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매가 큰 시계초들]
<알라타 시계초 Passiflora alata>
열매 가로 5~10cm, 세로 8~15cm
<쿠아드랑굴라리스 시계초 Passiflora quadrangularis>
(= 자이언트 그라나딜라 Giant granadilla)
(= 매크로카르파 시계초 Passiflora macrocarpa)
열매 가로 10~15cm, 세로 10~30cm
<디캐즈네아나 시계초 Passiflora decaisneana>
열매 세로 18cm
<페니키아 시계초 Passiflora phoenicia>
열매 가로 8cm, 세로 13cm
--------------------------------------------------
<알라타 시계초 Passiflora alata>,
<쿠아드랑굴라리스 시계초 Passiflora quadrangularis>
(= 자이언트 그라나딜라 Giant granadilla),
(= 매크로카르파 시계초 Passiflora macrocarpa)
<디캐즈네아나 시계초 Passiflora decaisneana>
(=쿠아드랑굴라리스 시계초와 알라타 시계초 사이의 교배종)
<페니키아 시계초 Passiflora phoenicia>
(= P. alata 'Ruby Glow') 등
열매가 큰 시계초들은 모두 줄기가 "사각형 (quadrangular)"인데
<알라타 시계초 Passiflora alata>는 줄기가 사각형인 것을
"날개가 달린 having wings;winged"이라는 의미인
<알라타 alata>를 이름으로 사용하였고,
<쿠아드랑굴라리스 시계초 Passiflora quadrangularis>
(= 자이언트 그라나딜라 Giant granadilla)는
"열매가 사각형(quadrangular)"이라서
<쿠아드랑굴라리스 quadrangularis>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자이언트 그라나딜라 Giant granadilla>는
이름 그대로 "큰 (시계초) 열매"라는 의미입니다.
(열매 크기 가로 10~15cm, 세로 10~30cm)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라타 시계초>를 <큰 열매 시계초>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Passiflora의 유래
많은 사람들이
모 서적에 적힌 시계초에 대한 설명에 의하면
"시계초의 속명 屬名인 Passiflora는
라틴어인 'flor della passione'를 번역한 '정열적인 꽃'이란 뜻이다."라고 적고 있다.
라는 내용의 글을 퍼나르고 있다.
그러나 이 내용은 옳지 않다.
라틴어 'flor della passione'라는 표현은 없다.
1. 라틴어 표현은 "flos passionis"이다.
2. "flor"라는 단어를 쓰려면 "flor de la pasión"라고
스페인 어로 표기해야 한다.
3. "della passione"라는 표현을 쓰려면 "fiore della passione"라고
이탈리아 어로 표기해야 한다.
4. "정열적인 꽃"이 아니라 "고난(수난)의 꽃"이다.
라틴어 flos 플로스
= 이탈리아 어 fiore 피오레
= 스페인 어 flor 플로르
= 영어 flower 플라워
= 꽃
라틴어 passio 파시오
= 이탈리아어 passione 파시오네
= 스페인 어 pasión 파시온
= 영어 passion 패션
= (예수님의) 수난, 고난
(흔히 알고 있는 정열(열정)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
위 단어가 "열정,정열"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시계초를 지칭할 때는 의미가 다른데도
이 사실을 모르고
원산지가 열대 지방이나 아열대 지방이니까
"열정의 꽃, 정열의 꽃"인가 보다 지레 짐작하고 적어 놓은 글들도 보입니다.
Passiflora : del latín flos passionis que significa literalmente "flor del sufrimiento" o "flor de la pasión".(스페인 어)
Passiflora : from the Latin flos passionis which literally means "flower of suffering" or "passion flower". (영어)
"flos passionis" (라틴어)
= "fiore della passione" (이탈리아 어)
= "flor de la pasión" (스페인 어)
= "passion flower" (영어)
= (예수님) 수난의 꽃 (flower of suffering)
Il nome del genere, adottato da Linneo nel 1753 e che significa "fiore della passione" (dal latino passio = passione e flos = fiore), gli fu attribuito dai missionari Gesuiti nel 1610, per la somiglianza di alcune parti della pianta con i simboli religiosi della passione di Cristo, i viticci la frusta con cui venne flagellato; i tre stili i chiodi; gli stami il martello; la raggiera corollina la corona di spine.
