월능공탑비문(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文)》
에 따르면 신라시대에 진경대사가 이곳에 봉림이라는 절을 지었고, 통일신라 말기에는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봉림산파의 중심사찰 봉림사와 그에 딸린 사찰이 여럿 들어서 불교가 융성하자 고려시대 이후에 불교의
요람이라는 뜻으로 전단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하지만 문헌상의 봉림사터는 현재 남아 있지 않다.
한편 창원시가 펴낸 《창원의 전설》이라는 책자에 따르면, 이 산은 본래 봉림산이라 불렸고 지금의 이름은
1920년에 일제가 5만분의 1 군사 작전지도를 작성할 때 고친 것이다. 또 징산이라는 이름은 천지개벽
때 산
정상에 징 하나를 얹을 정도만 남겨 놓고 모두 물에 잠긴 데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백과사전]
++++++++++++++++++++++++++++++++++++++++++++++++++++++++++++++++++++++++++++++++++++++++++
창원시의 경남도청사 뒤편에 있는 정병산(精兵山 566.7m 일명 봉림산)은 산꼭대기가 국도와 부마고속도로변에
치우쳐 있어 마산이나 그 부근을 통행할 경우 이 산을 쉽게 볼 수 있다(마산을 갈 경우 왼편).
그러나 독특한 생김새를 가진게 없는 보통의 산이라 쉽게 잊어 버린다. 하지만 실제 등산을 할 경우 산밑에서 보는
것이 얼마나 정확하지 않은가를 여실히 느낄 수 있고 그 모양 또한 판이하다.
창원시에서 오르든 창원군 동면 덕산서 오르든 생각한 것보다는 너무 힘든 등산로여서 `작은 고추가 맵다'는 속담
을 톡톡히 맛본다. 그리고 해발 600m에도 미치지 못하는 정상이지만 이곳서 보는 경치는 대단하다.
남동쪽으로 연결된 산줄기는 용추고개 비음산 대암산을 거쳐 용지봉까지 연달아 산파도를 일으킨다. 널찍하고
툭트인 도로와 바둑판 같이 구획정리가 된 주택가 부근 곳곳에 숲지대가 있어 창원시는 독특한 도시의 멋을 풍긴다.
도심의 용지(龍池)가 물에 뜬 집들을 품고 있음을 정상에서도 볼 수 있다. 도시의 남쪽 끝간 하늘엔 신기루처럼 남
쪽바다와 섬들이 떠 오를 것 같다.
정병산 봉우리에는 고만고만한 봉우리가 5개나 되고 바위밑을 돌아 애써 봉우리에 올라가도 정상이 아니고 그
다음 봉우리에 가면 또 저쪽에 진짜 정상이 있어 짜증까지 난다.
아무튼 고개에서 이 산 정상까지는 높고 낮은 봉우리가 겹쳐져 대단히 힘들고 지치기도 쉽다. 정병산 정상이
어느 것이냐 고민할 필요는 없다. 지금은 봉림산을 한자로 새긴 `鳳林山'이란 비석이 서있기 때문이다.
(뒷면엔 일명 `精兵山'이라고 각인). 봉림산이 언제부터 정병산으로 불렸는지 알 수 없다. [한국의 산하]
+++++++++++++++++++++++++++++++++++++++++++++++++++++++++++++++++++++++++++++++++++++++++++
창원시의 경남도청사 뒤편에 있는 정병산(일명 봉림산)은 산꼭대기가 국도와 부마고속도로변에 치우쳐 있어
마산이나 그 부근을 통행할 경우 이 산을 쉽게 볼 수 있다. 정상에 올라서면 널찍하고 툭트인 도로와 바둑판
같이 구획정리가 된 주택가 부근 곳곳에 숲지대가 있어 창원시는 독특한 도시의 멋을 풍긴다.
도심의 용지(龍池)가 물에 뜬 집들을 품고 있음을 정상에서도 볼 수 있다. 도시의 남쪽 끝간 하늘엔 신기루처럼
남쪽바다와 섬들이 떠 오를 것 같다.
산속에서는 물을 구할 수가 없으니 미리 준비를 하야하고 오름길을 잘못선택하면 된비알에 기력을 억수로 쏟아
부어야 한다. 정병산으로 알고 올라가보면 바위덩어리 위에다 세운 정상비에는 鳳林山(봉림산)으로 적혀있다.
그러면 산밑에서 처다볼 적에는 정병산이라고 부르고 산꼭대기를 올라가면 봉림산이라고 불러야 하나보다.
봉림산에서 북쪽으로 내려다 보면 동서로 가로지르는 물줄기 못미처 두개의 물웅덩이가 보이는데 동서로 가로
질러 흐르는 낙동강하류에 뚝방을 막는 바람에 철새들의 물고기가 오고가지를 못하여 씨가마르는 바람에 그곳
에서 쉼터를 잡고 놀던 철새들이 몽땅 다른곳으로 이사가고 일부만 바로 앞에보이는 조남저수지로 몰려든다.
