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다우와 나스닥이 혼조세를 보였고 국내 증시도 전고점이라는 부담감에
코스닥은 어제보다 2.65p(-0.15%)내린 1749.55p로 마감하였고 코스닥은 어제보다 1.56p(+0.30%)오른 519.24p로 마감하였다.

장중엔 국내 1분기 GDP가 전년동기대비 7.8% 성장했다는 소식에 1756p까지 상승하기도 하였으나
기관과 투신권의 매도물량에 하락세로 마감할 수 밖에 없었다.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보면 역시 외국인이 한국시장에서 발을 빼지 않고 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 기계, 음식료업, 화학업들이 상승세를 보였고
그동안 상승세를 이어오던 보험업과 금융업, 종이목재업이 하락세를 보이고있다.

특징주 들로는
새만금 방조제 완공 소식에 케이아이씨가 상한가로 마감했고 관련주인 서호전기와 디지텍시스템이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며
실적개선에 대한 기대와 낙폭과대라는 분석에 한전기술과 한전KPS가 모처럼만에 크게 상승 했으나
200여억원의 유상증자 소식을 발표한 오라바이오틱스는 하한가 로 마감했다
부도설로 23일 거래정지 된 대우자동차판매 가 27일 오전 주요 협력업체들과 상거래 채권 상환방안에 극적으로 합의하여 최종 부도 위기를 넘겼으나
대우버스와 대우타타 등 합의를 이끌어낸 채권자 외의 나머지 채권자들과의 합의도 남아있어 아직도 살얼음판위에 있는 상태이다
명확한 수익모델도 없고 비용절감 등을 통한 경영정상화에는 한계가 있는만큼 쌍용차와의 본계약과 송도개발사업이 추진되는 사항 등
현재 진행중인 일들에 대한 과정을 지켜보며 차 후 어떤 수익모델들을 제시하는지에 관심을 두어야 할것이다.
또 김연아 효과로 밴쿠버 동계올림픽이 한창인 2월 중 5450원까지 찍었던 IB스포츠가 김연아 어머니인 박미희씨가 대표이사겸 주주이고 김연아 본인도
주주로 참여한 '올댓스포츠'를 설립했다는 소식에 어제 10%이상 급락했다가 오늘 만외하는 모습을 보였고
제일바이오, 이글벳, 씨티씨바이오등 구제역으로 급등했던 대부분의 관련주들이 상승전 가격대까지 상승폭을 거의 반납한 초라한 모습을 보였다.
26일 한국 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사장에서 상장폐지가 결정된 회사는 30개사인데 이중 18개 회사에서 작년 이후 신사업을 추진했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신사업에 뛰어든다고 하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이를 미끼로 주가를 끌어올린 뒤
고가에서 유상증자나 사채를 발행하여 현금을 챙기고 뒷일은 나몰라라 하는 회사들이 많았었기 때문에 죄없는 투자자들만이 고생을 하고 있다.
LCD부품 회사이던 CL은 통신관련 솔루션 업에 진출한다고 하여 900원대의 주가를 2100원대까지 끌어올렸지만 결국 상장폐지되었고
정보기술사업을 하던 포네이처는 캄보디아 복권발행사업이라는 쌩뚱맞은 신사업을 발표하며
1500억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것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했지만 결국 시작도 못해보고 상장폐지를 맞았다.
아직도 한탕과 급등을 쫒으며 이런 주식들에 열광하는 개미들이 있어서 안타까움을 금치 못한다.
더 높은 수익률을 위하여 끊임없는 종목 발굴의식은 높이 사줄만 하나 신사업이라 하여 무조건 좋게만 본다거나
유행하는 테마업에 뛰어드는 회사라하여 앞뒤안가리고 매수를 한다면 뒷일은 아무도 책임져 줄 수 없다
급등하는 주식에도 룰이있고 유행하는 테마에도 공략법이 따로있다
한번의 상한가에도 거래량과 이평선과 재료의 "급수"를 따져물어야 할것이며
테마주도 며칠에 그치는 테마가 있고 몇달에 이르는 테마가 있으니 공부만이 살길이라 할 수 있다.
힘들게 벌어 아끼고 아껴 모은 종자돈이니 만큼 투자 할 때에는 신중을 기하길 바란다.
테마주들을 보면