[출처]https://it.wikipedia.org/wiki/Passiflora
- 윤슬사랑
[출처] 2017년 11월 5일 (일) <알라타 시계초 Passiflora alata> 실내에서 3송이 개화|작성자 윤슬사랑
◆ <시계초 품종 이름의 의미>와 <시계초의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블로그 "윤슬사랑"
1. 퓨라비다 시계초 Passiflora Pura Vida
- 아메시스트 시계초 Passiflora amethyst 와
래서모사 시계초 Passiflora racemosa 간의 교배종
퓨라 비다 시계초 Passiflora Pura Vida에서 퓨라 비다 Pura Vida는 영어로 <pure life
순수한 인생> 이라는 의미로 코스타리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인사말입니다.
Pura Vida는 "nothing but life (오직 인생뿐)", or "a whole lot of life", or "all life(모든
인생)"이라는 뜻도 있지요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퓨라 비다 시계초 USDA equivalent average temperature zone: 9a ( 영하 6.6°C)
2. 벨로티 시계초 Passiflora x belotii
- 알라타 시계초 Passiflora alata와
블루 스카이 시계초 Passiflora caerulea 사이의 교배종
< 벨로티 시계초 Passiflora x belotii>에서 <벨로티 belotii>는 beloti라는 영어 성姓
+ i가 합쳐진 말인 것 같습니다.
< belotii> = < beloti> + < i>
< 에드문도이 시계초 Passiflora edmundoi>에서 < 에드문도이 edmundoi>는 영어
이름 edmundo + i 결합된 말입니다.
< edmundoi> =< edmundo> + < i>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벨로티 시계초 USDA: 9b - 11 ( 영하 3.8°C)
3. 바이올러셔 시계초 Passiflora x violacea
- 블루 스카이 시계초 Passiflora caerulea 와
래서모사 시계초 Passiflora racemosa 간의 교배종
< 바이올러셔 시계초 Passiflora x violacea>에서 < 바이올러셔 violacea>는 보라색
(violet ), 자줏빛 (purplish) 이라는 의미입니다.
여성 형용사 violacea , 남성 형용사 vioaceo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바이올러셔 시계초 Hardiness: Zone 9 (영하 6.6°C)
4. 아메시스트 시계초 Passiflora amethyst
- 블루 스카이 시계초 Passiflora caerulea 와
케메시나 시계초 Passiflora kermesina 간의 교배종
< 아메시스트 시계초 Passiflora amethyst >에서
< 아메시스트 amethyst >는 2월의 탄생석인 "자수정(紫水晶)" 또는 "보랏빛"이라는 의미
입니다.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아메시스트 시계초 Hardiness zones: 9b-12 ( 영하 3.8°C)
5. 카루리아 시계초 Passiflora caerulea (블루 스카이로 인식함)
<블루 스카이 시계초 Passiflora caerulea>에서 < caerulea> 는 < 감청색 dark blue ,하
늘색 azure ,짙은 청색 cerulean >이라는 의미입니다.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블루 스카이 시계초 Zones 7-11 (영하 17°C)
6. 콘스탄스 엘리옷 시계초 Passiflora Costance Eliott
< 콘스탄스 엘리옷 시계초>
< Constance Elliot>, < Constance Elliott>, < Constance Eliott> 표기가 제각각인데
< Passiflora Constance Eliott>로 적는 것이 옳은 것 같습니다.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콘스탄스 엘리옷 시계초 USDA Hardiness Zone 7-10 (영하 17°C)
그러나 Passiflora Online에서는
< Constance Eliott>
내한성을 <영하 8도 Min –8°C 18°F>로 적고 있습니다.
7. 인카나타 시계초 Passiflora incarnata
< 인카나타 시계초 Passiflora incarnata>에서 < 인카나타 incarnata>는
< 살로 이루어진 made of flesh : 살색의 flesh-coloured : 살 속에 “in the flesh.” >라는
의미입니다.
[ flesh]
1.(사람,동물의)살,근육과 지방의 조직
2. (특히 색 외관에 관해서)피부, 살결
3.(백인의) 피부색
in the flesh - 직접 [친히] 보는, 실물의, 살아 있는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Passiflora incarnata, or Maypop, is the coldest hardy of the Passion vines.
They are hardy in the landscape in USDA zones 6-9. (영하 23°C)
( 내한력 지대표(최저기온표)에서처럼 영하 23도까지 견딜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8. 알라타 시계초
Passiflora alata (= Fragrant granadilla )
< 알라타 시계초 Passiflora alata >에서 < 알라타 alata>는 < 날개가 달린 winged>라는
의미입니다.
