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18:1
"가치는 내면 세계에 있는 우선 순위를 말하고 그 사람으로 하여금 계속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동인이다." 유다와 요셉 자손이 더 크고 넓은 땅을 선점한 상황에서 일곱 지파의 불만은 컸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지체는 분배 지연보다는 기업의 가치를 보지 못하는 데 있지 않았을까. 공주야! 온고지신이란 고사 성어를 아니? 옛 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안다는 뜻이다. 이런 의미에서 성막이야 말로 옛 것 이면서 하나님 나라를 이해하는데 키워드가 된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해 주렴.
"Value is the driving force behind people's continued actions and prioritization within the inner world." The seven tribes must have been dissatisfied with the Judas and Josephs' preoccupation with larger and wider lands. But wasn't their delay in not seeing the value of the enterprise rather than the delay in distribution? Princess! Do you know the idiom "Won Gu Zhi Xin"? It means to learn the old and postpone it to know the new. In this sense, please agree that tabernacle is the old and the keyword in understanding the kingdom of God.
-
성막은 하나님을 만나는 장소라서 ‘회 막’ 이라고도 부른다. 성막, 회 막, 성소, 성전, 지성소 다 같은 말이야. 성막을 짓기 전에는(아브라함 시대) 그때그때 단을 쌓고 예배 의식을 행하였지만, 모세의 장막부터 다윗 시대 까지는 성막이 진 한가운데 세워졌고, 이스라엘 백성이 이동할 때마다 옮겨 다니면서 성막을 중심으로 하나님 나라가 진행되었다. 하나님 나라란 하나님이 통치 하시는 나라인데 현재의 나라가 국민, 주권, 영토 중에 국민이 핵심이라면 고대나, 하나님 나라에서는 주권이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하시라.
The Tabernacle is also called the Tent of Meeting because it is the place where you meet God. Tent of Meeting, Tent of Meeting, Sanctuary, Temple, and Holy Place all say the same thing. Before the Tabernacle was built (in the Abraham period), the tents were built and worshiped at that time, but from the Tent of Moses to the David period, the tabernacle was built in the middle of the tent, and the kingdom of God proceeded around the tabernacle as the people of Israel moved around each time. Remember that the kingdom of God is a country ruled by God, and if the people are the core of the people, sovereignty, and territory, sovereignty is important in ancient times.
-
결국 하나님이 움직이시는 대로 하나님 나라가 이동하는 거야. 여호수아에서 하는 땅 따먹기 싸움은 하나님의 영토를 늘리는 것인데 그 일은 내가 내 안의 가나안을 몰아내고 하나님의 통치 영역을 넓히는 성화의 싸움이다. 역사 서를 보면 법궤가 바람 잘날 없었다. 실로(수18:1)-놉(삼상 21장)-기브온(대상 16:39)에 있다가 솔로몬 때 성전 건물이 지어지면서 없어질 때까지 하나님께서 성막을 통해 이스라엘 가운데 거하셨단다.
In the end, the kingdom of God moves as God moves. The battle of land eating in Joshua is to increase God's territory, which is a battle of the torch in which I drive out Canaan within me and expand the realm of God's rule. If you look at the history books, the ark of the law did not have a good wind. God lived in Israel through the Tabernacle until the temple building was built during the Solomon period.
-
오늘 실로에 ‘회 막’을 세운 것은 모세 오경에 대한 약속의 성취로 땅의 분배가 지체되고 있을 때, 백성들을 실로에 모으시고 하나님께서 임마누엘 하시겠다는 뜻이 담겨져 있어요. 우리가 아는 대로 보혈을 지나 하나님 품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지성소를 통과해야만 해. 그리고 대면하는 언약궤 안에 말씀(십계명)이 있는 것은 말씀으로 통치 하시겠다는 뜻이라고 생각해. 결국, 기업을 차지하는 것(땅 따먹기)이란 내 안에 예수의 통치 영역을 넓혀가는 것이 아닐까?
The establishment of the "Tent of Meeting" in Shiloh today means that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land is being delayed due to the achievement of the promise to Moses and the five scriptures, the people will be gathered in Shiloh and God will do Immanuel. As we know, we must pass through the Holy See to go through the Holy Blood and into God's arms. And I think that the fact that there is a word (the Ten Commandments) in the ark of the covenant we face means that you will rule by the word. After all, isn't taking over a company (land picking) expanding the realm of Jesus' rule in me?
