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 여새덜 액희 와쪄엄ㅇㅅㅇ
콧멍에 글 쓰는 것 넘나 오랜 만인 것, 와타시 게임 덕후인 것.
아주 예전에 게임 리뷰 올리러 글 한번 쓴 적이 있고 그 이후로 오랜만에 또 게임 관한 이야기를 쓰러 왔씁니다
이거시 미리 써놓고 복붙 해놓은 것이라 존댓말인지 반말인지 뭔지 모를 것이라도 이해 BRAM니다
(사실 원래 쓰기랑 별로 안 친함)
씨작합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원래 게임에 관심이 많았다. 나도 이제 경제력이 있는 신녀성이다. 구매 오키도키염!
카운터 스트라이크, 심즈, 돈스타브, 데이즈, H1Z1, 마인크래프트 나도 알고 싶다.
BJ가 하는 게임이 너무 재미있어 보인다. 나도 이제 게임을 시작해볼까. 라고 생각하는 분들을 위한 입문서입니다.
국내 멀티 온라인 게임 말고 디지털 다운로드를 통한 게임 구매에 관한 글입니다.
1. 스팀이란 무엇인가?
여새들이 게임 구매에 관심이 생겼다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단어가 바로 스팀입니다.
Steam.
디지털 배급, 디지털 권리 관리(이거슬 DRM이라고 함 중요!), 멀티플레이를 위한 서비스입니다.
밸브 코퍼레이션에서 개발했다구 합니다. (위키 참조했음)
이 스팀 시스템을 대강 야매스럽게 설명해드리자면 이렇습니다.
내가 게임회사다 게임 개발을 했다. 이 게임의 이름을 [안재욱결혼식]으로 합시다. 이제 이 게임을 팔아야겠지여? [안재욱결혼식]을 팔고 싶다 했을때 스팀과 계약(어떤 식으로 계약하는진 모릅뉘다)을 해서 스팀 상점에 우리 회사의 게임을 딱 올립니다. 그럼 우리의 게임 [안재욱결혼식]은 스팀 상점을 통해 판매가 됩니다. 이런식으로 스팀에서는 많은 게임 회사들의 게임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몬가 쉽게 설명하자면 올.리.브.영(검색방지를 위한 돗트) 같은 느낌? 거기선 여기저기 화장품 회사 제품을 한자리에 두고 판매하지여? 그런 늑힘적 늑힘? 내 비유가 잘 됐나 모르겠뜸...
이제 스팀과 게임 구매에 관한 내용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첫 번째로 알아두어야 할 점은 모든 게임이 전부 그렇진 않지만 스팀에서 구매하는 게임들은 스팀 클라이언트(실행프로그램)를 켜야 실행되는 게임이 많습니다.
그리고 구매를 하기 위해선 비자 표시가 있는 체크카드 혹은 신용카드가 필요합니다. 최근에 결제수단이 더 추가되어서 모바일 스팀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휴대폰 결제도 가능합니다 휴대폰 결제의 경우 이중환전 수수료가 없듬.그래도 앞으로 여러 사이트에서 게임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비자 표시가 붙은 카드가 필요합니다. (마에스트로 카드도 가능하지만 범용성이 조금 떨어지기 때문에 비자를 추천드립니다.)
**우선 이 스팀이나 밑에서 설명해드릴 다른 게임 구매 방법 전부다 거의 대부분 해외 사이트임으로 환전 수수료 및 가격 표기법(원화표기)에 따른 이중 환전 수수료가 더 추가 될 수 있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제 여러분은 환율과 시차에 민감해지기 시작합니다.**
이제 게임을 구매해봅시다.
[스팀 클라이언트 화면입니다. 하얗게 지운거슨 나의 개인정보.
