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주간조선에 서울중앙병원을 집중취재한
기사로써 울산의대지망 수험생도 있을 것 같아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질문은 med.ulsan.ac.kr의 입시 Q&A를 이용해
주시면 상세하게 답변해드립니다.
그럼 남은 기간 화이팅
집중취재]서울중앙병원의 경쟁력
"수술 잘하는 병원" 간-심장 이식 성공률 세계적 수
준
2200병상 국내 최대…40개 특수 클리닉 '초전문 진
료'
'국내에서 가장 큰 병원은 어디일까.' 서울대병원이
나 신촌세브란스병원이 아니고 서울중앙병원(원장·홍
창기)이다. 통상적으로 병원 규모는 병상(bed)을 기준
으로 하기 때문에 2200병상을 갖춘 서울중앙병원이 국
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2위는 1560병상의 서울대병
원이다.
▲ 서울중앙병원의 간이식 수술. 국내서 이루어지는
간이식의 50%가 이 병원에서 행해진다. 수술성공률은
90%로 세계적 수준이다.
따라서 서울중앙병원의 1일 진료환자 수는 7000~8000
명(외래·입원환자 포함)에 달하며 연간 진료환자는
250만여명(외래 169만5000명, 입원 75만4000명)에 이
른다. 하루 평균 170건의 고난도 수술을 시행하고 있
으며 국내 최대 규모의 중환자실(159병상)을 유지하
고 있다. 이를 위해 1000여명의 의료진(교수 인력 274
명 포함)과 1700여명의 간호사 등 4500여명의 직원들
이 일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중앙병원의 명성은 이같은 외형적 규모에
있지 않다. 오히려 ‘수술 잘 하는 병원’으로 유명하
다. 서울중앙병원은 개원한 지 12년(1989년 개원)에
불과하지만 외과적 수술 분야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
한다. 이 병원의 의학적 성과는 한국 의료 발전사로
연결된다. 지난 1992년 첫 심장이식 성공, 94년 첫 생
체 부분 간이식 성공, 99년 첫 간ㆍ신장 동시 이식 성
공, 2000년 두 사람 간 한 환자에게 이식 성공….
특히 간, 심장 등 장기 이식분야는 이 병원의 트레이
드 마크. 국내서 행해지고 있는 간이식의 58%, 심장이
식의 52%, 췌장이식의 79%가 이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 이 병원의 간이식 성공률은 90%, 심장이식
성공률은 95%로 세계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실제로 수년 전 각각 병원장과 대통령 주치의를 지낸
서울대병원 원로 교수 두 명이 서울대병원이 아닌 이
병원에서 간암 수술을 받아 화제가 됐다. 당시 서울대
병원에서는 이를 놓고 설왕설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
졌다. 서울중앙병원은 “비교적 외과가 많이 발전했다
는 것이지 그렇다고 내과 분야가 약한 것은 결코 아니
다”고 말했다.
■어떻게 '수술 잘 하는 병원' 됐나
서울중앙병원이 '수술 잘 하는 병원'으로 급성장한 원
인은 어디에 있을까.
▲ 서울중앙병원과 하버드의대 사이의 교류협력 조인
식. 지난 96년 이후 2년에 한번꼴로 공동 학술심포지
엄을 개최하고 있다.
병원측은 우선 민병철(72) 전 원장의 공로가 컸다고
말한다. 한때 우리 의료계에서 ‘최고 칼잡이’로 꼽
혔던 민 전 원장은 국내 최초로 미국 외과 전문의 자
격을 딴 데 이어 일본 위주의 의술을 지향하던 지난
60년대에 미국의 선진 외과 의술을 도입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런 민 전 원장이 초창기부터 약 10년간
서울중앙병원을 이끌면서 외과 분야가 급격한 발전을
이루게 됐다는 것이다.
또 병원측은 장기적 안목에서 과감하고 집중적인 투자
를 성공 이유로 꼽았다. 이 병원 관계자는 “지금은
우리 병원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장기이식의 경우 10
여년 전 경제성을 고려하지 않고 많은 투자를 했다.
성공이 담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과감한 결단을 내린
것이다. 장기이식은 외과의 종합적인 술기(수술 기술)
와 첨단 장비가 요구되는 분야이기에 여타 수술도 자
연히 발전하게 됐다. 선진국에서 신의술이 개발되면
즉각 해당 의사를 연수보내 신의술을 도입하도록 했
다”고 말했다.
