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의 어원은 고대 한국어
[한인]은 원래는 [한이]였다고 본다. 한민족은 원래 사람을 '그 이, 저 이,아이' 등 [이]라고 부른다. 영어 등 거의 모든 유럽어는 아리안어족(인도-유럽어)에 속한다. 약 7천 년 전 중앙아시아에 나타난 아리안이 약 3천5백 년 전에 인도와 유럽으로 퍼지면서 말을 전파했고 이 아리안의 말이 현대인도어와 현대 거의 모든 유럽어의 뿌리라는 것이 세계학계의 정설.이 정체불명의 민족 [아리안]은 고대에 서쪽 이동한 한민족인 것이다.
영어에도 [한이]라는 말이 있다.Honey지금은 흔히 [꿀] [부부나 연인 사이에 부르는 호칭]으로 쓰이는데 이 말은 원래 [훌륭한 사람]을 뜻하는 말이다(영어사전 참조).아래 자료가 증명하듯이 영어의 어휘를 보면 거의 한국어의 변형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언어라는 것은 역사를 담보하는 산물이다.
[자료]재미있는 언어놀이-고대 서양인들은 한국어 배우기에 열심이었다.
'갓'은 '갓(god)',
'상투'는 '세인트(saint=셍튜)'
갓'갓'은 옛날에 어른이 된 남자가 머리에 쓰던, 말총으로 만든 의관(衣冠)의 한 가지로서 모자의 일종이다. '갓'의 어원은 영어로신이라는 말인 '갓(god)'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개들을 데리고 동방에서 서쪽으로 이주한 한국의 지배자들이 자신들을'갓(god)'이라 칭하고, '갓'과 같은 모자를 썼던 데서 유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의 'god'에 모자란 뜻이 없는 것으로 볼 때, 한국어 '갓'에 '모자'란 뜻이 생겼다고 할 수 있다. '갓'의고어는 '갇'이다. [갇爲笠 (訓民正音解例)] '갓'의 고어인 '갇'에 '디'받침이 쓰였다는 것은 '갓'과 '갇'은영어의 '갓(god)'과 어원이 같다는 주장에 힘을 더한다.
테가 없는 모자는 추울 때 아무나 쓸 수 있었어도, 테가 있는 모자는 높은 지위를 상징하는 뜻이 있어 아무나 쓸 수 없었다고 볼수 있다. 이런 주장의 증거가 한자의 '저자 시(市)'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시(市)'자의 뜻을 풀어보면, '둥근테(ㅗ=1자로 선 고인돌.피라미드는 고인돌에서 발전한 것이다)'가 있는 '두건[巾]'을 쓴 사람들이 사는 '곳[市]'이 된다.아무나 시(市)에서 살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시(市)'자는 영어로 도시라는 말인 '시티(city)'의소리·뜻과 상통한다. 그러므로 한자의 시(市)자에는 고대 한국어의 자취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자에는한반인들의 한국어의 자취가 있는 것들이 많이 있다.
상투
'상투'는 지난날 한국의 성인 남자들이 머리털을 끌어올려 틀어서 감아 매었던 머리 모양을 이르는 말이다. '상투'의 어원은 영어의'세인트(saint)', 독일어의 '장크트(Sankt)', 라틴 어계의 '산타(Santa)'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아주 먼 옛날에 '상투'는 높은 지위를 뜻했고, 지배 계급의 성인 남자와 무사의 상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뜻을 갖고 있던어휘가 영어에서는 '성스러운'이라는 말인 '세인트(saint=상투)'로 변형되었다고 볼 수 있다. '갓'과'상투' 이외에도 영어의 전통 어휘들 중에는 고대 한국어에 어원를 두고 있는 수메르어와 아리아어에서 기원했다고 볼 수 있는것들이 많다. 특징이 있는 것들의 뜻을 해석해 보았다. 이런 해석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없지만, 영어가 한국어로이렇게 해석된다는 그 자체가 중요하다. 다른 언어로는 이런 흉내를 낼 수 없다는 것은 역사가 있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슈메르. 아리아인들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중동.유럽문명을 일으킨 고대 한국인들
"더불어 행복하게"라는 '해피 투게더'가 한국어라고 하면 의아해 할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가 맞다. '해피'는'해빛(해에서 비처럼 쏟아지는 빛)'의 변형이고, "함께.더불어" 의 의미인 '투게더'또한 '두개 더'라는 한국어다. 또한한국인들의 건설한 나라 '애집트'의 어원도 '아이 집 터'에서 온 말이다. '이스라엘'은 '이슬 얼(알)'이다. '프랑스'는'파랑새'의 변형이다. 영어어휘들을 분석하면 한국어에서 기원했다는 사실이 입증된다.영어는 역사로 올라가면 한국어의 변형어라하겠다. 슈메르인들과 아리아인들 등 고대 한국인들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문명을 건설하면서 유럽인들에게 준 영향이라 하겠다. 예를들어보자.