-
기독교 신앙은 하늘에서 이뤄진 하나님의 뜻이 땅에서 구현되는 것을 열망하며 실행에 옮기는 것이다. 잠시 중단 되었던 요단 서편의 땅 분배는 실로로 장소를 옮긴 후 베냐민 지파로부터 다시 시작 되었다. 베냐민 지파의 경계는 북-서-남-동쪽의 순으로 소개되고 그 다음 26개의 성읍들의 목록이 제시되고 있구나. 베냐민 지파는 남쪽에서 가장 유력한 지파인 유다 지파와 북쪽에서 강자인 에브라임 지파 사이에 위치한 땅을 받는다.
Christianity is the fulfillment of God's will from heaven in practice, eager to be realized in the earth. The land distribution of Jordan's western section, which was temporarily suspended, began again with the Benjamin tribe after moving to Shiloh. The boundaries of the Benjamin tribe are introduced in the order of north-west-south-east, followed by a list of 26 towns. The Benjamin tribe receives land located between the Judah tribe, the most powerful tribe in the south, and the Ephraim tribe, the strong tribe in the north.
-
그들은 남북 지파들 간의 긴장을 대표하는 지파들이기도 했기 때문에, 나라가 위태로워질 때,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파가 베냐민 지파이다. 이는 그들이 생존 할 수 있는 조건은 가나안의 비옥한 땅이 아니고, 베냐민 지파의 용맹함도 아니며, 오직 하나님을 의지하는 신앙뿐임을 보여준다. 이 베냐민 지파에서 사울이 나온 것은 의미심장하구나. 강한 지파들 사이에 낀 지파에서 왕이 배출된 것은 하늘의 하나님 말고는 의지할 수밖에 없는 조건에서 나온 것이지.
The Benjamin tribe is the most likely to be affected when the country is in danger because they were also the tribes representing the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This shows that the conditions for their survival are not the fertile land of Canaan, not the valor of the Benjamin tribe, but the faith that relies on God. Saul's emergence from this Benjamin tribe is significant. The king's production from the tribe among the strong tribes came from conditions that only God in heaven had to rely on.
-
우리에게 하나님을 의지하는 것보다 더 확실한 생존의 조건은 없다고 본다. 베냐민 지파는 남북 간 약25km의 작은 땅을 기업으로 받았어. 그렇지만 그 안에는 중요한 성읍들이 포함되고 있고, 후에 훌륭한 인물들이 대거 배출되었다. 중요한 것은 땅의 크기가 아니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내용일 것이다. 베냐민 지파의 기업은 당시 중앙 성소가 위치한 실로에 가깝고, 예루살렘 북쪽 지역을 포함한다. 이것은 모세가 예언이(신33:12)성취된 것이다.
I don't think we have a more certain condition of survival than relying on God. The Benjamin tribe received a small land about 25 km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s a company. However, it included important towns and later produced a large number of great people. What matters is not the size of the land, but the content of life in it. The enterprise of the Benjamin tribe is close to Shiloh, where the central sanctuary was located at the time, and includes the northern part of Jerusalem. This was the achievement of Moses' prophecy (God 33:12).
-
야곱은 베냐민을 “물어 뜯는 이리”로 그 후손이 호전적인 지파가 될 것을 예언하였는데(창49;27)과연 베냐민 지파는 그 호전성으로 인하여 진멸 당할 위기를 맞기도 하였다.(삿21;6) 베냐민 지파 출신 중에 왼손잡이 에훗(삿3장), 사울, 다윗의 군대 장관 아브넬(삼상17;55)등이 있다. 기업은 대략 인구 비례에 따라 분배 되었기에, 베냐민 지파도 가족 수만큼 땅을 받았을 것이다. 이것은 각 지파 간의 힘의 균형보다는 각 지파의 복지와 삶을 더 중시한 조치일 것이다. 나는 소수의 강자가 다수의 약자를 지배하는 이 시대의 사회 악을 어떻게 거부하고 버틸 것인가? 약속된 축복 앞에서 순종을 더디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Jacob predicted that his descendants would become belligerent tribes with "biting wolves" (Chang 49;27), and the Benjamin tribe faced the danger of being annihilated due to their belligerence. (Sat 21;6) Among the Benjamin tribes, there are left-handed Ehud (Sat 3 chapters), Saul, and Avnell (Samsang 17;55), the army minister of David. Since companies were distributed roughly according to population proportion, the Benjamin tribe would have received as much land as their families. This would be a measure that puts more emphasis on the welfare and life of each tribe than on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m. How will I resist and endure the social evil of this era, in which a few strong people dominate the majority of the weak? What is slow to obey before the promised blessing?