이 병원이 미국 하버드의대와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것도 그같은 맥락에서다. 지난 96년 협력관계를 맺은
이후 2년에 한번씩 공동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하며 교
수ㆍ직원들을 파견, 연수시키고 있다. 병원측은 “협
력관계를 임상과 협진에까지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
고 밝혔다.
한편 의료계에서는 의사들의 특성도 관련이 있는 것으
로 보고 있다. 서울중앙병원 의사들은 대부분 서울대
나 연세대 출신으로, 실력은 있지만 여러 사정(불합리
한 선발 포함)으로 모교 병원에 남지 못해 이곳으로
온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이들이 모교 병원에 대한 경
쟁심을 갖고 열심히 일한 것이 서울중앙병원을 단기간
에 급성장시키는 한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덧붙여 병원측은 의료진의 집중력이 큰 힘이 됐다고
말한다. 예컨대 새벽에 발생하는 응급수술 상황에서
도 집도의와 마취과, 방사선과, 임상병리과 의사는 물
론 동원되는 간호사에 이르기까지 한 사람도 불평 없
이 즐거운 마음으로 수술에 임한다는 것이다.
'수술 잘 하는 병원'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서울중앙병
원은 손색이 없는 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다. 현행 의
료보험 체계상 중환실은 환자를 받으면 받을수록 적자
를 발생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첨단 시설과 장
비를 구비한 159 병상 규모의 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
다. 병원측은 “한 명의 환자도 잃지 않도록 하기 위
해 적자 발생을 감수하고 최상의 중환자실을 유지하
고 있다”고 말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중환자실을 운영하는 인력. 병원측
은 경력 5년 이상의 중환자실 전담 간호사를 배치해
놓았다. 호흡기내과 고윤석 교수를 중심으로 한 중환
자실 의료진은 세계적 권위지인 ‘중환자 의학’에 올
해에만 8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병원 관계자는 “이같
은 중환자실 운영이 장기이식 의술 발전의 인프라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이 병원은 기존 수술 일변도에서 탈피, 칼로 째
지 않는 중재적 시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 방법은 기존 수술에 비해 인체 손상이 적고 회복
도 훨씬 빠르기 때문. 예를 들어 뇌혈관 치료의 경우
두개골을 열지 않고 혈관 속으로 매우 가는 백금코일
등을 집어 넣어 뇌혈관의 기형 부위를 교정한다. 이
는 관상동맥질환 치료에서도 마찬가지. 소화기질환의
경우 배를 열지 않고 각종 내시경을 넣어 수술하는 것
이 이에 해당된다. 이같은 중재적 시술은 의술이 나아
가야 할 미래상이기도 하다.
■진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서울중앙병원의 진료방식은 '초전문 진료' 한마디로
압축된다. 진료 분야를 전문화시키고 또 전문화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병원은 부정맥클리닉, 궤양성대
장염클리닉, 신발ㆍ족부클리닉, 판막질환클리닉, 소아
알레르기클리닉, 건선피부질환클리닉, 천식클리닉, 류
머티스클리닉, 대장항문클리닉, 통증클리닉, 갑상선클
리닉 등 40개의 질환별 특수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
다.
▲ 서울중앙병원의 중환자실. 159병상 규모에 첨단시
설과 장비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병원 관계자는 "초전문 진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화된 의료진과 규모가 큰 병원이어야 한다는 게
전제조건이 된다. 병원의 경영 현실을 감안할 때 규모
가 작은 병원에서는 의사 한 사람이 여러가지 질병을
진료해야 경영이 합리적이다. 하지만 거대 병원의 경
우 의사 한 사람이 자신의 전공 질환 하나만 집중적으
로 진료하고 연구할 수 있기 때문에 초전문화가 가능
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경우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에 맞는 의료진
을 정확히 찾아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일
반인의 경우 어떤 의사가 자신의 질병에 적합한 의사
인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 병원은 이같은 불편
을 해소하기 위해 두 곳의 진료 안내센터를 설치, 환
자가 불편한 곳을 말하면 제일 적합한 의사를 찾아 안
내까지 맡도록 하고 있다.
