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일을 배운지 일년도 안되는 신참입니다. 2009년도 작업일지를 정리하던중 제가 모르고 지나간 작업내용이 많아 염치불구하고 글을 올립니다. 선배님들께서 실제 경험담으로 많이 도와주셨으면 합니다.(초보자이므로 아주 쉽게 알려주세요.)
1. 60마력 스크류냉동(공냉식)=오일교환/회수,펌프다운,진공,냉매주입하는 방법,오일종류?
2. 200마력 왕복동냉동기(수냉식))=오일교환/회수,펌프다운,진공,냉매주입하는 방법,오일종류?
3. 50마력 왕복동냉동기(수냉식) 오버홀 하는방법?
4. 냉동기 질소충전하는방법?
5. 공냉식응축기:1. 옥외에 응축기를 설치하는 경우 배관이 길어지므로 압력강하에 주의해야한다?
2. 겨울철 외기의 온도가 낮아지면 응축압력을 제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뜻을 이해해 주세요???
6. 100마력 공냉식 스크류냉동기에서 응축기 휀모터 고장으로 교체시 모터와 휀이 분리가 안될경우 선배님들 께서는 어떻게 분리를 하시는지?
7. 스크류냉동기 시운전중 냉수출구온도(19도)가 다운이 안되서 시운전중 냉매2통을사용하였고,두시간 후 냉수출구온도가 13~14도로 떨어짐. 온도제어가 잘 안되는 이유?
8. 김치냉장고 압축기 교체를 하였는데 냉매는 R12를 사용함. 압축기 교체순서를 알려주세요?
9. "PAN"에어컨(냉난방겸용)10마력 실내기 화면창에 E표시가 되서 실내기 앞쪽 커버를 분리후 잠시후 에러 표시가 없어짐 이후 정상냉방가동 우연의 일치인가요?
10. 공냉식 스크류냉동기 100마력 냉수출구측 온도제어가 안되서 일단 온도센서를 교체한후 압축기를 가동,가동후 압축기를 on/off를 반복-테스터기로 온도 컨트롤 접점확인 이러한 작업을 약 1시간30분가량 반복운전--이후 정상가동===원인이 무엇이며,테스터기로 온도제어 접점확인하는 방법(제가 테스터기를 사용을 모름)?
11. 50마력 왕복동 냉동기 저압이 떨어지는 이유(냉동기 주변은 약간 밀폐된 공간임)?
12. 60마력왕복동 냉동기 정비완료후(오일교체) 압축기 가동한후 2분후에 마그네틱이 터짐,테스터기로 점검한후 압축기 내부 코일 탔다고 함(15년이상된 압축기)?이런경우에는 점검절차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13.50마력왕복동냉동기의 오일충전상태는2/3,압축기 가동후 오일상태를 보니 오일이 보이질 않음
배관을 타고 오일이 넘어갔는지.아니면 피스톤쪽으로 넘어갔는지 알수 없었음 그래서 오일회수하고 다시 오일을 재주입하고 압축기를 가동 위와 똑같은 상황이었음?
14. 에어컨 설치후 압축기 가동시 실외기 휀이 역방향으로 가동되면 실외기 단자 R.S.T에서 S.T를 반재로 연결하면 되나요?
15. 에어컨 설치후 실외기 고압측,저압측 서비스밸브가 모두 열린상태에서 배관내 진공작업을 할경우 압축기에 있는 오일이 진공펌프쪽으로 빠져나오나요?
16. 4월경에 컨테이너 사무실에 벽걸이 에어컨을 설치했는데 압축기가 가동이 안된경우가 있었는데요 이런경우 실내외 온도차로 인해 그런건가요?
17.냉동기또는 에어컨 A/S를 가시게 되면 "리키드 백"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경험해보셨나요, 제가 책을 찾아보니 증발기에 유입된 액냉매 중 일부가 증발하지 못하고 액 그대로 압축기 쪽으로 유입되는 현상으로 나오더라고요. 위의 증상이 나타나면 해결할 수있는 방법은 ?
18. 에어컨 이전설치작업중에 펌프다운과 퍼지작업을 하잖아요 자세히 알려주세요?
19. 계절별로 냉동기(스크류,왕복동),에어컨(히트펌프) 냉매보충량을 알려주세요?
20. 30마력 스크류냉동기 오버홀 작업후 조립, 질소충전(질소충전할때 메니폴더 저압/고압을 냉동기 어느쪽에 물리고 작업하시나요),질소 배출후 진공을 잡고, 냉매를 주입 냉매를 주입중에 송풍버튼을 누르고 송풍을 어느정도 한다음에 냉동기를 가동한다. 그러면서 메니폴드 저압측이 9kg에서4kg으로 내려감 가스주입하면서 덕트로 방출되는 냉바람을 체크면서 팽창변을 조정하면서 조절함==위의 작업을 하는 도중에 문제점은 냉동기 가동초기에 송충은 되는데 냉방버튼이 계속꺼지는 현상이 나서 회로도에서 실외기 휀 마그네트 점검(마그네트 한쪽에 전류가 약하게 투입됨, 그래서 실외기를 확인 실외기 휀 한쪽이 뜨거워서 휀 모터를 교체함,교체후 마그네트 휀 접점이 잘붙음 이후 이상없음===위의 문제점의 원인은 무엇인가요,그리고 테스터기로 마그네트를 테스터기로 확인할때 몇 암페어가 나와야 되는지, 전체적으로 궁금합니다.
