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에 대해 알아야 헷갈리지 않는다. 인사말은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 소리가 ㅁ 으로 시작되나 발음상 ㄴ 소리가 덧나지 않으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사말이 맞다.
사이시옷에 대해 정리해 보자.
ㄱ. 햇볕, 냇물, 깻잎
ㄴ. 샛강, 곗날, 훗일
ㄷ. 곳간, 셋방, 숫자, 찻잔, 툇간, 횟수
첫번째, 순수한 고유어끼리 합성될 때 사이시옷이 들어가고 세종류로 발음이 된다.
ㄱ. 된소리 : 해+볕[해뼏/핻뼏]
ㄴ. ㄴ첨가 : 내+물[낸 물]
ㄷ. ㄴㄴ첨가 : 깨+잎[깬닙]
두번째, 고유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도 ㅅ을 받쳐 적는다.
ㄱ. 된소리 새+강[새깡, 샏깡]
ㄴ. ㄴ첨가 계+날[곈날, 겐 날]
ㄷ. ㄴㄴ첨가 후+일[훈닐]
세번째, 한자어와 한자어가 합성될 때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6개 단어가 있다. 원래 한자어끼리의 합성어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
곳간, 셋방, 숫자, 찻잔, 툇간, 횟수
댓가가 맞을 까? 대가가 맞을 까?
성실한 노비는 열심히 일한 댓가로 곳간에 있는 쌀을 받았다. [대가] 가 맞는 맞춤법이다.
뒤뜰, 허리띠, 개펄, 아래층, 허리춤 등은 뒷말의 첫고리가 이미 된소리이거나 ㅍ,ㅊ 등의 거센소리(ㅋ,ㅌ,ㅍ,ㅊ)이기에 사이시옷이 필요없다.
피자집, 핑크빛, 택시값 등은 외래어가 포함 된 합성어이므로 사이시옷을 받혀 적지 않는다.
전셋집, 처갓집, 외갓집, 국숫집 등은 [찝]으로 된소리로 바뀌기에 ㅅ을 받쳐 적으나
기와집, 초가집, 까치집, 누리집은 [집]으로 소리가 나기에 ㅅ을 사용하지 않는다.
첫댓글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원칙은 크게 2가지로 나눌수 있다. 하나는 순 우리말과 순 우리말이 합해져서 한 단어가 될 때, 다른 하나는 순우리말과 한자어가 합해져서 한 단어가 될 때이다. 대가(代價)는 한자어와 한자어가 합해져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그래서 발음으로만 보면 댓가가 맞는 것 같지만 사이시옷이 들어갈 수가 없기에 틀린 표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