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S램 중 최고 속도와 최대 용량을 가진 ‘72메가비트 DDR3 S램’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DDR3의 데이터 처리속도는 1.5Gbps로 1초에 200자 원고지 48만장을 처리할 수 있다. S램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저장된다는 점에서 D램과 차이가 나며, D램이 PC의 메인메모리로 쓰이는데 비해 S램은 휴대폰과 서버 등에 사용된다.
삼성전자 김광태 상무는 “이번 DDR3 S램 개발로 지금까지 S램 저장용량의 한계로 알려졌던 36메가비트를 넘어 S램의 대용량화 시대를 열었다”며 “ 90나노 공정기술을 이용해 셀(Cell) 면적을 0.79㎛²으로 구현, S램의 단점인 집적도 문제도 해소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36메가비트 DDR3 S램을 생산중이며, 하반기부터 72메가비트 DDR3 S램의 양산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세계 S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30% 이상의 시장점유율로 8년 연속 1위를 유지하고 있다.
DDR2램까지는 D램으로 알고있습니다.
SD램/램버스D램/DDR/DDR2 모두 D램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DDR3램은 휴대폰과 서버에 이용되며 D램이 전원이 켜질 동안만 데이터가 보존되는데 반해 S램은 전원이 나가도 데이터가 보존된다고 하는데요..(따로 저장하지 않아도 자동 저장된다고 함...갑작스런 전원 오프에도 데이터 보존)
S램은 비싸서 일반 컴퓨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럼 2007년에 나와도 유저들이 사기엔 부담스럽지 않나요? DDR2 512메가비트(35만원)짜리도 일본에서 엄청 비싸다고 하던데..........
DDR2는 현재 1기가까지 판매되고있다고하는데 DDR3램은 왜이리 용량이 작은걸까요?
일단 S램의 구조는 트랜지스터6개 또는 4개로 구성된 일종의 레치회로입니다. D램이나 플래시 메모리처럼 커패시터나 폴리실리콘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단 속도는 모든 메모리중에 가장빠르고(CPU와 동일), 또한 가장 면적이 큼니다. S램도 휘발성 메모리라 전원이 나가면 저장된 정보는 사라집니다.
위에서 S램은 서버에 사용된다고 했는데, 보통 CPU에 3차 캐시메모리로 사용합니다 (CPU외부에 있습니다). S램의 집적도는 D램이나 플래시에 비하면 아주 낮은 편이고, 집적화에 한계가 있는 이상 메인 메모리로 사용하기는 어럽습니다. S램은 D램과는 달리 리프레시가 없습니다.
SRAM은 용량이 크면 오히려 비효율적이 됩니다.'얼마나 빠르게 넘어가는가?' 가 SRAM의 개발 초점이죠.. DRAM은 데이터를 많이 저장하는 게 주류지만 SRAM은 CPU와 DRAM간의 병목현상을 얼마나 해소하느냐가 관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용량이 많으면 오히려 방해가 되죠..(플립플랍이 콘덴서보다 더 낫죠.)
첫댓글 일반 컴터에서 S램이 사용되는 곳이 시퓨에 있는 캐쉬에서 사용하죠.. 가격이 비싸니깐 그런걸루 알구 있구요. 현재 메인보드에서 S램을 지원하는게 없지 않을까 하네요..모두 D램 지원이잖아요..
일단 S램의 구조는 트랜지스터6개 또는 4개로 구성된 일종의 레치회로입니다. D램이나 플래시 메모리처럼 커패시터나 폴리실리콘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일단 속도는 모든 메모리중에 가장빠르고(CPU와 동일), 또한 가장 면적이 큼니다. S램도 휘발성 메모리라 전원이 나가면 저장된 정보는 사라집니다.
위에서 S램은 서버에 사용된다고 했는데, 보통 CPU에 3차 캐시메모리로 사용합니다 (CPU외부에 있습니다). S램의 집적도는 D램이나 플래시에 비하면 아주 낮은 편이고, 집적화에 한계가 있는 이상 메인 메모리로 사용하기는 어럽습니다. S램은 D램과는 달리 리프레시가 없습니다.
SRAM은 용량이 크면 오히려 비효율적이 됩니다.'얼마나 빠르게 넘어가는가?' 가 SRAM의 개발 초점이죠.. DRAM은 데이터를 많이 저장하는 게 주류지만 SRAM은 CPU와 DRAM간의 병목현상을 얼마나 해소하느냐가 관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용량이 많으면 오히려 방해가 되죠..(플립플랍이 콘덴서보다 더 낫죠.)
근데 DDR3이 2007년엔 나온다고해서요...S램을 메모리로 쓴다는 소린데 님들 말로는 이게 안된다며요.. 어떻게 된건가요...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