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It is time(직설법) 다음에 나오는 we went to bed는 가정법적 표현이에요.. 그것이 가정법 과거로 쓰여있어서 해석하면 현재사실의 반대를 나타내는 것이죠. 그래서 해석을 해보면 '지금 시간은 우리가 잠자러 가야 할 시간이다' 로 해석이 되죠.. 그래서 과거의 의미가 내포된 동명사를 쓰지 못하는 것 아닌가요?????
that절이 온것은 가주어 it의 진주어가 절로 오기 때문에 that을 써 준 것입니다. that을 특이 형태의 가정절로 보지 마시고 문맥상으로 이해 하심이 헷갈리지 않을 듯 싶군요. 그 이유는 가주어 it뒤에 동사가 is로 현재동사이고 that이하 진주어 부분의 동사는 과거인데 이것은 관용적으로 허용되고 있습니다. 과거동사나 과거완료시제와 불일치되지만 it뒤에는 현재로 써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that절 이하의 (과거에) 어떤 행위를 할 시간이다. 라고 말한것은 화자가 이말을 하는 시점에서는 그러지 않았다는 것이 자연스레 포함되어 있게 되어 꼭 가정절처럼 되어버리는 것이죠.
첫댓글 It is time(직설법) 다음에 나오는 we went to bed는 가정법적 표현이에요.. 그것이 가정법 과거로 쓰여있어서 해석하면 현재사실의 반대를 나타내는 것이죠. 그래서 해석을 해보면 '지금 시간은 우리가 잠자러 가야 할 시간이다' 로 해석이 되죠.. 그래서 과거의 의미가 내포된 동명사를 쓰지 못하는 것 아닌가요?????
가주어 IT은 진주어로 to부정사구를 가집니다. 그리고 동명사로 되는 경우 앞의 의미상 주어로 온 for us의 경우도 맞지가 않겠죠. 동명상의 의미상 주어는 목적격이나 소유격이 오기 때문입니다.
그럼 위부분은 (that)we went to bed로 that절을 가정절로 보아 현재사실과 반대하여 과거동사를 썻고 아래는 가s it의 진주부분이기에 to부정사가 왔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that절이 온것은 가주어 it의 진주어가 절로 오기 때문에 that을 써 준 것입니다. that을 특이 형태의 가정절로 보지 마시고 문맥상으로 이해 하심이 헷갈리지 않을 듯 싶군요. 그 이유는 가주어 it뒤에 동사가 is로 현재동사이고 that이하 진주어 부분의 동사는 과거인데 이것은 관용적으로 허용되고 있습니다. 과거동사나 과거완료시제와 불일치되지만 it뒤에는 현재로 써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that절 이하의 (과거에) 어떤 행위를 할 시간이다. 라고 말한것은 화자가 이말을 하는 시점에서는 그러지 않았다는 것이 자연스레 포함되어 있게 되어 꼭 가정절처럼 되어버리는 것이죠.
(정리) It is time 뒤에 s+v 부분에동사는 일종에 가정절로 현재나 이후를 나타내기에 이를 가정하여 반대로 나타내어 과거형태를 쓰는것임. 즉 동사형태는 과거이나 내용은 현재나 미래를 나타내므로 과거의 going가 아닌 미래의 to go로 써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