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케로스
    2. 엄지
    3. 염화미소
    4. 빼앗긴 들에도 봄..
    5. 최바른
    1. 김월회
    2. 인권연대1
    3. 권혁수
    4. 강서구
    5. 과거와 미래
 
 
카페 게시글
자유롭게 글쓰기 중국 사료 송서에 기록된 왜왕 무의 남조 표문(외교문서)의 신뢰성
공실불 추천 0 조회 98 25.05.22 10:21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6.22 22:34

    첫댓글 삼국과 당시 왜의 기록과는 억색한 부분이 많은데, 좋은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잘 봤습니다

  • 25.06.23 21:13

    일리가 있는 지적입니다. 백제와 스스로를 동일시 할만한 당시 왜 세력이 뭐가 있었을까요? 일본 역사는 거의 모르지만 나름 큰 세력이 있었겠죠?

  • 25.07.03 10:52

    5세기 일본서기의 천황은 2가지 원칙에 의하여 기록됩니다. (1)백제, 신라, 갸아 등 삼한 여러 나라를 다스리는 천황은 스스로 왕이 될 수 없다. (2)천황은 공립되어야 시호와 대수를 준다
    공립은 마한 최대 세력인 백제왕실과 혼인 동맹을 맺는 것입니다. 그런데 즉위는 했어도 공립이 안 되고 퇴위한 천왕은 즉위가 무효화되어 천황의 시호와 대수를 주지 않고, 앞이나 뒤의 공립된 천황의 재위기간에 포함되어 버립니디. 따라서 웅략의 즉위는 461년 11월이고 황후를 세우는 공립은 462년 3월인데 시변압반황자가 공립이 안 되고 죽자 그의 5년 재위기간은 웅략에게 포함된 것입니다. 따라서 즉위는 456년 11월로, 황후 세우는 공립은 457년 봄 3월로 이동됩니다. 462년에 오국에서 사신이 오는데 웅략의 즉위 축하 사신입니다.
    또 즉위는 했지만 공립이 안 된 천황은 대외적으로 왕이 아니라 왕세자를 칭해야 합니다. 그러다 공립이 되면 세자 자가 떨어지고 세자기간도 자신의 재위기간에 포함되게 됩니다. 따라서 5세기 천황들은 황후 세우는 일에 목숨을 겁니다. 제가 나중에 별도의 글에서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 25.07.03 10:59

    그리고 설령 표문을 보내온 왜왕 무가 일본열도의 군주 유라쿠가 맞다면 고구려가 일본열도를 침략하여 왜에 중대한 타격을 줬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고요.
    => 왜왕 곤지와 백제 개로왕 사이의 혼인동맹에 의하여 한 쪽이 공격을 받으면 다른 한 쪽이 군대를 보내 도와주어야 합니다. 장수왕이 한성을 침공할 때 곤지가 개로왕을 돕기 위하여 큐수지역 군대를 급파합니다. 그 구원군 사령관이 목협만치고 부사령관이 조미걸취입니다. 그래서 장수왕이 더 이상 남하를 하지 않고 돌아가는 것이고, 훗날 동성왕은 그 군사력을 기반으로 왕이 되는 것입니다. 나중에 별도로 상세히 글을 올리겠습니다.

  • 작성자 25.07.10 02:36

    곤지는 백제 개로왕의 동생인데 무슨 개로왕과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이라는 마냥 혼인 동맹을 맺습니까? 사료와 어긋난 주장을 하고 있군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