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역버스환승센터에서 자라는 식물
철쭉계의 공주 하나빈 철죽
피고 지고를 오랫동안 꽃을 보여주고
갈래진 꽃잎들이 뭉쳐져서 아름답게 핀다.
황금좀눈향
품종: 좀눈향의 칼라 수종
특징: 끝부분이 황금색을 띠며, 포복형으로 바닥을 기어 자란다
용도: 석축 사이, 절개지, 공원, 가정 정원, 연못가 등 다양한 용도 및 토사 유출 방지용, 조경, 분재 소재로 많이 쓰인다
철쭉
털머위
수안초등학교
1986 . 01 . 24일 설립 인가
부산시 동래구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 2023년 기준, 전교생이 약 230여명 가량인 작은 학교다. 교목 : 소나무 교화 : 장미
예전에는 부산 본부 사택이고 故 허종학 지사장이 거주한 아파트이다.
울산지점 근무 시 지금 롯데백화점 동래점이 시외버스터미널일 때 여기까지 걸어와 나는 31번 버스로 해운대로 갔다 .
참으로 큰 나무처럼 묵직한 분이었다
온천천 큰 나무
세병교 밑 쉼터
부산 장기, 바둑 자칭 일인자들이 모여 자웅을 겨누었다.
1930년대 세병교 모습
현재의 세병교
이 세병교와 원동교를 건너며 겪은 삶의 무게가 이후 시련을 슬기롭게 이겨 내게했다.
거제1동, 황새알마을
한새벌, 황새알, 학란 등 거제1동은 황새와 관련된 지명이 많은 동네이다.
이 모든 지명은 큰 새라는 뜻의 한새라고도 불리는 황새에서 유래되었다.
동래부지(東萊府誌)에는 거제1동 일대가 대조리(大鳥里)로 표기되어 있다.
거제천과 온천천이 연결되는 저습지였던 거제1동은 황새가 살기에 적합한 장소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는 생태가 변화하여 황새를 찾아볼 수 없지만
전해져오는 여러 지명에서 그 시절의 풍경을 짐작해볼 수 있다.
황새알 마을의 역사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장소로는 황새알 우물터가 있는데
1947년, 부산 우물 수질대회에서 2위를 차지할 정도로 맑은 물이 나왔던 황새알 우물은 귀한 식수 공급원의 역할을 했으며 2015년 정비를 통해 주민들의 쉼터로 활용되고 있다.
황새알 그린등굣길 표지판
교대역 3번 출구에서 교육대학교 정문 까지의 교대로의 중간에 있다
황새알이 놓여있는 화단이 조성되어 있다
부산교육대학교 정문
정문 앞에 좌우의 일차선 차도에서 좌측은 법원 검찰청 가는 도로이고 우측은 거학초등학교 가는 도로이다. 병설초등학교는 정문 안에 있음
병설초등학교 가는 길
화살나무
1997.11.18 1000호 새아침,
2004 .4. 06 1500호 새아침
2016.10 .10 2000호 새아침
기념석 있는데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병설초등학교 정문 앞 대나무 숲
돈나무와 가시나무 중앙의 기념석
웃고
뛰놀자
그리고
하늘을 보며 생각하고
푸른
내일의 꿈을 키우자
1974. 8.13
육 영 수
안내판을 찾을 수 없어 친필인지 모르겠다
부산교육대학교 조형물
부산교육대학교를 상징하는 한새는 황새이니 날개, 날아가는 모습, 황새 알 등을 형상화 시킨 작품인 것 같다
거학초등학교
공사 중
여기가 십자산(해발 46m) 정상인 듯하고 고갯길은 사직동으로 간다고 현장
근무자께서 알려주어 황새알 우물터 찾기는 배가 고파 다음에 ~
첫댓글 교대역 5번 출구
국제빌딩 오른쪽 도로 50m
맑은 물이 고요히 솟아오르니
황새가 날아와 우물가에 읹을민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