오른쪽 상단에 검색창에서 검색하거나 메인 화면에서 인기 품목등을 볼 수 있꼬 무료 주말 게임도 뜨ㅃ니다 어쨌든 겜 파는 화면임 ㅇㅅㅇ 찜목록도 있써엿]
내가 스팀에 가입을 해서 스팀 상점을 통해 [안재욱결혼식]이라는 게임을 구매했다. 한다면 그것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은 내 계정에 속하게 된 내가 산 게임입니다. 이 게임은 내가 깔았다가 지웠다가 해도 상관 없습니다. 내가 원할 때 하다가 중간에 지워도 괜찮고 다 하고 지워도 괜찮습니다. 불법적인 사유(?)가 없는 이상 나의 라이브러리에 존재합니다 쭈우욱. 참고로 여기서 몇몇 게임의 경우 스팀 클라우드 기능을 지원해줍니다.
[이렇게 라이브러리를 클릭하면 내가 산 게임들이 보입니다 회색 글씨로 되어있는 건 안 설치 한 것, 하얀 글씨는 설치 한 것. 뿐만 아니라 내가 산 게임을 가지고 있는 친구 목록도 보야줌]
**스팀 클라우드는 세이브 데이터 파일을 스팀 서버? 같은 곳에 저장함으로서 내 컴퓨터에서 하던 게임을 다 지웠다 하더라도 나중에 다시 설치했을 때 어? 이거슨 내가 하던 곳이 저장되어 있군 하는 유레카한 상황이 펼쳐집니다. 게임마다 다르지만 게임 삭제하면 세이브 파일도 전부 삭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세이브 데이터 파일을 따로 백업해두어야 하던 부분에서 다시 시작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게임 설치 경로로 들어가서 폴더를 통째로 지우지 않는 경우 세이브가 남아 있는 경우도 많은데 포맷을 한다거나 폴더를 다 지우면 세이브파일이 없어지기도 하니까 이 게임은 꼭 하던 곳 부터 해야겠다 하는 경우 세이브 파일 백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워낙 다양한 게임이 있는 만큼 게임의 대한 세부사항도 전부 다릅니다. **
이런식으로 게임을 구매하다보면 게임이 점점 늘어납니다. 이 늘어나는 게임을 전부 스팀에서만 구매 했다면 내 계정에서 한방에 관리 할 수 있습니다.
그것 뿐만 아닙니다. 스팀에서 친구를 추가 할 수 있고 그룹을 만들 수 있습니다. 멀티가 가능한 게임을 구입했을 경우엔 손쉽게 나에게 등록된 친구를 초대해서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그룹은 마음 맞는 사람들끼리 소규모 모임을 만들어서 게시판 정도를 사용 할 수 있구요. 그 밖에도 창작마당이라고 해서 게임과 관련된 모드들(보통 게이머들이 직접 만드는 추가 컨텐츠)을 구독 버튼 단 하나로 쉽게 추가 할 수도 있고 도전과제 장터 뱃지 등등 여러 기능도 있습니다. 그래도 역시 최대의 장점은 게임이 제일 많음...하하하
*알아두면 좋을 팁
스팀 친구 추가는 닉네임으로 합니다. 닉네임의 경우 샥샥 바꿀 수 있습니다. 중복 닉네임도 됩니다. 그런고로 스팀 친구추가의 경우 프로필 페이지 주소를 알려주는 것이 제일 빠릅니다.
스팀이 시스템이 좀 바뀌어서 게임 구매를 안 한 상태일 경우에 준회원이나 이런식으로 됐다는 걸 본적이 있는데 내가 확인은 못해봤떠요.
[내 프로필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위에 이미지처럼 되는데 거기서 빨간 밑줄 친 부분을 클릭하면 주소가 복사 됩니다 프로필 페이지 주소는 고정적이기 때무네 닉넴을 바까도 항상 그 주소입니다. 최대한 개인 정보는 가렸지만 혹시라도 눈치 챌 것이 있다면 모르는 척 해주이소~ 스팀에는 프로필 레베루도 있고 배지도 있꼬 여러가지 기타 요소가 많습니다 이거슨 생략!]