알라타 시계초는 자가수정이 안됩니다.(?)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Hardiness:
USDA zone 10-11, -1 °C ( USDA zone 10 = 영하 1°C )
32F (= 0°C)
Passiflora quadrangularis = Giant granadilla
< 쿼드랭귤라리스 시계초 Passiflora quadrangularis>에서
quadrangle 쿼드랭글 (의미 - 사각형)
quadrangular 쿼드랭귤러 (의미 - 사각형의)
quadrangularis 쿼드랭귤라리스 - 줄기가 사각이라서 그런 명칭이 붙음.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Hardiness:USDA Zone 10a: to -1.1 °C (영하 1.1 °C = 30 °F)
10. 디캐즈네아나 시계초 Passiflora decaisneana
- 알라타 시계초 Passiflora alata와
콰드랭귤라리스 시계초 Passiflora quadrangularis
(=자이언트 그라나딜라 Giant Granadilla) 사이의 교배종
Passiflora x decaisneana
Synonym:Passiflora alata x quadrangularis
Synonym:Passiflora x buonapartea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Hardiness:USDA Zone 9b: to -3.8 °C (영하 3.8 °C = 25 °F)
11. 비티폴리아 레드 시계초 Passiflora vitifolia
< 비티폴리아 레드 시계초 Passiflora vitifolia> 에서 < 비티폴리아 vitifolia>
= 라틴어 "비티스 vitis (포도)" + " 폴리아 folia(잎)" = "포도잎" 이라는 의미입니다.
< 폴리아 folia>는 "잎"을 의미하는 "폴리움 folium"의 복수형태입니다.
(포도 - 영어 grape = 라틴어 vitis
포도잎 - 영어 grape leaves = 라틴어 vitifolia
즉, 포도잎 시계초 = Grape-Leaved Passion Flower = 라틴어 Passiflora vitifolia)
참고로 < 콕시네아 레드 시계초 Passiflora coccinea> 에서
스페인어 <콕시네아 coccinea>는 <자줏빛>이라는 의미입니다.
여성 형용사 "콕시네아 coccinea", 남성 형용사 "콕시네오 coccineo"
( purpúreo)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USDA Hardiness Zone 10 - 11 ( USDA zone 10 = 영하 1°C )
12. 백향과
(= 자줏빛 패션 프루츠= 자줏빛 에듈리스 시계초= purple granadilla)
< 라틴어 "에듈리스 edulis" > = < 영어 "에더블 edible" > = < 우리말 "식용 가능한">이라
는 의미입니다.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USDA hardiness zones: 9B through 11 ( 영하 3.8°C)
13. 노랑 에듈리스 시계초
Lilikoi = Passiflora edulis var. flavicarpa = Yellow Passion Fruit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Hardiness
The lilikoi is not nearly as hardy as the purple passion fruit, and is very susceptible
to frosts.
It will not usually survive temperatures much below 40F (= 영상 4°c).
14. 오렌지 시계초 Passiflora aurantia
< 오렌지 시계초 Passiflora aurantia >에서 < aurantia >는 오렌지색(주황색), 황갈색
(tawny)이라는 의미입니다.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Hardiness: Zone 11 (영상 4.5°c 이상)
15. 분홍 바나나 시계초
Passiflora mollissima, Passiflora tarminiana
<분홍 바나나 시계초 Passiflora mollissima>에서
< 몰리시마 mollissima>는 가장 부드러운,가장 달콤한 이라는 의미입니다.
< 분홍 바나나 시계초>에는
Passiflora tarminiana와 Passiflora mollisima 두 종류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Passiflora mollisima라고 불렀는데
2000년도에 <꽃잎이 열리는 정도>를 기준으로
Passiflora tarminiana와 Passiflora mollisima로 분류되었다네요.
타미니아나
몰리시마
< 레드 바나나 시계초>인
< Passiflora antioquiensis>가 있습니다.
< Passiflora antioquiensis>와 < Passiflora mollissima >사이의 교배종(hybrid)인
<Passiflora exoniensis> 가 있습니다.
엑소니엔시스1
엑소니엔시스2
몇몇 태평양 지역의 섬에서는 패션 프루츠의 미친듯한 번식력과 생명력 때문에 "유해
식물"로 지정되기도 했답니다.
