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0-2246-9741
#수도권
#경기도
#땅투자
수도권(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의 강점 -
대한민국 철도 교통을 적극 대변하는 곳이 바로
수도권!
철도 교통의 진화의 가능성과
인구의 다양성이 일치하는 공간이 바로
수도권!!
땅값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유리한 조건이다
고속도로의 특징≠수도권전철의 특징
(∵고속도로는 지방과 직결 가능
수도권전철은 지방과 단절된 지경-
내년 개통되는 서해선복선전철이
기대되는 이유다)
#서해선복선전철
고속도로 나들목의 역할≒환승역세권의 역할
(∵인구의 다양성, 다변화가 가능)(투자가치↑)
#고양시
#용인시
#화성시
#평택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노선+
역세권의 사용가치
수도권에 투자하는 이유 중 1순위 - 수도권전철의 진화
2순위 - 대기업가치
3순위 - 대도시의 가치
예비특례시+예비대도시↗
#동탄역
역세권의 사용가치+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노선
2021년 노선별 일평균
승하차량 순위
(역세권 사용가치=현재가치)
(1) 2호선(사용자 2,437,506명)
(2) 1호선(2,068,507며)
(3) 4호선(1,130,584명)
(4) 7호선(1,126,055명)
(5) 5호선(1,020,584명)
(6) 3호선(994,693명)
(7) 수인분당선(704,050명)
(8) 9호선(584,074명)
(9) 6호선(524,089명)
(10) 경의중앙선(366,766명)
(11) 인천1호선(308,588명)
(12) 8호선(308,073명)
(13) 신분당선(209,016명)
(14) 인천2호선(190,574명)
(15) 공항철도(148,531명)
(16) 서해선(92,204명)
(17) 우이신설선(71,717명)
(18) 김포도시철도(71,701명)
(19) 의정부경전철(66,878명)
(20) 경춘선(62,822명)
(21) 경강선(56,685명)
(22) 용인에버라인(46,573명)
#서해선
사용가치 통해 현재가치를 알아봤다면
이젠 공사 중인 노선 통해 미래가치를
알아보자
공사 중인 노선⇒미래가치↗
(1) 1호선
연천역~소요산역(20.8km)
올 하반기 개통예정
단선으로 개통되며
(추후 복선 확장 가능)
전곡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들은 모두
새 역사로 이전될 예정
(2) 7호선
도봉산역~고읍역(양주시 고읍동)(14.6km)
오는 2027년 개통예정
(도봉산포천선)
석남역(인천 서구 석남동)~청라국제도시역
(10.6km)
스타필드 청라 및 청라 돔 야구장 인근에
추가역 신설을 논의중
#인천광역시
(3) 8호선
별내역~암사역(12.9km)
오는 2024년 개통(별내선)
(4) 9호선
중앙보훈병원역(강동구 둔촌동)~샘터공원역(강동구 고덕동)
(3.8km)
오는 2028년 개통
급행은 고덕역과 샘터공원역에 정차 예정
(5) 경강선
연수역~판교역(40.3km)
오는 2027년 개통예정
시흥시청역부터 광명역까지
수도권전철 신안산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광명역
#신안산선
(6) 소사역~대곡역(19.6km)
올6월24일 개통
대곡역부터 능곡역까지는 경의중앙선과 환승이 가능하지만
선로와 승강장을 따로 사용
#소사역
#대곡역
일산역~대곡역(6.9km)
올8월 개통
일산역부터 대곡역까지 수도권전철
경의중앙선과 선로를 공유
원시역~서화성남양역(4km)
2024년 12월 개통
2027년부터 수도권전철 신안산선과 선로를 공유할 예정
(7) 인천1호선
검단역~계양역(6.8km)
2024년 12월 개통
(8) GTX-A
수서역~동탄역(32.8km)
오는 2024년 개통
수서평택고속선과 선로를 공유
운정역~서울역(33km)
오는 2024년 개통
창릉역(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은
2026년 개통
서울역~수서역(15.3km)
2025년 11월 개통예정
삼성역은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사업 지연으로
2028년 개통하며
그 전까지는 무정차 통과한다
(9) 신안산선
여의도역~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원시역
(44.6km)
광명역부터 시흥시청역까지
수도권전철 경강선과 선로를 공유하고
시흥시청역부터 원시역까지
수도권전철 서해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10) 동탄인덕원선
인덕원선~동탄역/서동탄역(37km)
오는 2026년 5월 개통
강북구 일대
(11) 동북선
왕십리역~상계역(13.4km)
2026년 개통
#위례신도시
(12) 위례선
마천역~복정역(송파구 장지동)/남위례역(성남시
수정구 복정동)(5.4km)
2025년 9월 개통
공사가 확정된 노선
(1) 7호선
포천역~고읍역(19.3km)
2029년 개통