갈피 : calf(송아지)와 어원이 같다. '갈피를 못 잡다'라는 말은 '송아지도 못 잡고 어찌할 줄을 모르다'라는 뜻이다.
갓 : God(신)과 어원이 같다.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사람이 쓰던 모자에서 유래되었다. 갓의 고어는 '갇'이다
개구쟁이 : 개구는 gag(익살, 농단, 속임수)와 어원이 같다.
거룩하다 : great look과 어원이 같다.
고리 : coil(돌돌 감다)와 어원이 같다.
고맙다 : comate(동료,친구)라는 뜻이다
고비 : corvee(강제 노역)는 봉건 시대에 영주가 공익 사업을 위해 백성들에게 부과한 강제 노역, 부역이다 "죽을 고비를 넘겼다."라는 말은 "강제 노역의 어려운 시련을 넘겼다."는 뜻이다
고삐 : curb(재갈,고삐,구속)와 어원이 같다.
고을 : '우리 고을'의 '고을'은 서유럽 켈트 족의 거주지였던 골(Gaul)과 어원이 같다.
곳 : court와 어원이 같다. '곳'은 '아메리카'·'아스카[飛鳥]', '오스카' 등의 '카'와 어원이 같다.
구부리다 : curve(곡선, 구부러지다)와 어원이 같다.
구수하다 : good show(훌륭하다)
국 : cook(요리하다)과 어원이 같다.
굿 : God과 어원이 같다.
그릇 : glut(실컷 먹이다), glutton(대식가)과 어원이 같다.
기부하다 : give(주다)와 어원이 같다.
김치 : 독일어의 Gemisch와 어원이 같다.
깍다 : cut(자르다)와 어원이 같다.
깨트리다 : cut
노 : row(배를 젓다)
노래 : lore(전승된 지식)와 어원이 같다. 문자의 기록이 없었던 시절에는 종족의 역사를 전문적으로 외워서 전승하던 사람들이있었다. 이 사람들이 국가적인 제사나 행사 때 역사를 노래하듯이 불렀기 때문에, 한국어에 노래라는 말이 생겼다.
느슨하다 : loosen(느슨하게 하다, 느슨해지다)
닭 : duck(오리)과 어원이 같다.
덤블 : 가시덤블의 덤블은 tumble(혼란)
덩실덩실 : dancing(춤추다)과 어원이 같다.
동그라미 : 돈 크로니(crony, 친한 친구, 엣친구) 친구를 반갑게 두 팔로 끌어앉던 데서 유래
둘소 : '둘소'(새끼를 못 낳는 암소)의 '둘'은 dull(우둔한)과 어원이 같습니다.
땅 : 'Pakistan'·'Kazakhstan'의 '탄(tan)'과 어원이 같다.
떨어트리다 : drop
또 : too
똑똑하다 : doctor(박사. 박식하다)와 어원이 같다.
똥 : dung(동물의 배설물)
마치 : match(동등한 사람, ..과 대등하다)와 어원이 같다.
많이 : many와 어원이 같다.
말 : mare는 암말이지만 초기에는 암수를 총칭하는 말이었다.
망그러트리다 : mangle(짓이기다, 망그러트리다)
망치다 : mar(망쳐놓다)
매달다 : medal과 어원이 같다.
맷돌 : '맷돌'의 '맷'은 mash(갈아 으깨다)와 어원이 같다.
머리얹다 : marriage(결혼하다)와 어원이 같다.
멀겋다 · 묽다 : merge(..을 혼합하다)와 어원이 같다.
멍하니 : '멍'은 mourn(슬퍼하다, 한탄하다)와 어원이 같다.
메스껍다 : mess(불결, 더러워진 것)와 어원이 같다.
메스끄럽다 : massacre(대학살) mass + sacra ?
무엇 : what(무엇), which(어찌), who(누구), when(언제), why(왜) 등의 소리와 뜻은 한국와과 친근성이 있습니다.
미안하다 : mean(비천한, 부끄러운)과 어원이 같다.
바구니 : bag(가방)
바꾸다 : back(뒤)과 어원이 같다.
바래다 : bare(낡은)과 어원이 같다.
바보 : baboon(원숭이의 일종)과 어원이 같다.
바탕 : bottom(기초)와 어원이 같다.
반갑다 : vanguard(지도자)와 어원이 같다. 지도자를 반갑게 대하다.
발 : '창문에 발을 치다'의 '발'은 bar(빗장, 창문 따위의 살, ..을 방해하다)과 어원이 같다.
발가벗다 : '발가'는 vulgar(상스러운)과 어원이 같다.
발칵 : balk(말 따위가 갑자기 멈추어 안 가려고 용쓰다. 장해)와 어원이 같다.
발랄하다 : ball(무도회), ballad(민요), ballet(발레)와 어원이 같다.
