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中, 나빠지는 시력…커지는 ‘눈’ 시장 | ||||
작성일 | 2012-07-07 | 작성자 | 김우정 ( yuting95@kotra.or.kr ) | ||
국가 | 중국 | 무역관 | 다롄무역관 | ||
-->
-->
中, 나빠지는 시력…커지는 ‘눈’ 시장 - 시장규모 200억 위안, 연평균 15% 성장하는 안경시장 - - 선글라스, 콘택트렌즈 등 수요 다원화 - 자료원: 百度 □ 안경시장 빠르게 성장 ○ 인구 고령화와 생활수준 향상으로 중국의 안경 착용률이 점차 높아지면서 중국은 안경 생산과 소비 대국으로 급격히 부상함. - 중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3개국 협력으로 진행된 아동 근시 예방 연구 통계에 따르면, 중국 인구의 근시 발병률은 약 33%이며, 13억 인구 중 약 4억 명이 근시로 세계 평균수준인 22%보다 1.5배 높음. 특히 근시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청소년은 50~60%가 근시로 중국은 세계 1위의 근시인구를 보유한 나라로 집계됐으며 난시, 원시 등을 포함하면 6억여 명이 시력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2010년 말 기준, 중국 안경 소비자는 3억 명으로 추정되며 연간 안경 판매량은 1억여 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평균 가격 160위안으로 계산하면 선글라스를 포함한 안경 소매시장 규모는 약 200억 위안에 달하며 연평균 15% 이상의 빠른 성장률을 보임. ○ 2011년 상반기 안경 제품과 부품 수입액은 약 1억7000만 달러로 2년 전인 2009년과 비교해 51.81% 성장함. 그 중 렌즈 수입량은 28.42% 증가하고, 수앱액은 28.18% 증가함. 안경 완제품 수입량은 54.85%, 수입액은 107.54% 증가했으며, 안경테, 안경부품 등의 수입액은 48.53% 증가함. □ 동부연해에 안경 전문점 집중 분포 ○ 중국 안경산업은 빠르게 성장해 세계 최대 생산국과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6000여 개의 안경생산기업과 4만 개를 넘어서는 안경 전문점 수를 보유함. ○ 안경 전문점은 주로 동부 연해지역과 내륙지역의 상업중심도시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그 중 창장(長江)삼각주와 주장(珠江) 삼각주와 베이징(北京)이 안경 산업이 가장 활발한 지역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을 보임. - 대형 안경 체인점은 주로 베이징, 상하이 등 직할시와 청두(成都), 난징(南京), 광저우(廣州), 선전(深圳), 다롄(大連) 등 비교적 경제가 발달한 연해도시와 중심도시에 분포됨. - 상하이의 안경 소매총액은 약 10억 위안을 넘어서며 전국 시장점유율 5%를 차지하고 베이징 안경 소매총액은 6억~7억 위안, 주요 생산기지인 광둥(廣東)에 경우 약 3억 위안의 소매총액을 기록함. 안경소매시장 기업수와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中國眼鏡行業市場報告 □ 중국 안경산업 다원화 ○ 안경시장 매출액 중 일반 안경테와 안경렌즈 매출이 65%를 차지함. - 안경테 시장은 중국산 제품이 대부분을 점유며 수입품은 5%에도 미치지 못함. 그러나 수입제품 가격이 중국산보다 비싸 매출액 기준으로는 약 10%를 점유함. 경제발전 지역의 경우 안경테 평균가격은 250~300위안이며 그 외 지역은 100~200위으도로 나타남. - 안경테의 경우 디자인을 비교적 중시하며 교환주기는 2~3년이었으나 최근 그 주기가 점차 단축됨. 또한 개성화, 고급화를 추구하며 1인당 안경테 보유량도 늘어남. - 시력 교정뿐 아니라 패션 아이템으로 안경테를 구입하는 사람들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점차 확대됨. ○ 선글라스는 안경시장 매출액의 10%를 차지하며 전문매장이나 안경 대리점 매대를 통해 판매됨. - 중국의 선글라스 수요는 선진국에 비해 크지 않은 편이지만 일부 고소득층이나 특수 소비자층 들의 수요, 패션용품으로서의 수요가 점차 늘어남. 특히 100위안 대의 저렴한 제품이 인기를 끌어 평균가격은 150~200위안으로 나타남. ○ 콘택트렌즈와 관리용품 매출은 안경시장 매출액에서 약 25%를 차지함. 콘택트렌즈의 경우 소비가 급성장하는 추세를 보이며 18세에서 35세까지였던 사용 연령층 역시 15세부터 49세까지 확대됨. 2008~2013 중국 콘택트렌즈 추정 판매액 (단위: 백만 위안) 자료원: 百度 - 최근까지 콘택트렌즈 관련 업계 규정이 없어 일반 안경점에서 자격증 없이도 판매가 가능했으나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이 2012년 4월 1일부터 미용용 컬러 콘택트렌즈를 의료감독관리 범위에 포함시켜 콘택트렌즈 시장에 대한 관리가 강화됨. - 콘택트렌즈의 주 소비층은 20~35세의 여성으로 주로 미용과 편리성이 주된 요인으로 나타남. 매출구조는 일반형 콘택트렌즈(1~2년 장기사용렌즈)와 1회용 콘택트렌즈(1일 또는 1주, 한달 등 단기사용렌즈)가 2:1 비율이나 경제발전 지역에서는 1회용 콘택트렌즈 판매비중이 전체 콘택트렌즈 매출총량의 50%를 차지함. - 콘택트렌즈 생산기업인 Cooper Vision은 앞으로 5년간 중국의 렌즈시장이 15~20%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며 시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함. - 베스콘(BESCON), 미성(美星) 등 한국 브랜드는 미용렌즈 부문에서 품질과 디자인, 색상 등이 최고라는 평가를 받음. 유행에 민감한 젊은 세대에게 큰 인기를 얻음. 2011 중국 10대 콘택트렌즈 브랜드
자료원: 帝賣網 □ 시사점 ○ 중국의 안경 착용 인구는 향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며 소비성향도 기본기능 위주에서 고급화, 브랜드화, 개성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임. 따라서 중국 안경 소비성향에 대한 분석과 소비자 공략이 필요함. ○ 잠재력이 큰 시장이기 때문에 외국기업의 진출이 늘어남. 다른 외국기업과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 성향을 파악해야 중국 안경시장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음. - 바슈롬의 경우 주요 고등교육기관에 안경보호센터를 설립해 저렴한 가격으로 대학생에게 콘택트렌즈를 홍보, 판매해 브랜드인지도 제고와 잠재고객 확보 등의 큰 수확을 얻음. ○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아이들의 성장에 따라 교체가 자주 일어나는 아동용 안경이나 노안, 시력 교정 콘택트렌즈 등 중국 안경 시장의 블루오션을 노리는 것도 좋을 것임. - 아동용 안경은 약 47%의 학부모가 기존 제품이 아동의 생리적 특징과 수요에 부합하지 않으며 30%는 아동 안경제품의 개념과 디자인이 많이 떨어진다고 응답함. 자료원: 百度, 百度DB, 眼鏡英才網, 中國眼鏡網, 中國眼鏡在線, KOTRA 다롄 무역관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