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잇소리 현상
사잇소리 현상은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성 명사를 이룰 때 앞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 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현상이다.
[모음, ㄴ, ㄹ, ㅁ, ㅇ + ㅂ, ㄷ, ㄱ, ㅈ⇒ 모음, ㄴ, ㄹ, ㅁ, ㅇ + ㅃ, ㄸ, ㄲ, ㅉ]
예) 밤길[밤낄], 길가[길까], 봄비[봄삐]
1) 모음 + 안울림 예사소리 → 사이 시옷을 적고 된소리로 발음한다.
예) 뱃사공[배싸공], 촛불[초뿔], 시냇가[시내까]
2) 모음 + ㅁ,ㄴ→ ㄴ소리가 덧남.
예) 이+몸(잇몸)[인몸], 코+날(콧날)[콘날]
3) 뒷 말이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될 때 → ㄴ소리가 덧남.
예) 논일[논닐], 물약[물냑→물략], 아래+이(아랫니)[아랜니]
4) 한자가 모여서 단어를 이룰 때.
예) 物價(물가)[물까], 庫間(곳간)[고깐], 貰房(셋방)[세빵],
焦點(초점)[초쩜], 外科(외과)[외꽈], 齒科(치과)[치꽈]
사잇소리 현상의 특징
1) 예외가 많다.
예) 콩밥[콩밥], 고래기름[고래기름], 기와집, 밤송이, 은돈, 말방울
2) 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 김밥[김밥,김빱], 물거품[물거품,물꺼품]
3) 사잇소리 현상의 유무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예) 나무집 [나무집]-나무로 만든 집. [나무찝]-나무를 파는 집.
고기배 [고기배]-고기의 배. [고기빼]-고기를 잡는 배.
4)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한자어가 많다.
예) 방법(方法), 효과(效果), 고가(高架), 간단(簡單), 교과서(敎科書)
※ 사이시옷이 붙는 경우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우리말과 한자말이 합성된 말에서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로서
다음과 같은 때.
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예) 고랫재, 나룻배, 냇가, 댓가지, 혓바늘, 귓병, 머릿방, 찻잔, 전셋집, 햇수
② 뒷말의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냇물, 빗물,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③ 뒷말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예) 뒷윷, 두렛일, 댓잎, 베갯잇,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2)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에 한하여.
예)庫間(곳간), 茶盞(찻잔), 貰房(셋방), 數字(숫자), 退間(툇간), 回數(횟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