21. 유압차단스위치는 저압과 오일압력과의 편차를 1.5-3kg정도 편차를 벗어나게 되면 압축기가 정지되는 건가요?
22. 벽걸이 에어컨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경우? 냉매가 부족하게되면 증발기가 동결되는 경우 증발압력이 낮기 때문인가요,아니면 드레인 배출 문제인가요?
23. 에어컨 회로도를 보게되면 노이즈필터가 있는데 노이즈 필터의 뜻과 역할은 무엇인가요?
24. 냉동기나 에어컨에서 테스터기로 실외기 휀모터가 고장인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25. 에어컨에 보면 AC.DC란 용어가 있는데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26. 에어컨 압축기가 가동이 안되면 작업자가 체크할수 있는 방법은요,테스터기로 압축기 어느부위를 체크해야되고,전류를 체크했을때 전류의 수치는 얼마가 나와야되는지?
27. 에어컨을 신설했는데 이틀후에A/S를 가게됐습니다. 실내기 증발기에 얼음이 부착이되서 바닥으로 물이 고이고 있었는데 원인은 제상 무접점 릴레이가 고장이어서 교체를 했습니다. 릴레이가 고장인지 테스터기로 확인해보면 알수있나요?
28. 에어컨 PCB는 실내기,실외기 어떤 증상일때 교체를 하나요?
29. 에어컨 실외기 휀모터가 고장이면 어떤 증상이 보이나요?
30. 에어컨은 냉매부족으로 압축이 가동이 될경우 실외기 압축기 보호장치가 고장이 생기나요?
31. 50마력스크류냉동기를 가동 압축기가 off때에는 흡입측에 결빙이 안생기고 압축기가 on때에는 흡입측에 결빙이 생깁니다. 고압은 평균16.3이고 저압은평균3.8정도 됩니다. 원인은 무엇인가요?
32. 에어컨 5마력 패키지형을 냉방으로 가동후 E1표시가 됩니다. 원인및 해결방안은?
33. 투인원 에어컨 설치시 실외기에서 퍼지,냉매보충작업방법을 알려주세요?
34. 냉동기에서 액압축으로 인해 압축기에 손상이 가는데 원인과 해결방안?
35. 스크류냉동기 가동중 고압에 걸리면서 냉동기 off됨 시설관리인이 냉매를 소량 배출했다고함, 그래서 저희가 리셋 버튼을 눌럿 재가동(리셋버튼을 누르니 딱 소리가 남), 이런경우는 고압으로 인해 냉동기가 정지될 상황이라면 화면창에 고압알람이 표시되야 되는데 ASIG의 프로그램이 고압을 잡아주질 못해 알람 표시가 안되고 냉동기가 정지됨 ==이런경우 ASIG의 이상인가요 아니면 냉동기 이상인가요?
36. 에어컨 점검중 메인2차측 R상에서 통전(누전) 현상이 나타나는데 통상 누전이 되면 에어컨 가동중 어떤 현상이 일어나나요, 그리고 테스터기로 체크시 전압,전류의 수치는 어떤가요?
37. 직류.교류.인버터방식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38. 에어컨 실외기에 있는 컨덴서의 역할과 컨덴서가 고장시 나타나는 현상?
39.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원인과 고장을 알수있는 방법?
40. 오바로드의 뜻을 알고싶습니다.
41. OCR(전자식 모터보호 계전기) 고장시 어떻게 알수있나요?
42. 천정형 팬코일 점검중 220V전원은 들어오는데 휀및드레인펌프기능이 안됨 고장원인은 무엇인가요?
43. 40마력 왕복동 점검중 압축기 가동후 테스터기로 메인전원체크 전압이 180-190으로 전압이 낮음(오버로드걸림) 가동후 삑삑 소리가 남, 그래서 고압밸브잠그고 메니폴더로 냉매 배출후 오일 배출, 오일필터 이상없음, 오일 재부유,진공작업,가스투입,그리고 유압조절함 이후 이런 현상이 또 일어남==원인은 무엇인가요?
44. 스크류냉동기 점검중 냉방가동후 압축기에서 굉음 서서히 줄어듬, 약 2분후 고압 12kg 저압 5kg 유압7kg
이러한 경우 어떻게 조치해야 되나요?
45. 전기가열기 고장원인을 어떻게 찾을수 있나요?
46. 전기 배선용량에서 IV,CV의 뜻을 알고싶습니다.?
47. 7.5마력 에어컨에서 전기가열기가 내장형일경우 전기특성이
전입력(kw)=8.6kw 운전전류(A)=15.49A 역률(%)=85.1% 시동전류(A)=71.1(A)
위의 뜻을 모르겠습니다.설명 부탁드립니다.?
또한가지 전기배선용량에서 "N.F.B사용시 정격전류"란 뜻을 모르겠습니다.?
첫댓글![허걱](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19.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https://t1.daumcdn.net/cafe_image/pie2/texticon/ttc/texticon54.gif)
질문 내용이 무려 47가지..... 이 질문에 답하려면 며칠밤 새워야허구 다알고나면 공조분야에 고수가 되신다는...
여기 회원님들 일일이 답하실수 없습니다! 혹 보냉가설에 이글을 올려 놓으시면 답하실 분들이 계실것 입니다! 모두 바쁘신 분들 이십니다 질문은 하나하나 해주시는게 도움이 될듯합니다!
오~마이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