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량 수요 증가에 따라 타이어 수요도 증가 예상 -
- 정부의 완제품 수입 억제 정책으로 인해 현지 합작 유망 -
□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승용자동차용 공기타이어 (스테이션왜건과 경주자동차용 포함)
○ HS Code: 4011.10
□ 시장규모 및 동향
○ 알제리 자동차산업협회 (AC2A : Association des Constructeurs et des Consessionnaires Automobiles en Algérie)에 따르면 알제리 연간 타이어 수요는 약 450만개 정도로 추산됨.
- 협회에 따르면 알제리 타이어 시장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집계가 어려우며, 자동차 등록 대수 및 대형 중장비용 타이어 수요 150만 개를 근거로 하여 추산한 수치임.
- 95% 이상의 타이어 수요는 수입으로 대체하고 있으며, 국내 생산으로 충당하는 수요는 약 25만개 정도로 일부에 불과
- 정부의 완제품 수입 억제 정책에 따라 타이어 수입 시장 자체의 규모는 축소가 예상되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국내의 타이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알제리 현지 생산을 위한 합작 파트너쉽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수입 동향
○ 2017년 기준 알제리 타이어 수입시장 규모는 약 1억 2,145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2.3% 감소
최근 3년 알제리 자동차용 타이어 수입시장 동향
(단위: USD천, %)
연도 | 2015 | 2016 | 2017 | 증감* |
금액 | 133,543 | 138,461 | 121,450 | -12.3 |
*2016년 대비 증감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알제리 최대 타이어 수입국은 중국으로 그 수입규모는 2017년 기준 약 8천2백만 달러 규모로 전체 타이어 수입의 67.5% 차지
- 한국은 2위 수입국으로 전체 수입시장의 3.2% 차지
국가별 타이어 수입 동향
(단위: USD천, %)
국가 | 2015 | 2016 | 2016 | 비중 | 증감* |
중국 | 78,200 | 90,272 | 81,986 | 67.51 | - 9.2 |
한국 | 4,641 | 2,981 | 3,868 | 3.19 | 29.8 |
독일 | 7,437 | 5,327 | 3,772 | 3.11 | - 29.2 |
프랑스 | 3,649 | 6,370 | 3,709 | 3.05 | - 41.8 |
체코 | 3,452 | 3,143 | 2,842 | 2.34 | - 9.6 |
베트남 | 2,315 | 1,791 | 2,710 | 2.23 | 51.3 |
일본 | 5,004 | 2,591 | 2,675 | 2.20 | 3.2 |
루마니아 | 2,990 | 2,970 | 2,517 | 2.07 | - 15.3 |
슬로바키아 | 2,070 | 2,608 | 2,475 | 2.04 | - 5.1 |
헝가리 | 4,290 | 3,307 | 2,138 | 1.76 | - 35.3 |
*2016년 대비 증감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한국은 중국에 이어 알제리 타이어 수입시장 2위국으로 2017년 기준 수입규모는 약 387만 달러 규모임.
- 전체 타이어 수입 시장이 2016년 대비 12.3% 감소하였으나 한국산에 대한 수입은 29.8% 가량 증가함.
최근 3년 알제리 자동차용 타이어 대한 수입 동향
(단위: USD천, %)
품목 | 2015 | 2016 | 2017 | 증감* |
4011.10 | 4,641 | 2,981 | 3,868 | 29.8 |
*2016년 대비 증감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알제리 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알제리 타이어 시장은 향후 잠재력이 높아 경쟁이 매우 치열한 시장으로 대부분의 글로벌 메이커들이 진출해 있는 상태임.
