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식쌤의 2월 문제중에요.
통일신라시대 불교문화 중에,
'이중 기단 위에 3층으로 쌓는 쌍탑 양식의 석탑이 제작되었다.'
가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쌍탑 양식이 무엇인가요?
분황사 모전석탑을 이야기하는 것인가요? ^^
또 틀린 예문 중에,
'분황사 모전석탑 - 호국불교적 성격을 반영하였으며, 쌍탑의 형식으로 건립되었다.'
가 있는데 여기서 틀린 것은 호국불교적이라서인가요?
제가 공부하는 기본서에는 '쌍탑' 관련 내용이 없어서요, 혼동스럽네요.
그럼 고수 분의 답변 부탁드릴게요.!
첫댓글 분황사 모전석탑은 선덕여왕때 만들어진 탑인데요 네이버 검색해보시면 탑모양이 흡사 집처럼 생긴탑입니다.
벽돌로 지어졌다. 이런식으로만 알고 있으면 충분하다고 보네요
쌍탑양식은 통일이후에 만들어졌는데요 감은사지 3층 석탑을 네이버에서 찾아보시면 바로 아! 하실겁니다.
왜냐면 탑이 2개 거든요.....아!
분황사 모전석탑은 찾아 보시면 알겠지만 다른 탑들과는 확실히 다르기 때문에 찾아보시면 기억에 금방남으실겁니다.
분황사 모전석탑은 쌍탑이 아니예용~
와, 그렇군요. ^^ 분황사 모전석탑은 신라시대, 쌍탑인 감은사지 3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
시대 자체가 다른 거였네요. ㅎㅎ
사진보니 정말 말끔하게 의아함이 해소되었어요~ ㅎㅎ 감사합니다....!
분황사 모전 석탑은 석탑입니다. 벽돌 모방한(그래서 한자로 "모전'이라 함) 석탑입니다.이래서 신라 탑의 양식을 목탑에서 벽돌탑, 석탑 순으로 추론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탑은 7c 이후에 나타나는 용어라는 것 필히 숙지하세요. 그리고 통일 전에는 백제 2개, 신라 2개 탑이 있었다라고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