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부르스
![]() 대전부르스 / 安貞愛
1.잘 있거라 나는 간다 이별의 말도 없이
떠나가는 새벽열차 대전 발 영시 오십분 세상은 잠이 들어 고요한 이 밤 나만이 소리치며 울 줄이야 아~ 붙잡아도 뿌리치는 목포행 완행열차 2.기적소리 슬피 우는 눈물의 플렛트홈 무정하게 떠나가는 대전 발 영시 오십분 영원히 변치 말자 맹서했건만 눈물로 헤어지는 쓰라린 심정 아~ 보슬비에 젖어우는 목포행 완행열차
|
1959년 어느날 밤 12시40분경. 산책 나온 듯한 한 사내의 시선이 대전역내 이별을 아쉬워하고 있다. 북쪽에선 남자를 떠나보낼 목포행 0시 50분 증기기관차가 플랫폼으로 들어오고... 사내는 곧바로 여관으로 되돌아가 시를 쓴다. 대전부르스 가사였다. 사내는 당시 신세기레코드사 사업부 직원이었던 최치수씨로 작곡가 김부해씨는 부르스로 리듬을 정한 뒤 '안정애'로 정해 녹음에 착수했다. 도매상으로부터 주문이 쇄도했다. 창사이래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고 특별보너스와 월급인상 혜택이 돌아갔다.
십 수 년이 흐른 뒤 이 노래는 조용필의 리바이벌로 세상에 다시 고개를 들었다.
모임이 있을 때 술이 몇 순배 돌아가면 누군가 좌중을 헤치고 비척비척 일어나 소주병이나 막걸리병을 입에 대고 목청껏 부르는 노래가 '대전부르스'다. 귀향과 가출, 생성과 소멸의 상반된 이미지를 내포한 역(驛)을 내세워 60년대 어려웠던 소시민의 애환을 달랬다. 지친 몸을 이끌고 들어오는 역의 실루엣은 작가들의 단골 소재다.
대전부르스 (작사: 최치수. 작곡: 김부해. 노래: 안정애)
1959년 2월 제33열차로 탄생한 이 기차는 밤 8시 45분에 서울을 출발, 다시 목포를 향해 0시50분에 출발했다. 당시에는 대전역을 거쳐갔다. 대전역 인근 시장에서 광주리 물건을 팔던 막차를 기다리던 지방사람들이었다. 새벽열차가 북적대기도 했다. 1년만인 1960년 2월 대전발 03시05분 발차로 이미 운명을 달리했다. |
..
대전 부르스 - 장사익
잘있거라 나는 간다 이별의 말도 없이 떠나가는 새벽열차 대전발 영시 오십분 세상은 잠이들어 고요한 이 밤 나만이 뿌리치며 울줄이야 아- 붙잡아도 뿌리치는 목포행 완행열차 기적소리 슬피우는 눈물의 플렛트홈 무정하게 떠나가는 대전발 영시 오십분 영원히 변치말자 맹세했건만 눈물로 헤어지는 쓰라린 심정 아- 보슬비에 젖어가는 목포행 완행열차 |
조용필<대전부르스>
#장사익 노래 정지시키고 재생버튼 클릭하삼 ㅋㅋ
대전역 전경
사통팔달 교통의 요충지였던 대전은 경부선이 개통되고 대전역이 들어서면서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형태의 너른 벌판이었던 곳이 마을이 생겨나고 원도심이 형성되면서 역사속에 휘말리기도 하였다.
그렇게 근대역사가 이루어지면서 최근에는 정부 제2청사가 들어서는가 하면 삼군 본부가 내려오고
대덕 테그노벨리가 형성되는 등 대전역과 더불어 급변하는 도시로 변하였다. 대전역사 외관만 하더
라도 준공되었을 당시 이후에 서너번은 바뀌었다. KTX가 생기면서 새 역사가 준공되고 대전역 뒷편
으로는 동광장역이 새로 생기면서 역 아래로는 동광장역과 관통하는 지하차도가 개설되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때의 옛 대전역 [사진출처:Naver]
대전역과 대전부르스 노래비
'대전부르스' 라는 노래의 무대가 되어 여러명의 가수들이 불러 더 유명해진 대전역, 노래의 '대전
부르스'가 만들어졌던 그 당시에는 0시50분발 완행열차가 있었고 지금은 호남선 종착역인 목포에
도착하는 기차가 있었던 모양이다.