2. 스팀 이외의 플랫폼
네 이번 챕퉈(?)는 바로 스팀 이외의 게임구매,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입니다. 스팀을 제일 먼저 꺼낸 이유는 가장 제공하는 게임 종류도 많고 스팀을 사용하는 유저도 많고 선호되기 때문인데 그렇다고 다른 플랫폼이 없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소개하는 대표적인? 네 곳을 알랴줌
[순서대로 스팀, 오리진, 유플레이, 배틀넷 아이콘입니다]
1) 오리진 Origin
일렉트로닉 아츠에서 개발했습니다.(EA)
네 오리진 유명한 그 오리진. 여러분의 심즈 우리 모두의 심즈 전 세계에서 심즈 잤잤 1등을 찍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게임 심즈. 그 심즈를 하고 싶으시다면 오리진에 가입해서 오리진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야합니다.
게임 구매 방법은 거의 스팀에서 설명해드린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핸드폰 결제는 안될 듯. 사실 거의 대부분 사이트가 안 됨. 여기도 이중환전 수수료 있쒀여 원화 표기라서
오리진 클라이언트의 특징점이 있습니다 스팀과 다른 점.
스팀은 상당히 많은 게임 회사의 게임을 제공합니다. 자회사인 밸브부터 시작해서 유비소프트, 딥실버, 캡콤, 베데스다, 세가, 파라독스 등등등등
하지만 오리진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자사 일렉트로닉 아츠(EA)에서 개발한 게임을 판매한다는 점입니다. (아닌 게임도 판매합니다 쪼끔)
원래 EA에서도 스팀 스토어에도 게임을 판매 했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아니하기 때문에 몇몇 게임만 판매하고 있고 최신작들은 오리진을 통해서만 구매하고 실행가능합니다.
**예를 들자면 심즈3 본편 하고 몇 개의 DLC? 정도는 스팀으로도 구매 가능합니다. 하지만 심즈 DLC 몇 개 수준이 아니자나여 엄청 많자나여 몇 개 말고는 스팀에선 구매가 불가합니다. 게이미 업서효 그리하야 심즈 시리즈는 애초에 오리진으로 사야 하는 것**
2) 유플레이 Uplay
유비소프트 엔터테인먼트의 디지털 다운로드 관리 플랫폼입니다.
관심 있으시다면 들어보셨을 어쌔신크리드 시리즈. 유비 작품입니다. 유비소프트도 EA와 비슷하게 자사의 게임을 위주로 서비스 하는 편입니다.
오리진과 거의 차이점이 없으니 많은 설명은 필요 없지만 역시 특이점이 있습니다. 오리진과 다르게 유비소프트는 스팀에서도 유비소프트 게임을 구매 할 수 있습니다. 스팀에서 유비소프트 게임을 샀다면 스팀 라이브러리에 구매한 게임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스팀 클라이언트만으로 바로 실행 할 수 없고 유비소프트 클라이언트인 유플레이를 한번 더 실행해야 하는 게임이 대부분이라는 겁니다. 그런고로 유플레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비소프트에서 개발한 게임을 하고 싶을 경우엔 결국 유플레이 아이디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바로 유플레이에서 게임을 구매해도 되는데 왜 스팀에서 살까 싶은 생각이 들 여새들이 있을텐데요 다운로드, 기타 서비스나 도전과제? 그리고 라이브러리 관리의 문제로 스팀으로 구매를 선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3) 배틀넷 Battle.net
매우매우 유명한 회사인 블리자드 회사의 클라이언트 입니다.
자사의 게임만 제공하는 디지털 다운로드 관리 플랫폼입니다. CD로 구매하지 않고 디지털 구매로 블리자드 게임을 살 수 있습니다. 스타2, 와우, 디아3, 하스스톤, 히오스 등의 게임을 제공합니다.
4) 번외편으로 각각의 회사의 대표작을 알랴드립니다.