-
실로에 회 막을 세우고 온 회중을 모음(1)
땅 분배를 지체하는 지파들에 대한 책망(2-4)
a.여호수아의 책망;2-3
b.여호수아의 제안:4-6
레위 지파와 요단 동편 지파들(7)
이스라엘 백성들의 순종과 땅 분배(8-10)
a.제안대로 땅을 그려서 가지고 옴
b.실로의 여호와 앞에서 제비를 뽑음:10
베냐민 지파의 기업 경계(11-20)
a.서론적 진술:11
b.북방 경계:12-13
c.서쪽 경계:14
d.남쪽 경계:15-19
e.동쪽 경계:20
베냐민 지파 성읍들의 목록(21-28)
a.동편 지역의 성읍:21-24
b.서편 지역의 성읍:25-28
요약적 진술(28)
-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1a)
실로에 모여서(1b)
거기 회 막을 세웠으니(1c)
그 땅이 이미 그들의 앞에 돌아와(1d)
복종하였음이나(1e)
-
이스라엘 자손 중에(2a)
그 기업의 분배를 얻지 못한 자가(2b)
오히려 일곱 지파라(2c)
-
여호수아가(3a)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르되(3b)
너희가 너희 열조의 하나님(3c)
여호와께서 너희에게 주신 땅을(3d)
취하러 가기를(3e)
어느 때까지 지체하겠느냐(3f)
-
너희는 매 지파에(4a)
삼인씩 선정하라(4b)
내가 그들을 보내리니(4c)
그들은 일어나서(4d)
그 땅에 두루 다니며(4e)
그 기업에 상당하게 그려가지고(4f)
내게로 돌아올 것이라(4g)
-
그들이 그 땅을(5a)
일곱 부분에 나누되(5b)
유다는 남편 자기 경내에 거하고(5c)
요셉의 족속은(5c)
그 북편 자기 경내에 거한즉(5d)
-
그 남은 땅을(6a)
일곱 부분으로 그려서(6b)
이곳 내게로 가져올 찌니(6c)
내가 여기서 너희를 위하여(6d)
우리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6e)
제비 뽑으리라(6f)
-
레위 사람은(7a)
너희 중에 분깃이 없나니(7b)
여호와의 제사장 직분이(7c)
그들의 기업이 됨이며(7d)
갓과 르우벤과 므낫세 반 지파는(7e)
요단 저편 동편에서(7f)
이미 기업을 받았나니(7g)
이는 여호와의 종 모세가(7h)
그들에게 준 것이니라(7i)
-
그 사람들이 일어나 떠나니(8a)
여호수아가(8b)
땅을 그리러 가는 그들에게(8c)
명하여 가로되(8d)
가서 그 땅으로 두루 다니며(8e)
그려가지고 내게로 돌아오라(8f)
내가 여기 실로에서(8g)
여호와 앞에서(8h)
너희를 위하여 제비 뽑으리라(8i)
-
그 사람들이 가서(9a)
그 땅으로 두루 다니며(9b)
성읍들을 따라서(9c)
일곱 부분으로 책에 그리고(9c)
실로 진에 돌아와(9d)
여호수아에게 나아오니(9e)
-
여호수아가 그들을 위하여(10a)
실로 여호와 앞에서(10b)
제비 뽑고(10c)
그가 거기서(10d)
이스라엘 자손의 분파대로(10e)
땅을 분배하였더라(10f)
-
베냐민 자손 지파를 위하여(11a)
그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11b)
그 제비 뽑은 땅의 경계는(11c)
유다 자손과 (11d)
요셉 자손의 중간이라(11e)
-
그 북방 경계는(12a)
요단에서부터(12b)
여리고 북편으로 올라가서(12c)
서편 산지를 넘어서(12d)
또 올라가서(12e)
벧아웬 황무지에 이르며(12f)
-
또 그 경계가(13a)
거기서부터 루스로 나아가서(13b)
루스 남편에 이르나니(13c)
루스는 곧 벧엘이며(13d)
또 그 경계가(13e)
아다롯 앗달로 내려가서(13f)
아래 벧 호론 남편 산 곁으로 지나고(13g)
-
벧 호론 앞 남편 산에서부터 (14a)
서방으로 돌아(14b)
남편으로 향하여(14c)
유다 자손의 성읍 기럇 바알(14d)
곧 기럇 여아림에 이르러(14e)
끝이 되나니(14f)
이는 서방 경계며(14g)
-
남방 경계는(15a)
기럇 여아림 끝에서부터(15b)
서편으로 나아가(15c)
넵도아 물 근원에 이르고(15d)
-
르바임 골짜기 북편(16a)
힌놈의 아들 골짜기 앞에 있는(16b)
산 끝으로 내려가고(16c)
또 힌놈의 골짜기로 내려가서(16d)
여부스 남편에 이르러(6e)
엔 로겔로 내려가고(16f)