때를 잘 택하여 산행후 철새도래지인 주남저수지에서 철새들의 날개짓도 구경할 만하다.
- 공식 명칭 외 전단산·봉림산 등
- 산 하나에 유래 이름만 여러 개
- 용정사 ~ 전망바위 ~ 우곡사 코스
- 전체 9㎞ 거리…약 4시간 반 소요
- 촛대봉 서니 주남지 조망 한눈에
- 정상 오르자 시원한 바람 반가워
경남 창원시민들이 아끼는 정병산은 이름이 여러 개다. 정병산은 불교 요람의 산으로 한때는 전단산으로 불렸었다. 마야부인이 전단향 나무로 만든 평상 위에서 석가모니를 잉태하는 꿈을 꾸었다 하여 전단은 불교와 관련이 깊다. 이와 관련해 전해오는 얘기를 설명하면 이렇다. 신라시대 진경대사가 강원도 명주에 있다가 경남 김해의 진례(정병산 근처)에 도달해 절을 세우고 봉림이라 불렀다고 한다. 옛부터 '림'자가 들어가는 지명은 길지로 여겨져, 통일 신라 말기에 구산선문의 하나인 봉림사와 이에 소속된 많은 사찰이 (정병산 자락에) 건립돼 불교가 성하게 됐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고려시대 이후 산의 명칭이 전단산이 된 것이다. 정병산은 봉림산으로 불리기도 한다. 앞서 언급한 봉림사에서 연유된 것 같기도 하고, 산의 일부가 행정구역상 창원시 의창구 봉림동에 속하기 때문인 것으로도 보인다.
정병산 중턱의 촛대봉에서 내려다 본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전경. 동읍 시가지 너머로 주남저수지가 보이고, 멀리 낙동강과 대산면의 너른 들녘도 가시권에 들어온다. |
그렇다면 정병산이 된 사연은 뭘까. 천지가 개벽할 때 산 정상에 징 하나 얹을 정도만 남고 모두 물에 잠겨 징산 혹은 징빙산이라 불리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여 정병(精兵)산이 되었다는데 확실치는 않다. 임진왜란 때 산의 형세가 장군기마형이라 이곳에 군사를 정병한 데서 유래하였다고도 한다. 아무튼 현재의 공식 '직함'은 정병산이다.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시민들에게 더 친근하게 느껴지는 정병산은 창원의 지도를 전체적으로 놓고 보면 북쪽을 병풍처럼 길게 둘러싸고 있다. 그렇지만 창원시 의창구 동읍에서 보면 아래쪽에 자리 잡은 산이기도 하다. '근교산&그너머' 팀은 동읍 쪽에서 정병산을 올라 역시 동읍으로 내려왔다. 동읍 읍사무소 소재지 쪽의 용정사에서 산행을 시작해 정병산 정상을 밟은 다음 낙남정맥 능선길을 따라 걸은 후 유명 사찰인 우곡사 방향으로 내려왔다. 산에서 내려와 최초 출발지점인 용정사까지는 택시로 이동했다. 원점회귀 산행은 아닌 셈이다. 구체적인 산행 코스를 보면 '용정사 입구~바위탑~전망바위~촛대봉~정병산 정상~수리봉~내정병봉~용추고개~우곡사 갈림길~우곡사'로 전체 산행 거리는 대략 9㎞다. 산행시간은 휴식 시간을 포함해 4시간 반이면 된다.
■주남저수지가 손에 닿을 듯
501봉(왼쪽)과 독수리바위. 두 봉우리 아래는 천길 낭떠러지다. |
출발 장소인 용정사는 창원 동읍사무소 소재지 내 창덕중학교 뒤편에 있는 조그만 사찰이다. 산행길은 용정사 왼쪽으로 올라가는 길과 용정사 경내를 통과하는 길 두 가지다. 그리고 이 두 길은 나중에 촛대바위에서 만난다. 취재진은 용정사 왼쪽으로 난 길을 택했다. 등산로 초입에 돌판에다 시를 새겨놓은 팻말이 눈길을 끈다. 이육사의 유월, 유치환의 깃발, 변영로의 논개 등등.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배웠던 시다. 시를 천천히 읽어봤다. 마음이 편안해지는 기분이다.
편안함도 잠시, 이내 시작된 등산길은 만만치 않았다. 한여름에 가까운 더위 때문인가. 경사가 그다지 급하진 않았지만 몇 걸음 떼기도 전에 등줄기로 연신 땀이 흘러내렸다. 등산로 주변이 나무로 뒤덮여 있어 땡볕은 피할 수 있었지만, 바람이 없어서 그런지 체감 온도는 높았다.