대전부르스
작사:최치수 작곡:김부해 노래:안정애
대전역 좌측의 맞이방
대전역과 지하철 4번 출구
대전지하철 1호선은 판암동에서 출발하여 대전역을 지나며 둔산 정부청사로 이어지고 유성을 거쳐
노은동, 침산동까지 이어지는데 대전역 4번 출구는 역 대합실과 바로 연결되어 있어 대중교통 연계
성이 뛰어나다.
역 대합실에 설치되어 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공중전화
대합실 풍경
서울역을 출발한 기차는 회덕역 근처 대전조차장에서 경부선과 호남선이 갈라져 경부선은 대전
역에서,호남선은 서대전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호남선은 서대전역을 출발하여 익산 정읍 광주
목포까지 이어진다.
경부선은 대전역을 기점으로 상행선은 조치원 천안 수원을 거쳐 서울역까지 하행선은 영동 대구
밀양을 거쳐 부산까지 이어진다. 또한 하루에 몇번 운행되는 충북선은 대전역을 출발하여 조치원
청주 증평 충주까지 이어진다.
동광장 역으로 가는 통로
동광장역으로 가는 통로 창에서 본 풍경
동광장 역
대전역 뒷편으로 동구 지역인 대동 성남동 소제동 자양동 등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원동이나
소제동을 우회하여 대전역에 올 수 있었는데 지금은 동광장 역이 생겨 한결 편리해졌다.
대전시티 순환버스 승강장
역 플랫홈에서 짜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김이 모락모락 나고 면발이 굵은 맛깔스런 가락국수를 먹
던 풍경들은 어디로 간건지..... 광장 나무그늘 아래에는 어르신들의 쉼터가 있었는데 그 어르신들
은 다 어디로 가셨는지...사람을 잘 따르던 광장의 비둘기는 모두 어디로 옮겨가 둥지를 틀었는지.
그 넓디 넓었던 광장은 구조물들이 빽빽히 들어서 있고 한 켠에는 대전시에서 운행하는 대전시티
투어 버스가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대전역과 도청 사이의 중앙로
윗 사진은 대전역에서 직통으로 맨 막다른 곳에 보이는 도청, 앞쪽의 도로는 KTX가 생기면서 새
로 개통된 동대전 역으로 관통하는 지하차도이다.
계족산 능성 고스락에서 보면 대전역과 도청사이를 잇는 중앙로 거리등이 일직선으로 조망된다.
즉 능성과 대전역 도청은 일직선상으로 되어있다. 대전역에서 도청을 바라보면 우측으로는 중동
정동 선화동이 좌측으로는 원동 은행동 대흥동이 형성되어 있다.
백제와 신라의 접경지역이었던 대전은 일제강점기때에 경부선이 가설되고 충남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되면서 근대화 물결이 소통되고 발전되기 시작하였다한다. 발전을 거듭하여 고속철
도 KTX가 가설 운행되어 대전에서 서울은 한시간, 부산까지는 두어 시간이면 가고, 그 시간에 올
수 있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그러나 마음 한 켠에는 늘 낭만적인 완행열차 여행을 꿈꾸고 있고 기차를 타면서 무엇인가 희망을
가질 수 있을것만 같은 생각에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역, 기차역으로 향하고 있는 것이다.
첫댓글 대전에는 대전 부르스, 부산에는 남포동 부르스가 있는데 대구엔 부르스가 없다??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래에 향촌동 부르스 올려 놓았으니 즐감하세요~
부르스의 사나이 재테크멘 부르스 는 없나,, ㅎ ㅎ ㅎ
맨 부르스는 없어도 미망인 부르스는 있다 진짜루~~
재테크맨의 지식 용량에 감탄, 감탄!!. 말씀만 드리면 해설이 수울~술~,
제가 딴거는 몰라도 이런 쪽엔 좀 조숙했시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