방 : barn(헛간, 곡식 창고)
밭 : 독일어의 Beet(못자리. 화단)와 어원이 같다.
배 : belly(복부)
배 : pear(먹는 배)
배 : boat, vessel(타는 배)
배다 : bear(아이를 낳다)와 어원이 같다.
배부르게 : beverage(음료, 마실 것) 배부르게 마실 것
밸 · 배알 : '밸이 꼴리다'·'배알이 뒤틀리다'의 '밸'과 '배알'은 belly(복부)·bowel(창자)과 어윈이 같다.
뱉다 : bitter(쓰다)와 어원이 같다.
벗다 : bath(목욕, 목욕하다) bathe(목욕시키다, 목욕하다)
별꼴이야 : peculiar(이상한)과 어원이 같다. 대이동이 있기 이전에 점성술이 유행했었고, 별을 보고 점을 치는 행위에 대해 사람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는 뜻이다
보리 : barley
부르트다 : bloat(부풀다)와 어원이 같다.
부리 : bill(새주둥이)과 어원이 같다.
부지런하다 : busy run(빨리 달리다)과 어원이 같다.
불다 : blow(불다)와 어원이 같다.
비꼬다 : be coil(돌돌감다)
비롯되다 : 비롯은 be root(뿌리를 내리다)와 어원이 같다.
비키다 : be quit(물러나다)
비틀다 : be twist(꼬이다)와 어원이 같다.
빌려주다 · 빌리다 : borrow(차용하다), bill(청구서)와 어원이 같다.
뿔 : bull(황소)와 어원이 같다.
사랑 : '사랑방'의 '사랑'은 'salon,' 'saloon'과 어원이 같다. '사랑하다' 의 '사랑'과 'salon'의 어원이 같다면, salon은 밀회의 장소였다.
사뿐 : supple(유연한)과 어원이 같다.
살짝 : 독일어의 Salz(소금)와 어원이 같다. 소금 그릇을 다루듯이 조심스럽게 취급하라는 뜻이다
살피다 : survey(조사하다)와 어원이 같다.
상투 : saint(성인)와 어원이 같다. 상투는 결혼한 남자의 상징이었지만, 아주 먼 옛날에는 지배 계급의 남자들만이 상투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색시 : sexy(성적인)는 '색시 같이 예쁜'의 '색시'와 어원이 같다.
생각하다 : think(생각하다)
서둘다 : sudden(갑작스러운, 돌연한)과 어원이 같다.
서방 : servant(하인, 고용인)과 어원이 같다.
선하다 : '모습이 선하다.'는 'sun', 'sunny'와 어원이 같다. 해와 같이 밝다는 뜻이다 '선하다'는 뜻에 '장난이 심하고 극성스럽다'는 뜻이 있습니다. 이것은 'son'과 어원이 같다. 즉, 사내 아이 같다는 뜻이다
셈하다 : sum(합계)와 어원이 같다.
소금 : salt(소금)와 어원이 같다.
소스라치다 : surprise(놀라게 하다)와 어원이 같다.
소쿠리 : sack(부대)와 어원이 같다.
수다를 떨다 : soothe(달래다, 비위를 맞추다)
수월하다 : swell(팽창하다)와 어원이 같다. 바위돌을 쪼갤 때 나무의 팽창력을 이용했던 데서 유래되었다.
숯 : soot(검댕, 매연)
슬슬 : slow slow와 어원이 같다.
시래기 : '시래기국'의 '시래기'는 silage(생목초)와 어원이 같다.
시샘 · 샘 : shame(부끄러움, 창피를 주다)과 어원이 같다.
썰렁하다 : sullen(음산한, 음울한)과 어원이 같다.
쏘다 : shot, shoot
쓰러지다 : slip(미끄러지다)과 어원이 같다.
쓰러트리다 : slaughter(도살하다)와 어원이 같다.
쓰레기 : slag(녹은 쇠찌끼), slaggy와 어원이 같다.
쓰리다 : sore(아픈, 쓰라린)와 어원이 같다.
씨 : Sir
씨 : seed(종자)
아귀다툼 : agitate(..을 뒤흔들다, 선동하다)와 어원이 같다.
아기 : egg(계란)와 어원이 같다.
아름 : arm(팔)은 양팔을 펼쳐 껴안은 둘레라는 말인 아름과 어원이 같습니다.
아름다운 : 아르(Ar)다운이 어원이다
아리송하다 : 아리송(Ary Song)은 먼 옛날 아랄 시절의 노래, 또는 아리아 인의 노래이어서 내용을 분명히 알 수가 없다는 뜻이다
아스라한 : 아랄(Ar's)의 태양신(Ra)을 섬기던 시절에 희생의 산제물을 바치던 시절의 공포 분위기와 매우 오래되어 기억하기 어럽다는 뜻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