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19:1
가나안 땅을 주신 것은 언약의 성취지만 열두지파에게 분배 된 기업의 면 면에는 야곱의 예언-(창49장)이 투영되어 있습니다. 그 예언에는 축복과 저주는 물론 약속과 경고도 있어요. 예언은 확정된 숙명과 다르며 하나님 앞에서 책임을 묻겠다는 뜻입니다. 공주야! 하나님 나라는 공존과 연대의 나라다. 제로섬의 법칙처럼 누군가 독점하면 누군가 가 누릴 수 없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더불어 함께 누리기 위해서 내가 치러야 할 거룩한 대가를 생각해 보자 구나.
-It was the accomplishment of the covenant that gave land to the Canaanites, but Jacob's prophecy (창 Chapter 49) is projected on the side of the enterprise distributed to the 12 tribes. The prophecy has blessings and curses, as well as promises and warnings. Prophecy is different from a fixed destiny and means that we will be held accountable before God. Princess! The kingdom of God is a country of coexistence and solidarity. It is self evident that if someone monopolizes it, someone cannot enjoy it, just like the law of zero sum. Let's think about the holy price that I have to pay to enjoy it together.
시므온 지파는 땅을 따로 받지 않고 유다 지파 안에 있는 땅을 받았다. 그렇다면 유다 지파가 먼저 큰 땅을 부여받은 후에 그 땅 안에서 비교적 좋은 땅인 브엘세바와 시글릿 주변 땅을 시므온 지파에게 주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 같은데 네 생각은 어떠냐? 이는 남은 네겝 지방의 땅들이 비교적 척박하였기 때문에, 유다 지파가 호의를 베푼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구나. 그들은 모세의 예언에도 복을 보장 받지 못했다.
The Simeon tribe received land within the tribe of Judah, not land separately. Then it is possible that the tribe of Judah was given a large land first and then gave it to the tribe of Simeon, which was relatively good in the land around Beersheba and Siglet. What do you think? It may have been because the rest of the Negeb region was relatively barren. They were not blessed by Moses' prophecy.
-
나중에 왕국 분열 때 북 이스라엘 편을 선택 하여 유다 지파 내의 땅을 버리고 올라간 후 가장 먼저 사라지는 지파가 된단다. 스불론 잇사갈 지파는 갈릴리 바다 남서쪽으로 서로 인접하여 있을 것이다. 야곱과 모세의 축복의 예언에서(창49:13, 신33:18-19)스불론은 바다와 관계가 있다고 나오지만, 실제로는 지중해와 인접하지는 않고, 지중해를 끼고 있는 아셀 지파와 경계를 두고 있다. 그래서 지중해에서 유입되는 다양한 물건이 주는 번영을 누릴 수 있었을 것이다.
Later, when the kingdom was divided, they chose to side with North Israel, abandoned the land within the tribe of Judah, and became the first tribe to disappear. The Svulon Isagal tribes will be adjacent to each other to the southwest of the Sea of Galilee. In the prophecy of Jacob and Moses' blessing (창49:13, 신33:18-19), Svulon states that i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sea, but it is not actually adjacent to the Mediterranean, but rather bordering the Asher tribe, which borders the Mediterranean Sea. So they would have been able to enjoy the prosperity of the various goods flowing from the Mediterranean.
-
그들은 여호와 하나님을 선택할 수 있었을 뿐, 그들이 살 곳은 스스로 정할 수 없었어. 험한 곳이든 풍요로운 곳이든 그것을 정할 분은 하나님 뿐이었다. 공주야, 아빠는 풍요가 꼭 축복은 아니라고 본다. 공주야! 가나안 땅을 주신 것은 아브라함 언약의 성취이지만, 12지파에게 분배 된 기업의 면 면을 살펴보면 야곱의 예언이 투영되어 있는 것 같구나. 나머지 여섯 지파의 땅 분배를 언급하는 중에 시므온 지파의 땅 분배와 관련해서 유독 시므온 지파 만 제비뽑기를 통해 땅 분배를 받지 못하고 유다 지파가 이미 분배 받은 땅 중에서 재분배를 받게 되는 것이 인상적이다.