그 유해식물로 지정된 패션 프루츠의 이름은
< 타미니아나 분홍 바나나 시계초 Passiflora tarminiana>랍니다.
그런데 이 열매가 패션 프루츠 종류 중에서
리귤라리스 시계초 (=스위트 그라나딜라 = 단 시계초 Sugar Fruit)에 이어
다섯 손가락안에 꼽을 정도로 매우 맛이 좋은 종류라는 것이 조금 아이러니한 점이라네요.
다만 바나나 시계초는 30도 이상의 고온다습한 여름을 잘 못버티는 종류이며,
내한성도 약하므로 국내서는 걱정 안해도 될 거 같다네요.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Hardiness zones 9-10, (-5°C/1°C, 25°F/35°F) in Winter.(= 영하 5°c).
16. 흰꽃 시계초 섭펠타타 Passiflora subpeltata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Hardiness zone 10, (1°C/35°F) in Winter.( 영상 1°C)
17. 모리폴리아 시계초 Passiflora morifolia
<모리폴리아 시계초 Passiflora morifolia>에서
<모리폴리아 morifolia> = Morus(뽕나무) + folia(잎) = <뽕나무 잎 시계초>입니다.
"폴리아 folia"는 "folium(잎)"의 복수형태입니다.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0°C ~ 영하 5°C로 자료마다 내한성 설명이 다릅니다.
The hardiness of P. morifolia is to at least 32 °F ( = 0°C)
Hardiness zone 9-10, (-5°C/25°F, 1°C/35°F) in Winter.(영하 5°C)
18. 니겔라 시계초 Passiflora foetida
" 와일드 워터 레몬 Wild Water Lemon" ,
" 러브 인 어 미스트 Love in a mist (안개 속의 사랑)"라고도 부른다.
< 니겔라 시계초 Passiflora foetida>에서
<foetida>는 냄새가 나쁜, 악취가 나는 이라는 의미입니다.
foetidus m (feminine foetida, neuter foetidum); first/second declension
alternative form of fētidus
fētidus m (feminine fētida, neuter fētidum); first/second declension
bad-smelling, foul, stinking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Hardiness: USDA zone 9 B - 11.( 영하 3.8°C)
19. 리귤라리스 시계초 Passiflora ligularis
스위트 그라나딜라 Sweet granadilla
또는 단 시계초 Sugar Fruit 라고도 부릅니다.
모든 시계초 열매 중에서 가장 맛이 좋다고 합니다.
< 리귤라리스 시계초 Passiflora ligularis>에서
< 리귤라리스 ligularis>는 화관 (花冠)이 설상(舌狀) 즉, 혀 모양이라서 (ligulate ) 붙여
진 것입니다.
ligulate 입혀를 가진, 설상(舌狀)의
corolla 화관 (花冠), 꽃부리
The epithet ligularis comes from the plant's ligulate corollae.
설상화 [舌狀花, ray flower]
꽃잎이 합쳐져서 1개의 꽃잎처럼 된 꽃으로
국화과 [菊花科, Compositae]의 두상꽃차례 [capitulum]에 달리는 꽃이다.
혀꽃이라고도 한다.
윗부분은 화관의 일부가 신장하여 혀 모양이 되고 밑부분이 통처럼 되어 있다.
국화나 민들레 등이 설상화로 되어 있다.
자가수정이 됩니다. (self-fertile)
Pollination: Self Pollination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 영하 1도 >입니다.
Hardiness: Zone 10.( 영하 1°C)
20. 조롱박 시계초 Passiflora maliformis
Sweet Calabash
자가수정이 됩니다. (self-fertile)
The stringy purple and white flowers are absolutely gorgeous and are self-fertile.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 영상 4.5도 >입니다. Zone 11 ( 영상 4.5도 )
21. 에드문도이 시계초 Passiflora edmundoi
< 에드문도이 시계초 Passiflora edmundoi>에서
< 에드문도이 edmundoi>는
영어 이름 edmundo + i 결합된 말입니다.
< edmundoi> =< edmundo> + < i>
Passiflora edmundoi. Named after Edmundo Pereira, who collected the type specimen.
내한성 耐寒性 (hardiness)
< 영상 10도 >입니다.
