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점 |
단점 |
약제저항성 문제가 없다. |
농약에 비하여 효과 불안정하다. |
해충 재돌발(resurgence)이 없다. |
도입 시 고려사항 많다. |
작물에 잔류가 없다. |
대상 해충이외에 효과가 없다. |
살포자가 피해를 받지 않는다. |
비용이 많이 든다. |
약제살포 노력이 적게 든다. |
다 발생 시 대응이 어렵다. |
소비자로부터 이미지가 좋다. |
항상 신경을 써야 한다.(장점?) |
작물을 잘 관찰하게 된다. |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장점?) |
기술이 정착하면 지속적 이용가능 |
|
15. 가. 기지의 정의 5점
나. 대책3가지
16. 유기농업에서 허용되지 않는 사료 수의약품에 의존하여
공업적 관리체계 또는 산업관리체계 3점
답 : 공장형 농법
17. 농산물 인증제도 4가지 4점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전환기유기농산물
18. 나방류 성적유인 3점
명칭 : 페로몬
적용예 : 낮에 활동하는 나비는 시각을 이용하여 같은 종임을 확인하는 것
19. 유기농가가 유기농업 실천을 위해 할일 구체적으로 2가지 젠장 12점
가. 환경 농업 생태계 보호 측면 2가지
나. 토양 비옥도 유지 증진 측면 2가지
다. 안전한 농축 임산물 생산 측면
20. 토양중의 수분 상태를 알기위한 토양수분 측정법 5가지 5점
텐시오 메타법, 석고블럭법, 중성자법, TDR, 장력계법
21. 저농약 농산물 생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원칙을 지켜야 한다. 괄호 안을 채워라. 4점
화학비료는 농촌진흥청장·농업기술원장 또는 농업기술센터소장이 재배포장별로 권장하는 성분량의 (1/2)이하를 사용하여야 한다. 유기합성농약의 살포 횟수는 농약관리법 제23조제2항에 따른 안전사용기준의 (1/2) 이하여야 하며, 사용시기는 안전사용기준 시기의 (2배수)를 적용한다. 다만, 안전사용기준상 살포횟수가 1회로 되어 있는 약제는 살포횟수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유기합성제초제는 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
22. 유기 농산물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가능한 자재중 식물과 동물의 제재 5가지? 5점
첫댓글 6번 전환기 아니고요 재포장유통 입니다. 옆에도 재포장유통이구요..., 그리고 유기농산물옆에는 유기농림산물 및 유기축산물 이고요 무기농산물 옆에는 무기농림산물 및 무항생제축산물...... 이렇게 나가는 겁니다. 저도 나중에 알았네요 ㅠㅠ
텐시오미터법=장력계법 같은말 중복 텐시오미터, 사이크로미터법
10번- 천연, 자연, 무공해, 내추럴 15번- 기지의 정의: 연작에 의해 토양이 작물에 대해 적합성을 상실하여 일어나는 피해 대책: 윤작및 답전윤환, 저항성품족의 육성과 그선택, 토양소독, 유독물질제거 등 20번- 텐시오미터법, 중성자법, 석고블럭법, 석고플러그무게법, 채토건조법 (제가 아는데로 써봤는데.. 부분점수 많이 줬으면 좋겠네요~)
부분점수나 진짜 후 하게 주면 좋겠네요 ㅎㅎㅎ
문항당 배점은 어케되는지요???
2번 답은 무엇인가요 정말 똘아이 같은 문제 ...술먹고 낸나
공장형농법이란 용어 코에 걸믄 코걸이 귀에 걸문 귀걸이 같은 문제..... 술쳐먹고 냈어
2번 답은 만성독성(만성중독) 둘중 하나 아닌가요??? 급성독성의 반대말을 묻는 듯 해서..
나타나는것은 이라고 했으니까 만성중독증이라해도 되지 않을까요
문제 뭐냐고 ㅡㅡ 진짜 맘에 안드는고만 !! 토나와 토나와(>_<)
17,번문제 저는 친환경농산물 인증,gap인증,특산물인증,전통식품인증 이라 썼습니다....
전 코덱스 아이폼 등등 ㅋㅋㅋㅋㅋ이 문제는 정말 ㅜㅜㅜ
5번문제에서 2.5kg ..kg 단위를 붙이면 틀린다네여...ㅠ,ㅠ
사료요구율이면 %를 붙여야 하는거 아닌가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무엇 가지고 공부하셧나요 전 솔직히 많이 공부햇는데 생각지도 못한 어휘들이라 생소하기만 합니다 듣고 보니 가장 맛는 답이신것 같은데 소스좀 가르쳐주세요 정말 이번에 또 떨어질것 같네요 ...꼭 좀 가르쳐주세요
사료요구율 2.5 즉 250% 아닐까요
250% 쓰셨다면 오답일겁니다. %로 환산하는 개념은 아니더군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무단복사 막아놓아서 그래요.ㅎㅎ ...........정원하시면 멜주세요..보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