-스팀의 밸브 코퍼레이션
Dota2(도타), Counter-Strike 시리즈(카스), Left 4 Dead 시리즈(레포데), Portal 시리즈(포탈), Half-Life 시리즈(하프라이프)
-오리진의 일렉트로닉 아츠(EA)
Sims 시리즈(심즈), Simcity 시리즈(심시티), Dead Space 시리즈 (데드스페이스), FIFA 시리즈(피파), Battlefield 시리즈(배필), Dragon Age 시리즈(드에)
-유플레이의 유비소프트
페르시아 왕자 시리즈, RainbowSix 시리즈(레인보우식스), FarCry 시리즈(파크라이), Rayman 시리즈(레이맨), Assassin's Creed 시리즈(어크)
모든 게임이 아니고 몇 가지 유명한 게임만 소개해봤습니다.
3. 게임 구매는 어디서?
게임 구매를 꼭 스팀, 오리진, 유비소프트에서 구매하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험블번들, 인디갈라, 다이렉트 게임즈, 게임토르, 번들스타즈, 가마가마, 누벰등 다른 여러 사이트에서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렇게 구매 할 경우 조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주의할 점에 대해서 몇 가지 알랴드림~
1) DRM이란 무엇인가
위에서 글을 시작하면서 디지털 관리 권리 DRM을 언급했었씁니다. DRM은 복잡한 건 나도 잘 모르겠고여 중요한 부분만 딱 말하자면 바로 다운로드를 어디서 받느냐 이겁니다.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네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다운로드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스팀, 오리진, 유플레이 클라이언트나 사이트를 통해 산다면 당연히 그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는 게임입니다.
그 이외의 사이트에서 구매 할 경우 구매 페이지 혹은 게임 관련 설명 페이지에 꼭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스팀 오리진 유플레이 마크가 표시 되어 있던가 (아이콘 모양이랑 비슷함) 혹은 따로 텍스트로 언급이 되어 있습니다. 외국 사이트들이 많기 때문에 영어 조심하쉐여~ 게임 구매 사이트에서 자체적으로 다운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하야 게임을 구매하기 시작하면 클라이언트를 세 개 혹은 그 이상을 깔게되는 매직~ 클라이언트 별로 구매 가격이 조금 다르거나 세일 기간이 다른 경우가 있고 그걸 노려서 알뜰살뜰하게 구매하는 것이 포인트! 하지만 타 클라이언트를 사용 할 경우 라이브러리 관리의 문제가 있거나 게임 관리의 문제가 있다는 점 항상 유의해주세요.. 난 몰빵! 이런 스타일의 경우 스팀 drm을 확인하시믄 됩니다... 난 문어발이에유...
[빨간색 네모로 표시한 부분이 스팀 아이콘 표시입니다. 이미지는 험블번들의 사이트의 이번주 번들이에요~결제하면 결제 금액에 따라 몇 개씩 주는 구성인뎁슈 스팀 마크가 있는 게임은 스팀에 등록가능한 코드를 준다는 뜻입니다]
[다이렉트 게임즈라는 사이트의 이미지입니다. 한쿡사이트입니다. 빨간 밑줄 친 부분을 확인해주세요. 유비소프트의 대표작인 어쌔신크리드 시리즈 입니다. 스팀이 아니고 유플레이 실행이에요~]
게임구매 사이트 종류로는 점점 글을 너무 많이 써서 힘들어지기 시작하니까 간단히 언급만 하고 넘어가겠씁니다.
게임을 번들로(주제에 따라 몇개의 게임을 묶어서 팜) 파는 사이트로 험블번들(Humble Bundle) 사이트가 개이득입니다. 대박번들 뜨면 재미있는 예전 게임들을 싸게 살 수 있씁니다. 험블번들이 티어가 나눠져있어서 구매금액에 따라 주는 게임이 다르다던가 평균가라던가 이런 것도 있긴 한디 궁금하신 분들은 검색엔진에 검색해보시면 글이 나올 겁니다. 글이 점점 많이 너무 많이 길어지기 시작해서 매니 매니 힘듬. (아니면 아주 나중에 험블번들 구매방법으로 글을 하나 더 쓰러 오겠습니다. 언제올지기약없음)
음 또 국내 게임 판매 사이트인 다이렉트 게임즈, 게임토르도 있고, 그린맨 게이밍즈나 번들스타즈 인디갈라 등등 여러 사이트가 있씁니다. 보통은 게임관련 커뮤니티에서 이거 싸다 이거 대박이다 하는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뜹니다. (커뮤니티 추천은 하면 안 될 것 같으니 그냥 넘어가겠씁니다.)
