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재불용(天才不用)
'재주가 덕(德)을 이겨서는 안된다' 라는 말입니다.
요즘 젊은 엄마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자식(子息)을 천재(天才)로 키우려고 합니다.
하지만 세상(世上)에 나가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은 천재(天才)가 아니라 덕(德)이 있는 사람입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尊敬)을 받고 지도자(指導-者)의 위치(位置)에서 사회(社會)를 이끄는 사람은 천재(天才)가 아니라 덕(德)이 높은 사람입니다.
사람들은 천재(天才)를 부러워하지만 천재(天才)는 오래가지 못합니다. 하지만 덕(德)은 영원(永遠)합니다.
그러므로 머리 좋은 사람으로 키우기 전에 덕(德)을 좋아하고 덕(德)을 즐겨 베풀 줄 아는 사람으로 키워야 할 것입니다.
공자(孔子)는 천재불용(天才不用)이라하여 덕(德) 없이 머리만 좋은 사람은 아무짝에도 소용(所用)이 없다고 했습니다.
이는 공자(孔子)와 황택(皇澤)의 이야기에서 잘 알 수 있습니다.
어느 날 공자(孔子)가 수레를 타고 길을 가는데 어떤 아이가 흙으로 성(城)을 쌓고 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수레가 가까이 가도 아이는 비켜줄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얘야. 수레가 지나갈 수 있도록 길을 비켜주겠느냐?"
그런데도 아이는 쭈그리고 앉아 하던 놀이를 계속(繼續)했습니다.
그러고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수레가 지나가도록 성(城)이 비켜야 합니까? 아니면 수레가 성(城)을 비켜 지나가야 합니까?"
아이의 말에 공자(孔子)는 똑똑한 녀석이라고 생각하며 수레를 돌려 지나가려 했습니다.
그러다가 아이에게 이름과 나이를 물어보았습니다.
그러자 이름은 황택(皇澤)이며 나이는 8살이라 했습니다.
이에 공자(孔子)는 "한 가지 물어보아도 되겠느냐?"
그러고는 " 바둑을 좋아하느냐?" 라고 물어보았습니다.
그러자 황택(皇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군주(君主)가 바둑을 좋아하면 신하(臣下)가 한가롭고, 선비가 바둑을 좋아하면 학문(學問)을 닦지 않고, 농사(農事)꾼이 바둑을 좋아하면 농사(農事)일을 못하니 먹을 것이 풍요(豊饒)롭지 못하게 되거늘 어찌 그런 바둑을 좋아하겠습니까?"
아이의 대답(對答)에 놀란 공자(孔子)는 한 가지 더 물어도 되겠냐 고 하고는 "자식(子息)을 못 낳는 아비는 누구냐?" 라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아이는 허수아비라고 대답(對答)했습니다.
"그러면 연기(煙氣)가 나지 않는 불은 무엇이냐?"
"반딧불이입니다."
"그러면 고기가 없는 물은 무엇이냐?"
"눈물입니다."
아이의 거침없는 대답(對答)에 놀란 공자(孔子)는 입을 다물지 못했습니다.
그 순간 아이가 벌떡 일어서며 "제가 한 말씀 여쭤도 되겠습니까?" 하고 말했습니다.
공자(孔子)가 그렇게 하라고 이르자 아이는 이렇게 물었습니다.
"아주 추운 겨울에 모든 나무의 잎들이 말라 버렸는데 어찌 소나무만 잎이 푸릅니까?"
공자(孔子)는 잠시(暫時) 생각하다가 "속이 꽉 차서 그럴 것이다." 하고 대답(對答)했습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습니다.
"그렇다면 속이 텅 빈 저 대나무는 어찌하여 겨울에도 푸릅니까?"
그러자 공자(孔子)는 "그런 사소(些少)한 것 말고 큰 것을 물어보아라" 하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아이가 다시 물었습니다.
"하늘에 별이 모두 몇 개입니까?"
"그건 너무 크구나."
"그럼 땅 위의 사람은 모두 몇 명입니까?"
그것도 너무 크구나."
"그럼 눈(目) 위의 눈썹은 모두 몇 개입니까?"
아이의 질문에 공자(孔子)는 아무런 대답(對答)을 하지 못했습니다.
공자(孔子)는 아이가 참 똑똑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하여 아이를 가르쳐 제자(弟子)로 삼고 싶다는 생각을 잠시(暫時)했습니다.
하지만 공자(孔子)는 아이가 머리는 좋으나 덕(德)이 부족(不足)해 궁극(窮極)에 이르지는 못 할 것이라는 사실(事實)을 내다봤습니다.
그리하여 다시 수레에 올라 가던 길을 계속( 繼續) 갔습니다.
실제(實際)로 황택(皇澤)의 이름은 그 이후( 以後)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의 천재성(天才性)은 8살에서 끝이 나고 말았던 것입니다.
사람들은 머리로 세상(世上)을 산다고 생각하지만 사실(事實) 머리가 세상(世上)에 미치는 영향(影響)보다 가슴이 미치는 영향(影響)이 휠씬 큽니다.
그러므로 머리에 앞서 덕(德)을 쌓고 덕(德)으로 세상(世上)을 살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할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상(世上)이 온갖 거짓과 모순(矛盾)과 악(惡)으로 넘쳐나는 것은 지식(知識)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덕(德)이 모자라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은 천재교육(天才敎育)이 아니라 "재주가 덕(德)을 이겨서는 안된다." 라는 소박(素朴)한 진리(真理)일 것입니다.
❤️🧡💛💚💙💜❤️🧡💛💚💙💜
카페 게시글
♡━━ 쥐띠방
☆ 6월 16일(일) 천재불용(天才不用) - 덕이 없고 머리만 좋으면 쓸데 없다!!!
성종1
추천 0
조회 123
24.06.16 06:50
댓글 8
다음검색
첫댓글 99%의 노력으로
이루어 지는 세상이었으면
하네요.
노력하면 소수의 최고의
반열에는 들어가지
못하더라도,
일상 사는데에는 별 지장이 없겠지요.
같은 노력과 시간을 쏟아도 해결하는 방법에 따라 결과가 차이도 나고,
최종적으로는 하늘이 완성해 주겠지요~
옛말에
덕을 겸비한 장수는
이길 수 없다는 진리요^^~
덕이란말을 한마디로 정의할순 없어도,
베푸는 마음,
배려하는 마음,
인정이 있는 마음,
그런 마음 가짐과 표현
아닐까요.
무식한 놈이 용감까지 할때
제일 무섭지요.
무식과 용감을 겸비한 이런 사람이 행동을 하면 난감하쥬.~~
(재주가 덕을 이겨선 안된단. 글 )
정말 귀감이 되는글 입니다
머리좋은사람은 살아가며 해악을
끼치는 예가 많은것을 보면 인성의
덕을 겸비한 중요성 참. 배위야할것 같아요
지인님,
감사합니다.
재주도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바른 인성도 꼭 필요하지요,
운동선수들, 가수든
재능은 뛰어난데, 인성이 뒷받침이 안되
비난받고, 외면당하쟎아요.
자존감, 자신감은 필요하지만, 자만심은 버리고 살면, 좋을때가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