상장폐지 리스크 축소 의견들이 나오면서 에듀패스가 11%대의 상승했을 뿐
삼양옵틱스, 지앤디윈텍, AD모터스, CMS 등 대부분의 전기차들이 조정권을 벗어나지 못했고
동양강철, 대아티아이, 세명전기, 리노스, 삼현철강등 철도관련주들이 코스피 강세장에서
별다른 기색없이 옆으로 기만 모으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정부가 전자출판 활성화를 위해 2014년까지 총 6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는 소식에 어제 급등했던
아이리버, 아이컴포넌트, 인터파크, 예스24등이 오늘 상승 여파를 조금이나마 이어갔고
모건코리아, 보성파워텍 등의 원전 관련주와 퍼스텍, 비츠로테크, 비츠로시스등의 우주항공 관련주도 뚜렷한 징조를 보이지 않았다.
이제 코스피도 클만큼 컸으니 틈새시장을 노린 테마주들의 활개침을 기다려 본다.
강세장 후반부에 되풀이되는 우선주 집단상한가 현상이 오늘도 재연되었다.
신원우, 서울식품우, 대한펄프우, CJ씨푸드1우, 로케트전우, 벽산건설우, SK네트웍스우, 동부하이텍1우
이 우선주들이 전부 오늘 상한가에 안착했다.
심지어 서울식품 우선주는 서울식품 보통주 보다 몇 배 더 비싸고, 로케트전기도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더 비싸다.
증시가 갈때 까지 간 후 이런현상이 되풀이 되었던 것도 암울한 징조이지만
더 큰 문제는 금리가 3%대 초반으로 내려와 2%대를 넘보는 상황인지라 출구전략 이야기가 나오지 않을 수 없다.
국제 원유와 곡물가 급등으로 지난달 인도의 연료비는 12% 식료품비는 16%넘게 상승했고
무역적자를 타개하겠다고 통화가치를 3.25%절하한 베트남은 수입물가 폭등으로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3월에 9%를 넘었다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의 물가상승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이런 저금리는
추 후 엄청난 인플레이션 쓰나미를 몰고 올 수 있기때문에 언론에서의 출구전략 이야가기 더욱 거세지고 있다
한국의 금리인상 시기는 이미 놓쳤다는 의견이 나올정도로 위기의식이 팽배한데
정부는 선거를 의식하여 금리인상 시기를 더욱 늦추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어 포퓰리즘 저금리라는 핀잔까지 듣고있다.
오늘 중국증시가 부동산 규제 우려감에 2%가 넘는 급락을 한 상태라서 내일 이 영향이
유럽과 미국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있게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요즘 정말 지루한 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 회원님들 계좌에 늘 수익 그득~히 남기시길 바라구요~
항상 성투만 하세요~ ^^*
첫댓글 시황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잘보고가요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거의 꼭대기인것 같네요.. 플러스님 시황분석 감사합니다~^^
언젠가 코스피가 훅가는 그날을 기다리는 한사람입니다^^
감사합니다
기둘리고 있었는데~~~^^ 잘읽고 가용~~~~
플러스님 시황 잘 읽고 갑니다. 주식이란...참으로 어렵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캄사합니다.
시황 감사합니다. 날씨가 변적서러운 만큼 감기 조심하세요 ^^;
좋은 시황 감사 합니다. ^^
언제나 감솨해여~~
안개증시에 항상 등불이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시황이네요..항상감사드립니다
시황 감사하게 잘 보았습니다.
언제나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