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과 대속제물의 의미가 무엇입니까?
신약성경은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를 “대속”(代贖)하셨다고 여러 번 말씀합니다. 대속이란 갚을 길이 없는 빚을 대신 갚아주고 자유하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형제의 갚을 길이 없는 빚을 대신 갚아준 사람이 있었습니까?
그런데 우리의 갚을 길이 없는 빚은 돈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닌 것입니다. 왜냐하면 죄의 값은 사망이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들의 죄 값을 자기 아들로 대신 담당하게 하셨는데 이것이 “대속제물”인 것입니다.
80. (욥19:25) 욥은 극한적인 고난 중에도 무엇을 믿는다고 고백하고 있습니까?
* 내가 알기에는 나의 대속자가 살아 계시니 마침내 그가 땅 위에 서실 것이라
81. (마20:28 ) 예수님은 섬김을 받으시기 위해서가 아니라 무엇이 되기 위해서 오셨다고 친히 말씀하셨습니까?
*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
* “대속물로 주려 함이라”는 뜻은 죄 값은 사망인 죽음을 우리 대신 받으시기 위해서 오셨다는 뜻입니다.
82. (슥11:12) 예수님께서 대속제물이 되실 것은 구약성경에 이미 예언된 바인데 얼마에 팔릴 것을 예언하고 있습니까?
* 그들이 곧 은 삼십 개를 달아서 내 품삯을 삼은지라
83. (시22:12-16) 시편에는 예수님이 우리 죄를 위한 대속제물이 되시는 장면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습니까?
* 12절, 많은 황소가 나를 에워싸며 바산의 힘센 소들이 나를 둘러쌌으며
* 13절, 내게 그 입을 벌림이 찢으며 부르짖는 사자 같으니이다
* 14절, 나는 물 같이 쏟아졌으며 내 모든 뼈는 어그러졌으며 내 마음은 밀랍 같아서 내 속에서 녹았으며
* 15절, 내 힘이 말라 질그릇 조각 같고 내 혀가 입천장에 붙었나이다 주께서 또 나를 죽음의 진토 속에 두셨나이다
* 16절, 개들이 나를 에워쌌으며 악한 무리가 나를 둘러 내 수족을 찔렀나이다
84. (시22:18) 심지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군인들이 어떻게 할 것까지 예언하고 있습니까?
* 내 겉옷을 나누며 속옷을 제비 뽑나이다 (요한복음 19:23-24절을 보십시오)
85. (사53:4-6) 이사야서는 예수님이 우리 죄를 위한 대속제물이 되실 것을 어떻게 예언하고 있습니까?
* 53:4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우리는 생각하기를 그는 징벌을 받아 하나님께 맞으며 고난을 당한다 하였노라
* 53:5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 사53:6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86. (고후5:19, 21) 하나님께서 우리 죄를 그에게 담당시키실 것이 19절과 21절에서는 어떻게 말씀하고 있습니까?
* 19절 그들의 죄를 그들에게 돌리지 아니하시고 (네 죄는 네가 책임을 지라고 말씀하지 않으시고)
* 21절 하나님이 죄를 알지도 못하신 이를 우리를 대신하여 죄로 삼으신 것은 (이것이 십자가사건입니다)
87. (시49:7-8) 그러므로 시편에서는 한 생명을 대속하기 위한 값이 어떠하다고 말씀합니까?
* 49:7, 아무도 자기의 형제를 구원하지 못하며 그를 위한 속전을 하나님께 바치지도 못할 것은
* 49:8 그들의 생명을 속량하는 값이 너무 엄청나서 영원히 마련하지 못할 것임이니라
88. (출30:15) 하나님은 “대속”에 대해서 무엇이라 말씀하셨습니까?
* 너희의 생명을 대속하기 위하여 여호와께 드릴 때에 부자라고 반 세겔에서 더 내지 말고 가난한 자라고 덜 내지 말지며
* 이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대속하신 값이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동일하다는 점, 즉 “자기 아들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 모든 사람을 위하여 내주셨다”(롬8:32)는 점을 나타냅니다. 형제를 위해서도 말입니다.
89. (행8:34) 이사야 53장은 성령께서 에디오피아 내시를 구원하실 때 사용하신 말씀입니다. 내시는 무엇이라고 물었습니까?
* 그 내시가 빌립에게 말하되 청컨대 내가 묻노니 선지자가 이 말한 것이 누구를 가리킴이냐 자기를 가리킴이냐 타인을 가리킴이냐
90. (행8:36) 빌립이 전하는 복음을 들은 내시는 무엇이라고 말했습니까?
* 길 가다가 물 있는 곳에 이르러 그 내시가 말하되 보라 물이 있으니 내가 세례를 받음에 무슨 거리낌이 있느냐
* 빌립이 전하는 복음을 통해서 “누구를 가리킴이냐”한 누구 곧 예수 그리스도를 만났기 때문입니다.
* 이사야 53:4-5절 안에 “우리”라는 말이 7번이나 나옵니다. “우리” 대신 자기 이름을 넣어서 고백하는 마음으로 읽어 보십시오.
* 이제 형제도 “누구”를 만나고 세례를 받고자 하는 감사와 감격이 있습니까? 그리하여 자신이 만난 예수님을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고 싶은 열정이 일어납니까?
91. (요15:13) 이처럼 대속제물이 되셔서 “대신 죽어주신 사랑”에 대해 예수님은 무엇이라고 말씀하십니까?
*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없나니
92. (고후5:14) 바울은 그리스도의 어떤 사랑이 자신을 강권(强勸)한다고 말합니까?
*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각하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라
* 하나님의 아들이 나 같은 죄인을 위해서 대신하여 죽어주셨다는 그 사랑이 형제의 마음을 강권하지 않습니까?
93. (롬5:7) 성경은 “우리가 생각하건대”하고 생각해보라고 말씀합니다. 무엇을 생각해보라는 것입니까?
* 의인을 위하여 죽는 자가 쉽지 않고 선인을 위하여 용감히 죽는 자가 혹 있거니와
* 의인과 선인을 위해서 죽는 자도 쉽지 않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아들이 나 같은 죄인을 대신 해서 죽어주셨다는 점을 생각해보라고 호소합니다. 형제는 하나님께서 자기 아들을 통해서 이루어주신 복음을 하루에 몇 번이나 생각하면서 감사하며 기뻐하는 편입니까?
94. (고후5:15)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대신하여 죽어주심은 우리로 어떤 삶을 살게 하기 위해서라고 말씀합니까?
5:15절 그가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으심은 살아 있는 자들로 하여금 다시는 그들 자신을 위하여 살지 않고 오직 그들을 대신하여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신 이를 위하여 살게 하려 함이라
* 이것이 우리 죄를 위하여 “대속제물이 되신 그리스도”입니다. (찬송 32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