동시에 이 병원은 지나친 전문화 진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협진 시스템인 전문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센터에서는 한 환자와 관련
된 모든 의료진이 모여 내ㆍ외과적 치료법 중 최선의
치료방법을 채택하고 진료한다.
현재 뇌졸중 관련 신경외과 신경과 방사선과 등의 의
료진이 참여하는 뇌신경센터, 심장내과 흉부외과 등
이 협진하는 심장센터, 혈관 관련 모든 전문의들이 공
동 진료하는 혈관센터, 소화기내과 및 일반외과 의료
진이 주축이 된 소화기병센터 등 4개 전문 센터가 개
설돼 있다. 이밖에 질병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건강증진센터, 간단한 수술은 입원하
지 않고 당일 퇴원하는 당일수술센터 등이 운영되고
있다. 병원측은 “전문 센터에서는 해당 질환에 대한
진료뿐 아니라 좀더 나은 진료법 개발을 위한 의학적
연구기능을 함께 수행한다”고 말했다.
■어떤 질환을 잘 치료하나
서울중앙병원이 제일 먼저 자랑하는 것은 간이식, 간
암 치료 분야. 이 병원 이승규(일반외과) 교수는 국내
서 가장 많은 간이식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보
다 동양권에서 훨씬 더 발전된 생체 부분 간이식의 경
우 5년 전까지만 해도 일본 교토의대병원의 다나카 교
수가 최고 권위자로 알려졌으나 지금은 이승규 교수팀
이 앞서가고 있다. 이 교수의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3~4개월 전에 예약해야 하나 응급을 요하는 진료나 수
술은 예약과 관계없이 시행한다. 기타 간질환에 대해
서도 소화기내과, 일반외과, 방사선과 의료진의 긴밀
한 협진으로 최상의 진료를 제공한다.
지난 92년 국내 최초로 심장이식에 성공한 심장이식
분야(흉부외과 송명근 교수팀)의 경우 성공률 95%(지
금까지 98 케이스)로 미국을 상회하고 있다. 송 교수
팀이 시행하는 대동맥 수술과 관상동맥 수술도 세계
적 수준이어서 미국, 일본, 러시아 등지서도 환자들
이 찾아오고 있다. 관상동맥질환 치료도 이 병원의 자
랑거리. 지난 91년 풍선확장술을 이용한 관상동맥질
환 치료에 성공한 이후 지금까지 수술하지 않는 중재
적 시술로 8000여건의 치료를 성공시켰다.
혈관질환 분야도 우수하다. 주 치료 대상인 척추동맥
과 경동맥을 지난 97년부터 지금까지 260여 케이스를
수술했다. 특히 일반외과 김건언 교수팀은 고난도인
이들 수술에서 100%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다. 척추동
맥과 경동맥은 뇌졸중의 치료ㆍ예방에 긴요한 매우 섬
세하고 정밀한 수술이다. 이밖에 버거씨병 등 혈관질
환을 국내서 가장 많이 수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병원은 신생아질환 치료에서도 강하다. 피수영 교
수를 주축으로 국내 처음으로 신생아과를 개설했으며
신생아 중환자실 40병상을 확보, 미숙아 치료를 선도
하고 있다. 소아심장진료팀은 심장 기형의 조기 진
단, 소아 심장수술 등에서 우수한 실적을 보이고 있
다.
이 병원의 디스크치료팀은 꼭 필요한 환자 외에는 수
술하지 않고 방사선과나 통증클리닉에서 통증을 없앤
후 자연스럽게 낫도록 하는 치료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백내장ㆍ각막ㆍ근시교정수술팀도 좋은 치료 성
적을 거두고 있다. 특히 차흥원(안과) 교수팀은 근시
교정의 한 방법인 라식수술을 국내에 처음 도입했으
며 내년 2월까지 예약이 밀려 있다. 그러나 응급환자
의 경우 예약에 관계없이 응급시술이 가능하다. 이밖
에 난청 환자에게 인공와우(달팽이관)를 이식하는 난
청치료팀도 다른 병원들을 앞서고 있다.
■효과적인 병원 이용법
편리하게 진료받기 위해서는 예약이 필수적이다. 30명
의 전화 예약 요원이 근무하고 있어 늘 전화 예약이
가능하다. (02)3010-5555. 야간에는 자동응답시스템
(ARS)이 상담요원을 대신하며 여기에 메시지와 연락처
를 남기면 다음날 상담요원이 직접 전화를 걸어 온
다. 인터넷 사이트(www.amc.seoul.kr)와 팩스(02-
3010-7559)로도 예약이 가능하다.
