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물류에 대한 뉴스를 찾아보던 중 프레이트 포워더라는 단어를 보게 됐습니다.
외국과의 국제복합운송에 있어 프레이트 포워더라 불리는 운송취급인-운송주선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프레이트 포워더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1. 정의 : 국제운송에서 화주를 위하여 운송인과의 운송계약 체결을 주선, 대리 또는 중개할 뿐만 아니라 운송서류의 작성, 조달, 화물의 통관, 보장, 인도 등 운송에 부가된 각종 업무를 처리하고 나아가 각종 운송수단을 결합하여 자기의 명의로 Door-to-door의 일괄 운송을 직접 인수하는 운송인
2. 기능 : 운송에 대한 전문적인 조언, 운송수단의 수배, 본선과 화물의 인수 또는 인도, 운송관계서류의 작성, 통관업무의 수행, 포장 및 창고보관업무, 보험업무 수행, 소량 화물의 혼재 및 분배, 복합운송
3. 종류 :
-운송인형 프레이트 포워더 : 자신이 직접 선박, 트럭, 항공기 등 운송수단을 보유하면서 복합운송의 역할을 수행
ex) 선박회사, 철도회사, 트럭회사, 항공회사
-운송주선인형 프레이트 포워더 : 선박, 트럭, 항공기 등 운송수단을 자신이 직접 보유하지 않고 다만 계약 운송인으로 운송책임을 지는 형태
ex) 해상-항공운송주선업자, 통관업자
참고자료
https://www.ksg.co.kr/news/main_newsView.jsp?pNum=126026
https://blog.naver.com/zimbaro?Redirect=Log&logNo=221379955178
https://www.ksg.co.kr/news/main_newsView.jsp?pNum=125416
-----------------------------------------------------------------------------------------
과거에는 국제물류업체가 '폐쇄성'을 무기로 화주들에게 조금 더 높은 단가를 부르고, 운송 지연에 대한 책임을 화주에게 전가시키는 것도 가능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IT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트레드링스라는 기업이 투명성을 강조하며 창업을 한 뒤로 다른 기업들도 투명성을 따르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무역업계에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이 과정 속에서 불공정했던 거래 관행들이 삭제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이를 유지하여 선순환 구조가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운영 및 로지스틱스 강의를 들으며 생소했던 국제무역에 대해 알게 되는 좋은 기회가 됐습니다.
첫댓글 freight forwarder~! 중앙동에 AMP/MBA 제자들이 운영하는 대행사들이 제법 있단다.
사장들이 너희들의 동문 선배들이고, 학부제자들도 제법 취업시켰단다~ ^^
중간시험 평가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