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서울시장 경선에 나선 나경원·원희룡·김충환 의원은 11일 잇따라 기자회견을 갖고 각자 서울시정 개선과 관련한 정책공약을 발표했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과 경기, 인천이 연계·협력해 더 큰 서울, 열린 서울로 나아가야 한다”며 ‘메가서울 구상’을 발표했다.
나 의원은 “서울이 국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내륙도시라는 약점을 극복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서울과 경기, 인천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해 대수도 개념을 도입하고 한강과 서해를 연결하는 한강 뱃길을 통해 중-일 등 세계도시와 연결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3개 광역자치단체의 칸막이 행정을 뛰어넘는 제3의 광역행정청을 설치하겠다”며 “이 기구가 독립적인 기획·재정·사업권을 갖고 각종 기반시설을 마련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서울과 경기도, 인천의 주요 현안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건설을 추진, 수도권의 급속한 팽창해 대응한 교통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민주당 한명숙 전 총리의 무죄판결에 대해 “선거판도가 요동치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며 “한나라당은 정권안정론으로 승부할 수 밖에 없으며 그런 의미에서 새로운 인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한 전 총리가 사실상 야당의 후보로 확정된 만큼 최초 여성 서울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고 한나라당 입장에서도 여성 대 여성의 구도가 승리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점이 아닌가 한다”고 강조했다.
원희룡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시민들의 참여를 보장해 시민 중심으로 서울 시정을 개혁하겠다”며 ‘시장 직속의 시민위원회 설치’ 약속을 밝혔다.
원 의원은 “예산이 자의적으로 쓰였는지, 효율적으로 집행됐는지를 시민들이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예산 전횡을 제도적으로 막기 위해 시민예산참여제를 전면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부시장직 여성할당제 도입 △주요 부서와 고위직에도 여성할당제 도입 △시민공모 옴부즈맨 제도 △시장 직속의 시민위원회 설치 등도 제안했다.
그는 한 전 총리에 대한 검찰의 ‘별건 수사’와 관련, “한 전 총리와 관련한 검찰의 수사와 기소가 상당한 부실을 드러내 검찰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많이 위태롭다”면서 “지금은 검찰의 입장이 신뢰받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검찰의 신중한 자세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충환 의원은 ‘안전한 서울 만들기’ 구상을 밝혔다.
김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서울시장 후보들이 과연 서울시민의 안전을 확실하게 지킬 경험과 능력이 있는 지 살펴봐야 한다”며 “도시 안전 문제를 동북아 대도시끼리 협의하고 동북아 도시회의를 열어 기후변화 정보를 공유하고, 재난재해를 대비해 공동모금협정을 체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시민들은 서울시가 건설 중인 한강인공섬(플로팅 아일랜드)이 폭우 및 홍수를 견뎌낼 지 불안해하고 있다”면서 “한강 교량은 물론 한강인공섬에 대한 철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타워크레인, 하수도 준설 등 공사장 안전사고 제로화 추진 △유괴, 성폭행, 강·절도 등 범죄율 감소와 경찰 지원 강화 △학교폭력 해소 △급식사고 예방 등의 정책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한 전 총리의 1심 재판 무죄선고와 관련, “검찰 수사로 인해 오히려 한 전 총리의 능력을 시민들이 묻지 않았다”면서 “지금부터는 ‘한 전 총리가 과연 일을 잘 할 수 있을까’라고 시민들이 묻기 시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