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유형 |
하위 정의유형 |
특징 |
예 |
기능적 정의 |
행위자 기능 |
목표 낱말의 움직임, 생물뿐만 아니라 무생물이 행위자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도 해당 |
장사: 사람이 파는 것 |
도구적 기능 |
목표 낱말로 할 수 있는 기능 |
다리: 물에 안 빠지게 하는 것 | |
관계적 정의 |
관련실체 |
목표 낱말과 특히 관련된 사물이나 사람 |
차: 바퀴가 달려 있어요 |
물리적 정의 |
속성 |
목표 낱말 특유의 여러 가지 속성들(모양, 소리, 크기, 길이, 양, 색, 속도, 맛, 온도, 세기, 무게 등) |
김: 까맣고 밥이랑 김싸서 먹어요 금: 반짝반짝하는 거 |
이 연구를 통해 고기능자폐성장애 아동은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과 더불어 어휘적 모호성이 포함된 단어의 정의하기에서 특히 열세의미를 같은 단어에 대한 또 하나의 의미로 통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진 단어를 처리할 때, 먼저 처리되는 우세단어 이외에 또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열세의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인지적 수행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어휘적모호성이 포함된 단어정의하기를 통해 표현에 대한 분석이나 오류분석 등과 같은 질적 특성에 대한 접근도 필요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
이희란(2012). 자폐성장애 아동의 어휘적모호성 단어 정의하기. 자폐성장애연구, 12(2), 21~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