이 병원은 전문화된 진료가 특징이기 때문에 자신의
질환에 맞는 의사를 찾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
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진료안내센터(02-
3010-7775~8)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전담 간호
사가 늘 대기하고 있어 진료에 대한 각종 궁금증에 대
해 상담해 주며 해당 전문의와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장기이식을 받으려면 먼저 해당 의사에게 진료
를 받아야 한다. 여기서 장기이식의 대상이 될 경우
이 병원 장기이식센터에 등록한 후 기증자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대기기간은 간ㆍ심장이 보통 6
개월 정도이다. 그러나 환자가 매우 중증인 경우 대기
자 최우선 순위로 올라간다. 부분 간이식이나 신장이
식의 경우 환자가 기증자를 구해 데려오면 필요한 절
차를 마친 후 바로 수술에 들어갈 수 있다.
이 병원은 환자와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넓은 무료 주
차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 병원 내에 우체국, 여행
사, 선물의 집, 서점, 수퍼마켓, 세탁실, 식당가, 커
피숍 등 각종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사이
버 조문이 가능하며 호텔식 객실까지 부대시설로 갖
춘 최대 규모 장례식장을 개장했다.
-------------------------------------------------
홍창기 서울중앙병원 원장
"연구 인프라 대폭 강화…초일류 병원으로"
-------------------------------------------------
지난 1월 취임한 홍창기(68) 원장은 지난 89년 개원
때부터 줄곧 이 병원에 몸담아 왔으며 부원장과 울산
대의대 학장 등을 역임, 병원의 발전에 대한 애착이
남달리 강하다. 그는 “장기이식과 심장질환 등 몇몇
분야는 지금도 자타가 인정하는 최고 수준에 올라와
있지만 앞으로 모든 분야에서 국내 의학 발전을 이끌
수 있도록 성장시키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신장 전
문의로 미국신장학회, 국제신장학회 정회원인 그는 한
국의료윤리교육학회장도 맡고 있다.
-의약분업 실시 등을 계기로 우리 의료계가 큰 변화
를 겪고 있다. 이런 외부 경영 여건의 변화에 어떻게
대처해 나갈 계획인가.
"의약분업은 원래 취지대로 의료계와 약계가 역할분담
을 합리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임이 분명하다.
문제는 의약분업을 실시하기엔 여건이 성숙되지 않았
다는 것이다. 그 중의 하나가 대형 대학병원들이 경영
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며, 환자들
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의료기관들이 그렇
지 않아도 비합리적인 의료보험 수가로 인해 지금까
지 많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서울중앙병원은 경영합
리화에 최선을 다하면서 입원화자 중심의 3차 진료기
관으로서의 본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함으로써 경영난
을 타개해 나갈 것이다."
-서울중앙병원은 현대그룹의 이미지가 강한데, 실제
로 현대와는 어떤 관계인가.
"서울중앙병원은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산하의 병원이
고 아산재단은 1977년 당시 정주영 현대 회장이 개인
소유의 현대건설 주식 50%를 기증해 설립한 재단이
다. 그러니까 엄밀히 말하면 현대와는 상관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서울중앙병원을 삼성의료원과 비교하는 사람들이 많
다. 어떤 차이가 있나.
"기업이 출연한 병원이라는 측면에서 같은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이 없지 않은 것 같다. 하지만 설립 배경
이 우리와는 좀 다르다. 서울중앙병원은 아산재단이
의료 낙후지역에 8개의 병원을 설립해 의료 복지사업
을 구현해 오다가 이들 병원의 모병원 역할을 할 병원
이 필요해 설립한 것이다. 흔히 경쟁관계로만 보는 시
각이 많으나 서로 배우면서 잘 하려고 노력하는 협력
자 관계도 많다."
-서울대병원이나 연세의료원과는 어떻게 차별화해 나
갈 계획인가.