2) 세일 기간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세일은 사이트 마음입니다. 할인하는 사이트 마음. 하지만 대표적인 큰 세일을 말슴드리자면 봄, 여름, 할로윈, 블랙프라이데이, 겨울 세일이 있습니다. 큰 세일은 보통 여름 겨울정도? 그 철 즈음이 되면 자세한 기간은 사이트마다 다르지만 어쨌든 한번씩 세일을 다 합니다. 봄 세일은 안 하거나 하더라도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고, 할로윈 세일의 경우 할로윈이다보니 주제에 맞는 게임만 할인하는 경우가 꽤 됩니다. 블랙프라이데이도 꽤 괜찮긴 한데 규모가 많이 크진 않은 느낌? 그 밖에도 스팀의 경우 주말 세일이나 주중세일도 있고 때때로 퍼블리셔 세일이라고 해서 게임 개발사 별로 세일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 세일은 신작이나 인기작의 경우 세일을 안 하거나 쪼끔 합니다. 이건 좀 당연한 이야기인듯
4. 몇몇 게임들 유의 사항.
- 락스타게임들(GTA, 맥스페인 등의 시리즈)은 자체 DRM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락스타 소셜클럽? 락스타 홈페이지? 이런곳에서 받게 되는 경우인데요 예를 들어 핫한 게임인 gta5를 스팀에서 사면 스팀으로 다운받고 스팀으로 실행합니다. 하지만 CD로 샀다거나 다이렉트 게임즈 및 다른 사이트에서 샀다면 락스타 홈페이지에서 게임을 받거나 해야합니다 GTA5는 스팀에서 안 산건 무조건 락스타 소셜클럽 출신! 대신 스팀판이 좀 비싼건 있떠요
- 보통 외국산 게임들이 많고 그 게임들이 한국어를 지원 안 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경우 좀 유명한 게임이거나 재미있는 게임이면 유저 한글패치를 해주시는 빛과 소금같은 분들이 계시져.. 그럴 경우 게임 관련 커뮤니티에서 검색해보거나 하면 유저 패치경로? 방법?이 나옵니다. 그러나 공식 한글화의 경우 한국어를 지원 해줄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구독권?판권?에 따라 달라요. 그냥 스팀에서 살때 한국어 표기가 되면 한국어가 공식적으로 나오는건데 표기는 되어있지만 안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국내에 다이렉트 게임즈라는 게임 판매 사이트가 있는데요 거기서 사야 한글이 나오거나 한글 패치를 제공하는 몇 몇의 게임이 있습니다.
이블위딘, 아르마3(유저패치도있지만 이쪽이 정식), 세인츠로우3, 필라스 오브 이터니티, 디스아너드 본편, 아마도 빅터브란(이건 험블에서도 한국어 나오는 키를 제공한적이 있습니다. 스팀상점은 구매제한으로 검색이 안 됨), 시티즈 스카이라인(기간 독점 한글화) 등등.. 지금 생각나는건 이게 전부인데 아주 많지는 않고 몇 개만 그래요
- 유비 소프트 게임의 경우 패키지 판매(실물 CD판매)를 종종 하는데 그 CD를 인터넷 쇼핑몰이나 게임 판매점에서 싸면 더 저렴한 경우가 있습니다. 유비소프트 게임이다보니 DRM은 유플레이일 경우가 거의 백퍼구요
- 쿠폰이라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그래픽카드의 회사 두 곳이 있습니다 엔비디아, AMD 이 회사들에서 가끔 어느정도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사거나 아니면 어쨌든 뭘 샀을 경우 게임 등록이 가능한 쿠폰을 줍니다. 보통은 사이트를 통해서(엔비디아나 AMD 코드등록 사이트) 한번 등록을 하고 클라이언트에 등록을 하는 방식입니다. 그래픽카드를 사거나 할 경우 한 번 알아보는 것도 좋겠네요
- 유비소프트 게임은 스팀 이외의 사이트에서 살 경우 보통 유플레이에 등록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 꼮꼬꼬꼮 말씀드립니다.