포천역(포천시 군내면 하성북리 583-1)의 토지이용범위
면적 - 2,805제곱미터
개별공시지가 - 85,900원
생산녹지지역
자연녹지지역
성장관리권역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문화재보호법>
(2) 9호선
샘터공원역~풍양역
풍양역(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 540-1)
지목 - 답
면적 - 593제곱미터
개별공시지가 - 339,500원
일반상업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진접2공공주택지구)
공공공지(저촉)
공공주택지구(진접2공공주택지구)<공공주택 특별법>
성장관리권역
토지거래계약에관한 허가구역
(2022-12-26재지정_국토교통부 공고)
#신분당선
광교 일대
(3) 신분당선
광교중앙역~호매실역(11km)
오는 2029년 개통예정
호매실역(수원 권선구 금곡동 1160)
면적 - 19,727제곱미터
개별공시지가 - 965,100원
근린상업지역
일반상업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호매실지구)
공공주택지구
도시교통정비지역<도시교통정비촉진법>
용산역~신사역(5.3km)
2032년 개통예정
(4) 신림선의 난곡지선
보라매공원역~난향역(서울 관악구 난곡로)
2026년 개통
(5) 위례신사선
위례중앙역~신사역(14.8km)
2027년 12월 개통
(6) 서부선
새절역~관악산역(16.2km)
2028년 개통
고양시청역~새절역(14.5km)
고양시청역(원릉역)의 토지이용범위
(덕양구 성사동 539)
면적 - 15,262제곱미터
개별공시지가 - 617,000원
용도지역 - 자연녹지지역
제2종일반주거지역
완충녹지(저촉)
개발제한지역
과밀억제권역
(7) 목동선
신월역~당산역(10.9km)
2028년 개통
(8) 면목선
청량리역~신내역(9km)
(9) 강북횡단선
청량리역~목동역(25.7km)
#강북구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노선
(1) 1호선
연천역~동두천역(20.8km)
2023년 10월 개통
노량진역~청학역(21.9km)
(2) 3호선
오금역~하남시청역(12km)
2028년 개통
금릉역(파주시 금촌동)~대화역(10.9km)
(3) 7호선
고읍역~도봉산역(15km)
2027년 개통
포천역~고읍역(17.5km)
2029년 개통
(4) 8호선
별내역~암사역(12.9km)
2024년 7월 개통
별내가람역~별내역(3.2km)
(5) 9호선
샘터공원역~풍양역(18km)
(6) 수인분당선
청량리역~왕십리역(1km)
기흥역~오산역(16.9km)
(7) 경강선
연수역~판교역(40km)
2027년 상반기 개통
(8) 공항철도 급행화
서울역~인천공항2터미널역(63.9km)
(9) 신분당선
광교중앙역~호매실역(9.7km)
2029년 개통
호매실역~봉담역(7km)
용산역~강남역(7.8km)
2032년 개통
삼송역~용산역(20km)
봉담역(화성시 봉담읍 수영리)
삼송역(고양시 덕양구 삼송동 18-5)
삼송역
면적 - 840제곱미터
개별공시지가 - 1,867,000원
일반상업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삼송택지개발)
택지개발지구<택지개발촉진법>
(10) 서해선
원종역~소사역(4.8km)
2023년 하반기 개통예정
일산역~원시역(20.4km)
2023년 하반기 개통
원시역~서화성남양역(4km)
2023년 하반기 개통
(11) 인천2호선
불로지구~일산서구(18.5km)
인천광역시
(12) 신안산선
여의도역~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원시역
(44.6km)
2026년 개통예정
원시역~국제테마파크역
2026년 개통
서울역~여의도역(4.8km)
(13) 동탄인덕원선
인덕원역~동탄역/서동탄역(37km)
2026년 5월 개통예정
(14) 위례과천선
복정역~정부과천청사역(22.9km)
고양은평선
고양시청역~새절역(13.9km)
위례삼동선
위례역~삼동역(10.4km)
대장홍대선
대장역~홍대입구역(20km)
신구로선
시흥대야역~목동역(12.4km)
결국
수도권에 여전히 투자자가 몰리는 건
철도교통의 꾸준한 변화를 통한
'쉼없는 주거인구의 진화과정' 때문
집값 땅값은 결국
부동산주인 당사자에 의해
폭등하는 것!
'지역주인'이 곧 '지역 주인공'인 셈!
사람이 또 다른 사람을 부른다
(투자자가 투자자를 부름)
(군중심리에 취약한 개미투자자가 급증세)
마치 가격이 또 다른 가격을 부르듯 말이다
(호가)
기자들도 주목하는 키워드나 대목이
수도권이다
수도권에서 기사거리가 잘 나온다
기획기사 쓰기 딱인 곳이
수도권이고
기획부동산의 가장 좋은 먹잇감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
예컨대 용인 화성 평택 시흥
김포 하남 성남 파주 고양
오산 등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투자자입장에서
성숙된 도시 공간이건 미성숙된 도시 공간이건
수도권은 무조건(!) 투자의 정도요
정석인 셈
☎ 010-2246-9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