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생모 샴푸에 대해 잘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냥 계면 활성제에 대해 잘 아시는 분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게시판 글도 있지만,TV에서도 봤습니다.
대부분의 샴푸는 인공 계면 활성제가 첨가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인공? 계면 활성제와 천연? 계면 활성제가 따로 있습니까?
일반적으로 "Sodium lauryl Sulfate(SLS), Sodium Laureth Sulfate(SLES)"와 같이 표시된 성분은 인공 계면 활성제인가요?
천연 계면 활성제일 수 있습니까?
장생모 샴푸통을 보니까,성분 표시가 되어 있는데 "Sodium lauryl Sulfate(SLS), Sodium Laureth Sulfate(SLES)"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
이런 성분이 계면 활성제인것은 탈모를 겪으신 분들은 어느정도 잘 알고 계신 것 같은데,그렇다면 장생모는 왜 계면 활성제가 들어 있다고 버젓이 표시를 했을까요?
장생모에 표시된 "Sodium lauryl Sulfate(SLS), Sodium Laureth Sulfate(SLES)" 이와 같은 것이 천연 계면 활성제일 수 있습니까?
이름만 똑같을 뿐 "인공","천연"이 다릅니까?
"천연" 계면 활성제 같으면 저런 표시를 하지 않을 것 같은데요
"Sodium lauryl Sulfate(SLS), Sodium Laureth Sulfate(SLES)"외 수분공급,기타 여러가지 화학? 적인 이름 같은 성분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확인을 해보니까,대부분 화학적? 내용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장생모 샴푸는 성분을 표시하는 이름은 인공적인 것과 똑같지만,실제로는 천연성분이므로 버젓이 표시를 한 것일까요?
장생모가 화학성분을 버젓이 표시했을리 없다는 생각입니다.
왠지,인공? 계면 활성제 같다는 생각도 조금은 들지만,믿는 만큼 진짜 화학적인 계면 활성제는 아닐 것이라 생각합니다.
댕기머리 샴푸도 계면 활성제가 들어 있다는 내용은 어디서 봤습니다.
비싼 돈 주고 구입을 했는데 인공 계면 활성제와 똑같은 이름이 성분 표시에 주루룩 나옵니다.
장생모의 표시된 계면 활성제가 천연이면 어떤 물질에서 추출했을까요?
과연 효과는?
샴푸,토닉은 이제 진절 머리가 납니다.
믿는 것마다 완전 발등을 찍으니...
머리털은 언제나 나려나?
또 찍지는 않겠지?
잘 아시는 분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SLS, SLES 는 합성 계면 활성제입니다. 천연계면활성제를 쓰는 경우는 야자열매 등에 있는 성분을 씁니다. 그리고 시중의 샴푸의 대부분은 SLS 나 SLES 가 들어 있습니다. (심지어 치약에도...). 그러니 크게 신경을 안쓰고 다른 부가적인 약효성분들만 신경쓴 것이겠지요.
요즘 들어 계면 활성제 이야기가 많습니다. 천연보다는 당연히 악영향이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직접적 탈모와의 연관성이 있다고는 할수 없고 연구결과도 없습니다. 그냥 티비에서 비춰지는 것은 두피의 민감화라고 하지만 탈모와의 연관성은 아니죠. 그렇다면 우리나라 대다수가 대머리가 됐을겁니다...하지만 합성계면활성제가 천연계면활성제보다는 민감한 두피에는 않좋은 영향이 있는건 분명하므로 그냥 아미노산계 활성제나 천연샴푸등을 알아보면 될거 같습니다.
정답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