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中 스모그 관련 산업 성장 | ||||
---|---|---|---|---|---|
게시일 | 2014-08-14 | 국가 | 중국 | 작성자 | 유근영(시안무역관) |
품목 | 품목코드 | ||||
-->
-->
中 스모그 관련 산업 성장 - 스모그로 인한 피해 눈덩이처럼 커져 - - 공기정화기 등 관련 제품으로 중국시장 공략해야 - 스모그로 뒤덮인 중국 자료원: 百度(바이두) □ 중국의 스모그 날이 갈수록 심각 ○ 스모그 일수 증가에 따른 경제적 손실 - 지난 6월 4일 중국 환경보호부가 발표한 2013년 '중국환경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스모그 일수는 평균 35.9일로 지난 1961년 이래 최대치 기록함. 중국 정부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연간 68억 위안(약 1조1000억 원) 수준으로 추정 ○ 신경계 독성물질 농도 증가 - 중국의 스모그 영향을 크게 받은 한국에서 황사 때보다 많은 중금속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남. 작년 1월 대비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이 3, 4배 증가, 비소와 납 등은 2, 3배 증가 ○ 중국, 특히 북쪽 지방 스모그 피해가 커 중국의 대기오염 가장 심한 10개 도시 자료원: 新华网 - 대기오염이 가장 심각한 10개의 도시 중 랑방, 싱타이, 바오딩 등 5개의 도시는 허베이 성의 도시이며 허베이 성이 둘러싼 톈진과 북경을 포함 7개의 북쪽 도시가 속함. □ 중국 정부의 대책 ○ 리커창의 보고 - 지난 3월 제12기 전국 인민대표대회 제2차 회의 정부 업무보고에서 리커창은 600만 대의 노후 차를 폐차하고 분진제거시설 등을 장착하며 소형 석탄 보일러 5만 대를 도태할 것을 발표함. ○ 허베이 성 스모그 개선에 전폭적인 투자 - 허베이 성 발전개혁위원회 측은 허베이 성이 앞으로 3년간에 걸쳐 4853억 위안을 들여 석탄 보일러 개선과 배기가스 배출이 심한 차량 정비 등 12개 대기 오염 개선 프로젝트를 벌일 계획이라고 밝힘. □ 스모그 관련, 중국에서 새롭게 뜨는 산업 ○ 안개 대포차(雾炮车)를 통한 미세먼지 감소 - 물을 고압으로 뽑아 올려 송풍기로 뿜어내는 방식의 대포차 개발함. 초미세먼지 pm 2.5를 15% 낮출 수 있다고 당국은 발표했지만 전문가의 반응은 냉담 ○ 스모그 보험 탄생 - 스모그로 베이징(北京), 시안(西安), 상하이(上海), 하얼빈(哈尔滨), 청도(成都), 광저우(广州) 등 6개 지역은 2012년 1~11월 동안 2013년에 비해 관광객이 10% 하락함. 이에 따라 여행기간 이틀 이상 스모그가 지속 될 경우 많게는 50위안까지 보상하는 대책을 마련하지만 이를 악용하는 이들이 나타나 1주일 만에 중단 ○ 환경세 부과 - 2008년도부터 시작된 환경세 부과 정책은 현재까지도 계속해서 논의가 됐지만 아직 통과되지 않은 사안임. 하지만 이 사안이 통과되면 일반적으로 이산화황, 질소산화물을 배출하는 곳인 화력발전소, 석탄 공장, 제련 및 기초산업공정 관련 공장 등이 크게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이지만, 반면 환경세의 징수가 시작되면 그 규모는 1000억 위안을 웃돌 가능성이 있고 환경보호 관련의 상장기업에 있어서는 발전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문가는 평가함. ○ 토륨 원자로 - 중국 스모그의 치명적인 원인인 석탄과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토륨 원자로로 현재 중국에서 많은 자금을 들여 개발 중인 신에너지 □ 스모그로 부각되는 수입제품 동향 ○ 공기청정기 - 중국의 심각한 스모그로 인해 공기청정기 산업이 크게 성장 중임. 현재 중국 내 선호 브랜드 10개 중 5개인 필립스(네덜란드), SHARP(일본), PANASONIC(일본), 일렉트로룩스(스웨덴), 에어로스위스(스위스) 등이 해외 브랜드로 한국 기업의 점유율 확장도 기대해 볼 수 있음. - 현재 일본 도시바와 파나소닉은 현재 중국에 생산라인이 진출할 정도로 중국의 공기청정기시장은 방대해짐. 중국 내 공기청정기 브랜드별 선호도 ○ 방진 마스크 - 스모그 피해 상황에 따라 야외활동인구를 중심으로 방진 마스크 역시 큰 관심을 얻음. 공기청정기보다 저렴하고 휴대가 가능한 마스크는 새롭게 뜨는 제품 중 하나 - 중국 소비자는 방진 마스크 구매 시 가격보다는 브랜드를 더 중시함. 아직 한국산 제품 중 시장에서 널리 팔리는 제품은 없으나 한국산 제품의 전반적 신뢰도가 높아져 앞으로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 시 시장 확대가 기대됨. □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 한국의 공기청정기 중국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감 커져 - 중국 내 스모그 관련 제품의 시장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국내 공기청정기 관련 업체의 주가 지속적으로 상승함. 앞으로도 미세먼지 관련 산업의 성장성이 주목됨. - 아직 한국 기업이 중국시장 내 시장 점유율이 높지 않지만 중국의 스모그 현상은 미래 15~20년 내 완전한 해결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한국 공기청정기 제품의 중국시장 진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짐. ○ 기타 미세먼지 관련 신규 아이템 개발에도 노력해야 - 실외 활동 인구를 겨냥한 방진 마스크, 기관지 환자 급증에 따른 의약품 등 앞으로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제품 개발 및 중국시장 진출에 적극 나서야 할 시점임. 자료원: 百度(바이두), ZDC(ZOL), 新华网, GW, 阿里巴巴 등 종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