-
또 북향하여(17a)
엔 세메스로 나아가서(17b)
아둠밈 비탈 맞은편(17c)
글릴롯으로 나아가서(17d)
-르우벤 자손(17e)
보한의 돌까지 내려가고(17f)
-
북으로(18a)
아라바 맞은편을 지나(18b)
아라바로 내려가고(18c)
-
또 북으로 벧 호글라 곁을 지나서(19a)
요단 남단에 당한(19b)
염해의 북편 해만이(19c)
그 경계의 끝이 되나니(19d)
이는 남편 경계며(19e)
-
동방 경계는 요단이니(20a)
이는 베냐민 자손이(20b)
그 가족대로 얻은(20c)
기업의 사면 경계이었더라(20d)
-
베냐민 자손의 지파가(21a)
그 가족대로 얻은 성읍들은(21b)
여리고와(21c)
벧 호글라와 에멕 그시스와(21d)
-
벧 아라바와(22a)
스마라임과(23b)
벧엘과(22c)
-
아윔과(23a)
바라와(23b)
오브라와(23c)
-
그발 암모니와(24a)
오브니와(24b)
게바니(24c)
십 이 성읍이요(24d)
또 그 촌락이며(24e)
-
기브온과(25a)
라마와)25b)
브에롯과(25c)
-
미스베와(26a)
그비라와(26b)
모사와(26c)
-
레겜과(27a)
이르브엘과(27b)
다랄라와(27c)
-
셀라와(28a)
엘렙과(28b)
여부스(28ac)
곧 예루살렘과(28d)
기부앗과(28e)
기럇이니(28f)
십 사 성읍이요(28g)
또 그 촌락이라(28h)
이는 베냐민 자손이(28i)
그 가족대로 얻은 기업이었더라(28j)
-
속도를 넘어선 가치_overspeed value_
지체를 넘어선 가치_value beyond delay_
크기를 넘어선 가치_a value beyond its size_
-
실로에 성막을 두시도록 허락하신 주님, 땅의 분배가 지체되고 있을 때 백성들을 실로에 모으시고 말씀으로 임마누엘하시겠다고 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하나님 나라는 빼앗긴 통치권을 회복하는 것이나이다. 하나님의 통치에 반하는 내 안의 모든 세력으로부터 피 흘리기까지 싸워 내가 하나님의 나라가 되게 하옵소서. 후손들에게 물려줄 신앙의 유산은 머물러서는 안 되고 전수 되어야 한다는 깨달았나이다. 여전히 소수의 강자가 다수의 약자를 지배하는 지대의 사회악을 거부하고 정의로운 하나님나라를 세우는 일에 일조하는 착한 백성이 되어야겠습니다. 주께서 제게 주신 기업을 감사하고 만족하며 이웃을 섬기는데 잘 사용하겠습니다.
Thank you, Lord, for allowing me to put a tabernacle on Shiloh, for bringing the people together in Shiloh and offering to do Immanuel with words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land was being delayed. The kingdom of God is the restoration of the lost sovereignty. Let me be the kingdom of God by fighting until I bleed from all the forces in me against God's rule. Did you realize that the legacy of faith that will be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should not stay but be passed on? I should still be a good people who reject the social evils of the earth where a few strong people dominate the weak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just kingdom of God. I will use it well to thank and be satisfied with the enterprise that the Lord has given me and to serve my neighbors.
2025.1.27.mon.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