They could only choose Jehovah and God, but they could not choose where to live for themselves. God was the only one to decide whether it was a rough or rich place. Princess, Dad doesn't think abundance is necessarily a blessing. Princess! Giving Canaan land is the accomplishment of the Abraham Covenant, but if you look at the aspects of the enterprises distributed to the 12 tribes, it seems that Jacob's prophecy is projected. While referring to the land distribution of the remaining six tribes, it is impressive that the Simeon tribes will not receive land distribution through lotting, and the Judah tribes will receive redistribution from among the lands already distributed.
-
아무리 문제가 많고 역사상 상처가 깊은 지파라도 제비뽑기에서 아예 기업이 없다는 것은 의외로 본다. 이렇듯 바알브올 사건(민25장) 이후 쇠락의 길로 접어든 시므온 지파를 보면서 하나님의 예정과 인간의 책임을 생각해봐야 될 것이다. 그리고 시므온 지파의 기업 가운데 일부는 유다 지파의 양보가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형제 지파를 위해 자신의 권리를 기꺼이 포기한 유다 지파와 유다지파의 기업 안에서 시므온 지파가 자신들의 기업을 재분배 받듯이 우리의 육신을 성전으로 성령이 나를 붙잡고 이끌어 가실 때 비로소 거룩하게 되고 기업이 될 것이다.
It is surprising to see that there are no companies at all in the lottery, no matter how problematic and historically hurtful the tribe is. We must consider God's plans and human responsibility by looking at the Simeon tribe, who entered the path of decline after the Baalbiol incident (Chapter 25 of the People). And without the concession of the Judah faction, some of the Simeon tribe's enterprise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Just as the Judah faction and the Simeon tribe, who were willing to give up their rights for their brothers, are redistributed to their enterprises, only when the Holy Spirit holds me to the temple and leads us to become a company.
-
제비를 뽑기의 본질은 하나님이 결정해 주시는 것을 따르겠다는 것인데 합리적으로 계산하고 나누지만 현실적으로는 모두가 만족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 이상은 하나님이 주신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빈부격차니 양극화라는 말이 회자 되고 그 틈에 상대적인 빈곤을 느끼며 열등감을 갖게 되기도 하는 것 같다. 아무리 노력 해도 올라가지 못할 나무가 되기도 한다. 솔직히 가진 돈이 많았다면 나도 부동산 투기를 했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
The essence of drawing lots is to follow what God decides, and although they are reasonably calculated and divided, in reality, not everyone will be satisfied. Anything more should be accepted as God's gift. The word polarization seems to have become a hot topic, and it seems that the word "polarization" i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in the gap, they feel relative poverty and inferiority. It becomes a tree that cannot be climbed no matter how hard I try. Honestly, if I had a lot of money, I would have been more likely to have speculated on real estate.
-
부자가 더 많을 돈을 벌려고 편법을 쓰고 탈세하려고 애쓴다. 많이 배우고 머리 좋은 사람이 지능적 범죄를 저지르기도 하고 말이야. 세상은 이렇게 돌아 가더라도 우리는 하나님이 내게 주신 것에 감사하며 즐겁게 살자! 우리에게는 영원한 기업 이신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가? 나는 축복의 약속을 제한하거나 방임하고 있는 건 아닌가?
The rich try to make more money and use expedients to evade taxes. A lot of learning and smart people commit intelligent crimes. Even if the world goes by like this, let's live happily and be grateful for what God has given me! Don't we have a God who is an eternal company? Am I not restricting or neglecting the promise of blessing?