이상으로 글이 핵 김으로 빨리 마치겠구요 혹시 수정사항이나 궁금한점 댓글 달아주세요! 나도 초보임으로 틀릴 수도 있뜸!
틀릴경우 다른 고수 겜시들이여 도와주세요! 문제시 진지하게 삭제함. 나 이거 두시간 반 이상 글 썼뜸. T^T
불펌 안대여.. 퍼갈사람도 없겠지만.. 여시안에서 봐주세여.. 타카페 스크랩도 노노함...
밑에는 번외편!!!!!!!!!!!!!!!! 중요한듯 중요하지않은 중요한 너~~ 쪼끔 중수편?
***번외편 구독권(feat.가격현지화?)
접어두기를 했지만 모바일에선 강제로 보의게쯰~ 안 읽어도 되고 읽어도 되고 중요한듯 중요하지 않은 조금 어려운 이야기 나도 잘 몰룬다눙
구독권에 대해 알려드리기 전에 가격 현지화를 살짝 언급하고 가겠습니다. 가격 현지화란 나라마다 돈이 다르자나여? 환율도 다르고 잘살고 못사는 것도 다르자나여? 미쿡에서 1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1200원쯤.. 엔화도 0 하나는 더 붙고여 그러나 러시아 돈, 중국 돈, 우리보다 저렴하자나여? 이런 여러가지 차이점에 맞춰서 게임 가격도 현지화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돈으로 6만원 짜리 게임이 딱 있다. 이게 중국 돈으로 결제하면 우리나라 돈 5만원으로 살 수 있고 이런 경우가 생긴다 이겁니다. 게임을 미국에서 만들었다고 무족권 달라로 받지 않숩니다. 이렇게 게임 가격 차이가 생깁니다. 이런걸 가격 현지화 했다고 하더라구여 (주워들었뜸)
그렇다면 구독권은 무엇이냐! 음 나도 자세히는 모르니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게임을 어디서 구매했느냐? 이런 차이입니다. 게임 구매자의 국가가 무엇이냐! 이런거..?
구독권이 있다 없다. 이런식으로 언급이 됩니다 구독권을 나눴다 안 나눴다 이런 식으로요.
구독권이 왜 중요하냐 하는 예를 들어드리겠씁니다.
내가 [안재욱결혼식]게임을 샀는데(오랜만에 언급) 이 게임이 구독권이 나뉘어 있다고 했을때. 구독권에 따라서 내가 한국사람이지만 여차저차 수법을 써서 중국에서 산 것 처럼 하려고 한다! 라고 할 경우 대표적인 몇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그냥 등록 될 경우. 실행도 잘 됨. 구독권이 사실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이런경우는 없다고 봐두 무방해요.. 애초에 이렇게 될 경우엔 구독권이 안 나뉘니까...
- 구매는 했지만 등록이 안 되거나 실행이 안 됩니다. 이럴 경우 또 다른 편법을 써도 되기 마련이지만 걸리면 내 계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고 하니 권하진 않겠습니다. 몇개월 묵히면 등록된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그럴바에야 그냥 몇개월 후에 사겠습니다...
- 구매가 안 됩니다. 사이트별로 다르지만 결제가 안 됩니다. 잉챠잉챠 해서 수법을 쓰면 구매 할 수도 있습니다(이거슬 우회구매라고 한다) 수법 써서 나쁜 상황이 벌어 질 수도 있씁니다.
- 구독권에 따라 출력되는 언어가 다르다. 만약에 한국어도 지원해주고 영어도 지원해주고 중국어도 지원해주고 하는 게임이 있는데 내가 잉챠잉챠 해서 중국에서 산 것 처럼 게임을 샀따 했을 때 한국어가 안나오는 서프롸이즈~ 영어라도 나오면 다행이지만 중국어만 나오는 경우엔 핵망...