이렇게 30분 정도를 오르자 길옆으로 돌로 쌓은 탑이 눈길을 끈다. 가까이 가서 보니 한두 개가 아니고 무려 일곱 개의 돌탑이 서 있었다. 누가 어떻게 쌓았는지는 모르지만 예사 정성이 아닌 듯했다. 보기에 따라 아슬아슬하기까지 해 보이는 돌탑의 모양이 신기하기도 했다.
여름의 전령사 '털중나리' |
돌탑을 지나면서부터는 경사가 더 급해진다. 여전히 바람의 기운은 느낄 수가 없다. 이미 온몸이 땀으로 젖고, 갈수록 다리도 뻐근해진다. 돌탑에서 30분 정도 오르니 전망바위이고, 전망바위에서 20분 정도 더 나아가니 촛대봉이다. 꽤 잘생긴 바위 위에 서니 산 아래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여전히 덥긴 했지만 조금 전까지의 힘든 산행에 대한 일부를 보상받는 기분이다. 좀 뿌옇긴 했지만 산행 출발지인 동읍사무소 소재지와 자여마을은 물론이고 반대편의 창원 시내까지 훤히 보였다.
'창원 동읍'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대표적 철새도래지인 주남저수지다. 촛대봉에 서니 주남저수지와 멀리 낙동강도 가시권에 들어온다. 또 구룡산 천주봉 무학산 등 이 일대의 주요 봉우리도 손에 잡힐 듯하다. 그러나 취재진이 서 있는 바위가 왜 촛대봉인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비교적 여유 있는 낙남정맥길
우곡사 |
다시 산 쪽으로 고개를 돌리니 정병산 정상이 얼마 남지 않았다. 정상까지는 30분을 더 가야 하지만 조금 전보다는 힘이 덜 드는 기분이다.
정상(566m)에는 나무로 만든 정자 등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잠시 쉬어갈 겸 나무의자에 자리 잡았다. 반대편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힘든 여름 산행이라고는 하지만 이런 맛에 산을 찾지 않나 하는 기분이다.
정상에서 자여마을로 바로 내려가는 길도 있지만 취재진은 대암산·비음산 방향으로 직진했다. 이제부터는 능선길인데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되는 낙남정맥의 일부이기도 하다. 약간의 오르막과 내리막이 있기는 해도 숲이 주는 신선함을 맛보며 힘들지 않게 걸을 수 있다.
잘생긴 봉우리인 독수리바위에서 조망을 즐길 수 있고, 또 하나의 봉우리인 내정병봉(493m)도 만난다. 내정병봉을 조금 지난 지점에서 우곡사로 향하는 방향도 있는데 취재진은 용추고개까지 간 다음 우곡사로 방향을 잡았다. 용추고개에서 우곡사까지는 15분 정도면 된다.
신라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우곡사에는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 있다. 수질 검사에서 먹는 물로 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을 정도로 수질이 좋다. 소가 북쪽을 향해 발을 뻗고 누워있는 형세로 산의 북쪽에 물이 많이 난다는 정병산의 전설이 괜한 것이 아니다. 산행 후에 마시는 샘물의 맛이 달짝지근하다.
◆교통편
- 부산서 시외버스·열차 등 다양
- 거리 가까워 자가 운전도 편리
정병산 산행을 위해서는 대중교통편을 이용해도 좋지만, 자가운전이 편리하다. 대중교통편은 창원을 거쳐 의창구 동읍으로 가야 한다. 산행 출발지인 용정사 근처 용잠리 동읍지구대 버스정류장으로 가는 버스는 창원역 앞에서 출발하는 7번 마을버스를 이용한다. 부산 서부터미널에서 창원 종합터미널행 버스는 오전 6시 첫차를 시작으로 15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요금은 3800원. 창원종합터미널을 나와 창원역행 시내버스를 탄다. 또는 부전역에서 출발하는 창원역행 경전선 기차를 이용해도 된다. 부전역 출발 오전 6시25분, 10시35분. 창원역에서 부전역행 기차는 오후 3시08분, 7시34분에 있다. 창원역에서는 역 건너편의 마을버스 정류장에서 자여행 7번 버스를 타고 동읍지구대 정류장에서 내린다. 첫차 6시20분부터 11분 간격으로 운행. 산행을 마친 우곡사에서 동읍지구대 앞까지는 택시를 이용한다(극동콜택시 055-252-3040. 요금 7000원 안팎).
자가운전을 할 경우 창덕중학교 인근에 주차한다. 내비게이션 '창덕중학교(용잠리)' 입력.
문의=스포츠레저부 (051)500-5147 이창우 산행대장 010-3563-0254.
#참고 사이트및 산행기 : 정병산 [창원시]
봉림산 [관광공사]
봉림산 [경상남도]
정병산 [경상남도]
정병산 [김철우]
정병산 [국제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