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글로벌은행 지점과 금융안정: 글로벌은행 지점은 어떻게 금융충격을 증폭시키는가?
저자 : 노유철(금융안정국 안정총괄팀)
<요약>
본 논문은 금융안정 관점에서 글로벌은행 ’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20년중 국가단위 패널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DSGE 문헌에서는 처음으로 ’국내은행’과 ’글로벌은행 지점’이 구분된 소규모 개방경제 DSGE 모형을 구축하였다. 동 모형 내에서 두 은행은 서로 구분되는 특징을 지님과 동시에 통화스왑을 통해 긴밀하게 연결된다. 모형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 국내은행의 건전성 악화 충격 발생시 글로벌은행 지점은 유동성 경색을 확대함으로써 금융충격의 효과를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과 전통적인 신용시장 개입 정책은 금융안정을 담보하기에 한계를 보였다. 이상의 내용은 글로벌은행 지점으로부터 야기되는 금융 취약성에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paper highlights the growing significance of global bank ‘branches’ in the context of financial stability. Motivated by empirical evidence from a panel of primarily European economies for 2014-2020, I propose a small open economy DSGE model which to the best of my knowledge is the first to distinguish between ‘domestic banks’ and ‘global bank branches’. These banks have distinctive features but are connected through currency swaps. My model predicts that global bank branches amplify the effect of financial shock, which is a sudden deterioration in domestic banks’ soundness, by exacerbating the liquidity crunch. Central bank’s monetary policy and conventional credit market intervention are insufficient to assure financial stability in this situation. These predictions provide a rationale for the need to counter the systemic vulnerabilities arising from global bank branches through macroprudential policies.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