구독권을 나누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위에서 언급한 가격현지화를 위해서... 내가 한국사람인데 중궉에서 산 것 처럼 이렇게 저렇게 해서 싸게 산다면 회사 입장에선 손해겠지여? 그런걸 방지하기 위해서 라거나 언어제공을 위해서? 만약 공식 한글화 같은 게임의 경우 언어를 위해 구독권을 나눌 수도 있구요 게임 심의를 위해서 나눌 수도 있습니다. 나라마다 허용이 안 되고 되는 그런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예를 들어 독일인가? 의 경우엔 게임에 대한 규제가 좀 센 편이라고 합니다. 너무 피 많이 튀면 안된다던가 하는 등의... 그래서 장면을 삭제하거나 뭐 좀 다르게 바꾸거나 하기 때무네 구독권을 나누는 경우도 있고 그냥 나누는 경우도 있고 사실 이건 그냥 회사 마음이라 살작 궁예 해봤습니다
구독권은 보통 전세계? 아시아? 이런식으로 나누거나 중국 러시아 미국 한국 이런식으로 나누거나 여러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나누는 회사 마음이고 사실 저도 잘 모른다능 데헷
자세한 건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여러 게임 관련 커뮤니티나 검색엔진에서 검색해보세요~ 위험성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사실 구독권은 크게 신경 안 써도 됩니다. 우선 내가 뤼퍼플릭 오부 코리아 이런식으로 어디 사이트 가입을할 때 국적을 제대로 선택하고 가입을 했을 때 게임이 사진다 하면 우선 등록이 안 되거나 실행이 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애초에 방법을 쓰지 않았다면 가입이 안 되던가 사지지가 않아요~ 혹시 내가 스팀 사이트를 익스플로러로 접속 했을 때 일본?쪽으로 접속하거나 중국?쪽으로 접속하거나 했을 경우도 있는데 그럴 때도 구매에 유의하세요. 스팀상점에서 우리 나라 계정이면 못 사는 게임도 꽤 있습니다.
첫댓글 여시 상세한 설명 고마워요!!
난 스팀밖에 몰랐는데 심즈하려면 오리진에서 해야하는구나
오리진게임이 스팀상점에 다 올라와 있는 것이 아니라서... 심즈3가 dlc(확장팩)가 많은데 스팀에선 본편이랑 dlc 하나 두개? 빼고 나머진 못봤뜸! 심즈4는 아예 없을걸...
삭제된 댓글 입니다.
웅 스팀에서 그냥 겜산거나 마찬가지라 멀티도 됨! 내가 쓰는 걸 잊었는데 겜을 사면 게임 코드를 확인 할 수 있는데 그 코드를 스팀 클라이언트 왼쪽 아래쯤? 플러스 표시된 쪼끄마한 게임 추가 써있는 곳이 있음 거기누르고 스팀상점에 있는 게임추가? 비스무리하게 써진 그거 눌러서 코드 입력하면 됩니다
스팀이 진짜 개꿀인게 친구랑 계정연동하면 서로의게임도 할수이써 나 남친이랑 해놨음ㅋㅋㅋㅋㅋㅋ
우와 고마워 개꿀팁을 아렇게 자세하고 쉽게 설명해주다닝 심시티해보고팠는데 이거보고 살까행 여시야 고마웡
삭제된 댓글 입니다.
넹 문명은 스팀에서! 세일때 구매추천드리고 dlc다 있는 합본팩 추천드려요
요새 이런 거 알고 싶었는데 좋은 정보 고마웡!!
삭제된 댓글 입니다.
@2월 14일 지나가던 글쓰니입니다 다크소울은 하드코어 게임입니다. 내 캐릭터가 렙업하기 전에 게이머가 레벨업 하는 게임이라는 것이 바로 다크소울입니다. 다크소울1이 젤 어렵고 2는 좀 쉬운편인데 본편정도만 그렇고 확팩은 또 어렵답니다(퍼스트씬?). 닼소3도 쪼끔 쉽지만 닼소2 때 보다는 다시 어려워졌다는 평이 있습니다.