"두 병원 모두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의료의 중추
의료기관이다. 서울중앙병원은 이들 병원과 선의의 경
쟁을 통해 한국의료 발전을 주도하는 또다른 축을 이
루고자 한다. 많은 경험을 지닌 병원들의 장점을 배우
면서 우리 병원이 지닌 장점 즉, 집중력과 순발력 있
는 병원, 임상이 발전되어 있는 병원으로서 역할을 다
해 나갈 계획이다."
-하버드의대와의 협력관계를 어떻게 내실화해 나갈 계
획인가.
"지난 96년 하버드의대와 협력관계를 맺었고 작년에
는 항구적 협력관계로 발전시켰다. 세계 최고의 하버
드의대가 우리 병원을 인정했다는 의미이다. 앞으로
하버드의대의 미국 병원 레지던트들이 우리 병원에서
수련을 받는 일도 곧 시작된다. 비단 서울중앙병원만
의 발전이 아니라 한국의학 전반을 발전시키는 데 기
여할 것이다."
-앞으로 과제는.
"우리는 개원 12년 만에 급성장했다. 앞으로 다져나가
야 할 중요한 포인트는 내실화이다. 경영을 합리화에
주력하는 한편 임상 중심의 발전에서 연구 중심의 발
전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의학 발전의 가장 큰 주춧돌
이라고 할 수 있는 연구 인프라를 대폭 강화하는 일
에 주력해 나갈 것이다."
----------------------------------
서울중앙병원 우수 의사 10인
----------------------------------
▲일반외과 이승규(52)= 간 외과 분야. 94년 첫 생체
부분 간이식 성공, 97년 최초로 성인간 부분 간이식
성공. 작년 세계 최초로 두 사람 간을 한 사람에게 이
식하는 데 성공. 간이식 성공률 95%.
▲흉부외과 송명근(49)= 심장외과 분야. 92년 국내 최
초 심장이식 수술 성공. 심장이식에서 환자 체온을 섭
씨 11도까지 떨어뜨리는 초저체온 요법을 세계 처음으
로 시도, 뇌ㆍ장기 손상을 최소화.
▲심장내과 박승정(47)= 관상동맥 질환 분야. 91년 국
내 최초로 협심증 환자의 관상동맥에 그물망을 삽입
해 치료. 수술이 꼭 필요한 좌관동맥 주관부 병변 환
자에 그물망 시술 도입.
▲신경과 김종성(45)= 뇌혈관 질환 분야. MRI 등 진단
기술과 혈전용해제 투여 등 첨단 치료술을 병용하는
포괄적인 뇌졸중 진료체계 확립. 지난 9년간 뇌졸중
에 관한 논문 63편을 국제 학술지에 게재.
▲신생아과 피수영(58)= 미숙아 및 신생아 질환 분
야. 국내 최초로 신생아과 설립. 작년 486g짜리 최저
체중 미숙아 치료에 성공. 국내 최다 신생아 치료 시
행. 40병상 규모 신생아 중환자실 설치.
▲내분비내과 이기업(46)= 당뇨병 분야. 미국 당뇨병
학회 및 유럽 당뇨병학회 정회원. 과기부로부터 ‘국
가지정연구실’로 지정받아 2006년을 목표로 당뇨병
치료에 관한 18억원의 프로젝트 연구 중.
▲정형외과 이춘성(45)= 척추 질환 분야. 디스크의 무
분별한 수술 지양에 공헌. 96년 중년 여성의 허리 굽
는 병인 ‘요부변성후만증’을 국내 학계에 처음 소
개. 척추질환 진단에 보행분석 검사 도입.
▲이비인후과 이광선(51)= 귀 질환 분야. 최근 5년간
만성 중이염 환자 1800건 수술. 귀 분야의 최고 고난
도 치료인 ‘인공와우’ 수술을 올 들어 14건 이상 시
행. ‘국제이과학회’ 자격증 취득.
▲소화기내과 김명환(44)= 담도, 췌장 분야. 최근 5
년 동안 권위있는 외국저널에 30편이 넘는 논문 게
재. 작년 1500여건의 내시경 치료 시행. 99년 동양인
에게 주로 발생하는 난치성 담석 용해제 개발.
▲호흡기내과 김원동(57)=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결
핵 분야. 호흡기 관련 최고 권위지인 '미국 호흡기 중
환자 의학지'에 논문 다수 발표. 내과 최고의 교과서
‘해리슨’의 폐질환ㆍ폐결핵 분야에 인용, 기술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