-
시므온 지파의 기업(1-9)
a.땅 분배 서론;1
b.기업에 대한 묘사:2-8
c.요약:9
스불론 지파의 기업 분배(10-16)
a.땅 분배 서론:10
b.기업에 대한 묘사:11-15
c.요약:16
잇사갈 지파의 기업 분배(17-23)
a.땅 분배 서론;17
b.기업에 대한 묘사:18-22
c.요약:23
-
둘째로 시므온(1a)
곧 시므온 자손의 지파를 위하여(1b)
그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1c)
그 기업은(1d)
유다 자손의 기업 중에서라(1e)
-
그 얻은 기업은(2a)
브엘세바(2b)
곧 세바와 몰라다와(2c)
-
하살 수알과(3a)
발라와(3b)
에셈과(3c)
-
엘돌랏과(4a)
브둘과(4b)
호르마와(4c)
-
시글락과(5a)
벧 말가봇과(5b)
하살수사와(5c)
-
벧 르바옷과(6a)
사루헨이니(6b)
13성읍이요(6c)
또 그 촌락이며(6d)
-
또 아인과 림몬과(7a)
에델과 아산이니(7b)
네 성읍이요(7c)
또 그 촌락이며(7d)
-
또 남방 라마(8a)
곧 바알랏 브엘까지(8b)
이 성들을 둘러 있는(8c)
모든 촌락이니(8d)
이는 시므온 자손의 지파가(8e)
그 가족대로 얻은 기업이라(8f)
-
시므온 자손의 이 기업은(9a)
유다 자손의 기업 중에서(9b)
취하였으니(9c)
이는 유다 자손의 분깃이(9d)
자기들에게 너무 많으므로(9e)
시므온 자손이(9f)
자기의 기업을(9g)
그들의 기업 중에서 얻음이었더라(9h)
-
셋째로 스불론 자손을 위하여(10a)
그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10b)
그 기업의 경계는 사릿에 미치고(10c)
-
서편으로 올라가서(11a)
마랄라에 이르러(11b)
답베셋에 미치고(11c)
욕느암 앞 시내에 미치며(11d)
_
사릿에서부터 동편으로 돌아(12a)
해 뜨는 편을 향하고(12b)
기슬롯 다볼의 경계에 이르고(12c)
다브랏으로 나가서(12d)
야비아로 올라가고(12e)
-
또 거기서부터 동편으로(13a)
가드 헤벨을 지나(13b)
엣 가신에 이르고(13c)
네아까지 연한 림몬으로 나아가서(13d)
-
북으로 돌아(14a)
한나돈에 이르고(14b)
입다엘 골짜기에 이르러(14c)
끝이 되며(14d)
-
또 갓닷과 나할랄과(15a)
시므론과 이달라와 베들레헴이니(15b)
모두 12성읍이요(15c)
또 그 촌락이라(15d)
-
스불론 자손이(16a)
그 가족대로 얻은 기업은(16b)
이 성읍들과 그 촌락이었더라(16c)
-
넷째로 잇사갈(17a)
곧 잇사갈 자손을 위하여(17b)
그 가족대로 제비를 뽑았으니(17c)
-
그 지경 안은(18a)
이스르엘과(18b)
그술롯과(18c)
수넴과(18d)
-
하바라임과(19a)
시온과(19b)
아나하랏과(19c)
-
랍빗과(20a)
기시온과(20b)
에베스와(20c)
-
레멧과(21a)
언간님과(21b)
엔핫다와(21c)
벧 바세스며(21c)
-
그 경계는(22a)
다볼과 사하수마와(22b)
벧 세메스에 미치고(22c)
그 끝은 요단이니(22d)
모두 16성읍이요(22e)
또 그 촌락이라(22f)
-
잇사갈 자손 지파가(23a)
그 가족대로 얻은 기업은(23b)
이 성읍들과 그 촌락이었더라(23c)
-
엇갈린 축복_mixed blessing_
열린 축복_an open blessing_
지켜야 할 축복_a blessing to keep_
-
땅의 주인이신 주님. 우리 생애 가운데 허락하신 풍성한 은혜들에 감사하며 그것을 나누며 살아가는 주체가 되게 하옵소서. 특별히 제가 하나님의 뜻을 따라 자족하며 사는 연습을 계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옵소서.
The Lord, the Lord of the earth, thank you for the abundant grace you have allowed in our lives, and let me be the one who lives by sharing it. In particular, help me continue the practice of living in accordance with God's will.
2025.1.28.wed.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