차라리 다크소울보다는 위쳐3 추천드립니다
@슈박년 위쳐3 2015년 최다고티 받았뜸니다 확장팩은 진국이에요 이번에 새로나온 확팩도 볼륨 최공bbb
와 여시 넘나 자세하게 써줬다! 고마워용!
삭제된 댓글 입니다.
한글패치 유저들이 만들어서 배포해!
@6월18일까지잠수 응! 원래 스팀비비라는 사이트에 한글화된 스팀게임들 목록 모아놨는데..사이트가 문닫아서 ㅠㅠ 네이버에 검색해보면 나올거야!
스팀이 구매해놓고 저작권때문에 한 컴퓨터에서만 된다고 들었는데 ..아니양?
집 컴터 사양 부족하니 피방가서 구입하고 겜하다가 스팀 클라우드 해서 갈때마다 해도 되려나..???
넘나 하고싶가
게임마다 다를 순 있겠지만 보통은 다른 컴터에서도 됩니다 다만 피방에서 할거라면 겜 다운로드 속도도 생각해야해여 스팀 다운로드가 빠른편이 아니걸랑... 피시방에서 혹시라도 다운 안 될수도있고? 스팀클라우드의 경우에는 지원하는 게임은 그냥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적용이 되어있는 편입니다 신경안써두됨..내가 본문에 안써놨꾼요 호호호
혹시모르니 내가 하는 게임 세이브데이터 어디있나 미리 알아뒀다가 할때마다 따로 백업해두는 것도 좋을 듯
피시방에서 결제가 안전하지 않으니 구매는 집에서 하는 걸 추천
어어.......남자친구가 게임... 우움 어렵다 디아블로쓰리 잼는것...비슷한게임 혹여....... 추천해줄분..........?
아군데! 그럼 겜을내가 사잖아 그러면 아이디로 피시방에서도 되는구야???
@웨이브 피방에서 해도 됩니다 다만 다운로드를 해야할 경우가 있습니더
우앙 ㅋㅋㅋ글쿠나 고마워여시!
나 겜덕 된지 얼마 안됐는데 다들 스팀스팀 하길래 너무 궁금했어 글 고맙읍니다..♡♡
앜ㅋㅋㅋ나도 피씨게임 한번 도전해봐야지!!
올ㅋ 즐겜하세엽
삭제된 댓글 입니다.
친목 부털 아입니꺼? 겜겟 있을때까진 겜상에서 길드도 만들고 같이하고 그랬는데 그거 금지됐을껄????
@쉑따뿌레 아...죨라아쉽다...부털이군하...ㅠㅠ 겜겟은 왜사라졌을까.....
@냥늉이 겜겟이 없어졌떠요 그 이후에 스르륵에서 생겼는데 거기서도 모바일겜 아디나 다른게임 길드나 이런거 안 만들더라고 궁금쓰한게 있으시면 요기따 무로보시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그 지금 게임관련 플랫폼이 세세하겐 더 있지만 크게는 3종류야 스팀 오리진 유플레이... 그 게임 구매하는 구매처 상품설명에 drm이나 플랫폼 이런식으로 써있는 게 있는데 그 플랫폼이 스팀이면 험블 이런곳에서 구매해도 스팀에 등록하고 유플레이면 유플레이에 등록하고 그런식 본격적으로 구매하기 시작하면 골고루 쓰게되지 싼곳으로...
@월급존나짜네 그 다렉겜에서 스팀 플랫폼인지 아닌지 확인허세유~~
스팀 ㅠㅠㅠㅠㅠㅠ
삭제된 댓글 입니다.
스팀 라이브러리 등록인지 그냥 다운받아서 하는 거(DRM FREE?) 인지 확인했어? 라이브러리 등록이면 그냥 스팀겜 산거랑 크게 차이 없고 만약 아니더라도 내가 알기론 한패가 스타듀밸리 폴더에 설치? 느낌으로 하는 거라 설치만 잘하면 가능함 근데 아마 스팀 라이브러리 등록 게임 같은데 스타듀밸리는...
gta 그냥 스팀에서 사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