- 세계시장 점유율 2위 메이커인 프랑스의 Michelin은 50여 년 전부터 알제리 타이어 시장에 진출, 알제리 타이어 시장의 22%를 점유하며 1위를 기록* (*Michelin사 발표 수치로 공식적인 통계 수치는 아님)
- 그 외에도 CFAO Automotive Algérie사에서 2011년부터 유통시키고 있는 미국의 Goodyear와 독일의 Continental, 일본의Bridgestone 또한 현지 유통 파트너사가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 한국 제품 중에서는 한국타이어가 알제리 유통 파트너인 Attia Group을 통해 연간 약 15만개 가량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타이어를 유통하고 있는 Attia Group의 대표 Rachid Attia에 따르면, 알제리 타이어 시장은 경쟁이 치열한 시장으로 중국산 저가 타이어 유통으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고전하고 있으나 향후 시장 전망은 긍적적이라고 함.
- 중국산 저가 타이어, 특히 애프터 마켓을 타겟으로 한 중국산 저가 타이어는 높지 않은 알제리 소비자의 구매력을 타겟으로 하여 저가의 저품질 제품을 빠른 속도로 공급하고 빠른 속도로 사라지며 시장의 질서를 교란시키고 있다고 함.
- 시장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중국 브랜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일부 유통사에서 소위 “원샷 마케팅”으로 신규 브랜드를 만들어 2~3만개 가량의 저가 제품을 단시간에 일시적으로 시장에 풀고 사라지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고 함.
- 이러한 치열한 경쟁과 질서 교란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타이어 유통 업체들은 향후 시장 성장 잠재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증가하는 자동차 수요와 더불어 타이어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미쉐린 타이어가 2013년 공장을 철수한 이후 알제리에서 현재 타이어를 생산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은 없으며, 알제리 기업Groupe Iris에서 Setif지역의 산업단지 내에 2018년 내 가동을 목표로 타이어 공장을 설립 중에 있음.
- 당초 연초 가동 계획이었으나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유통구조
○ 알제리 현지 생산 타이어는 그 수량이 매우 적으며, 대부분의 타이어는 수입 업체를 통해 제품이 유통되고 있음.
- 수입업체가 제품을 수입하여 도소매상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공공분야 수요에 대해서는 입찰을 통해 제품을 조달하고 있음.
알제리 타이어 시장 유통 구조

자료원: 알제 무역관 자체 조사자료
□ 관세율 및 수입규제. 인증 현황
○ 관부가세
- 일반관세: 15%
- 특혜관세: 0% (알제리가 체결한 아랍권FTA, EU FTA에 의거, 가입국에 대하여 무관세 특혜 부여)
- 부가세: 19%
- 기타: 2018년 재정법에 의거, 무게 3kg이상 15kg 미만 중소형 자동차용 타이어에 대해서는 개당 450 디나르(한화 약 4,160원 상당), 15kg이상 대형 차량용 타이어에 대해서는 개당 750 디나르(한화 약 6,930원 상당) 특별수입관세 부과
□ 시사점
○ 2017년 말 기준, 알제리 자동차 등록 대수는 약 6백만 대로, 대중교통 시스템이 잘 정비되어 있지 않아 국민들의 자동차 의존도는 매우 높은 편임.
- 향후에도 자동차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이에 따라 차량유지에 필요한 부품 및 소모품 수요도 꾸준히 증가 전망
○ 공급은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정부의 완제품 수입 억제 정책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현지 합작에 대한 수요가 새로이 부상하는 중임.
- 국가 재정난을 극복하고 무역수지 건전화를 위해 알제리 정부는 완제품에 대한 강력한 수입규제 정책과 동시에 알제리 내 제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전개하고 있음.
- 2018년 재정법에 의거, 알제리 내에서 제조되는 일부 공산품목에 대해서는 기존 관세 이외에도 최소61%에서 200%까지 추가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
- 현재 미미한 수준의 타이어 국내 생산이 어느 정도 활성화 되는 경우 우리 제품에 대해서도 추가 관세가 부과될 수 있는 상황임.
○ 현재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국 기업과 협력하고자 하는 알제리 기업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바, 알제리 타이어 시장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제품 수출, 장기적으로 현지 기업의 협력 수요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보는 것도 좋을 것임.
자료원: AC2A, Global Trade Atlas, 알제 무역관 자체 조사 및 인터뷰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