Minimum temperature: 10°C [50°F]
22. Tasting the Giant Passionfruit
-------------------------------------------------------------------
1. 퓨라 비다 시계초 USDA equivalent average temperature zone: 9a ( 영하 6.6°C)
2. 벨로티 시계초 USDA: 9b - 11 ( 영하 3.8°C)
3. 바이올러셔 시계초 Hardiness: Zone 9 (영하 6.6°C)
4. 아메시스트 시계초 Hardiness zones: 9b-12 ( 영하 3.8°C)
5. 블루 스카이 시계초 Zones 7-11 (영하 17°C)
6. 콘스탄스 엘리옷 시계초 USDA Hardiness Zone 7-10 (영하 17°C)
7. 인카나타 시계초 USDA zones 6-9. (영하 23°C)
( 내한력 지대표(최저기온표)에서처럼 영하 23도까지 견딜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8. 알라타 시계초
Hardiness: USDA zone 10-11, -1 °C ( USDA zone 10 = 영하 1°C)
Mild frost hardiness. Can generally tolerate short temperature drops to 32F ( = 0°C).
9. 쿼드랭귤라리스 시계초 Hardiness: USDA Zone 10a: to -1.1 °C (영하 1.1 °C = 30 °F)
10. 디캐즈네아나 시계초 Hardiness:USDA Zone 9b: to -3.8 °C (영하 3.8 °C = 25 °F)
11. 비티폴리아 레드 시계초 USDA Hardiness Zone 10 - 11 ( USDA zone 10 = 영하1°C )
12. 백향과(= 자줏빛 패션 프루츠= 자줏빛 에듈리스 시계초= purple granadilla)
USDA hardiness zones: 9B through 11 ( 영하 3.8°C)
Hardiness : Passion fruit vines are hardy to 32F, so protect from any frosts. They can withstand short drops below 32F but foliage may die back. 32F ( = 0°C)
13. 노랑 에듈리스 시계초
The lilikoi is not nearly as hardy as the purple passion fruit, and is very susceptible to frosts. It will not usually survive temperatures much below 40F (= 영상 4°C).
14. 오렌지 시계초 Hardiness: Zone 11 (영상 4.5°c 이상)
15. 분홍 바나나 시계초( 몰리시마 시계초,타미니아나 시계초)
Hardiness zones 9-10, (-5°C/1°C, 25°F/35°F) in Winter.(영하 5°C)
16. 흰꽃 시계초 섭펠타타 Hardiness zone 10, (1°C/35°F) in Winter.( 영상 1°C)
17. 모리폴리아 시계초
0°C ~ 영하 5°C로 자료마다 내한성 설명이 다릅니다.
The hardiness of P. morifolia is to at least 32 °F ( = 0°C)
Hardiness zone 9-10, (-5°C/25°F, 1°C/35°F) in Winter.(영하 5°C)
18. 니겔라 시계초 Hardiness: USDA zone 9 B - 11.( 영하 3.8°C)
19. 리귤라리스 시계초 Passiflora ligularis
Hardiness: Zone 10.( 영하 1°C)
20. 조롱박 시계초 Passiflora maliformis Zone 11 ( 영상 4.5도 )
21. 에드문도이 시계초 Passiflora edmundoi Minimum temperature: 10°C [50°F]
< 시계초 구성 부분 명칭 정리도 >
[ 암술(Pistil) ]
1.암술머리(Stigma) 3개
2.암술대(Style) 3개
3.씨방(Ovary) 1개
4.밑씨(배주 Ovule) (- 겉에서 안보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암술대가 3개라서 "암술이 3개"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모든(?) 식물은 암술이 1개입니다.
[ 수술(Stamen) ]
1.꽃밥(Anther)
2.꽃실(=수술대 Filament)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계초의 수술은 5개입니다.
부화관 副花冠 은 Corona Filaments 라고 부릅니다.
저는 꽃밥(Anther)을 따서
암술머리(Stigma)에
꽃밥의 꽃가루(pollen)를 부벼주어서 수정하고 있습니다.
꽃밥에 꽃가루(grains of pollen)가 있는 것입니다.
꽃가루는 꽃밥에서 생산되고,
1개의 꽃밥은 최대 100,000개의 꽃가루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Pollen is produced by the anthers of flower.
Each anther can carry up to 100,000 grains of pollen,
so, it's quite prolific stuff.
아래의 링크를 가보세요.
정말 환상적이랍니다..
http://www.microscopy-uk.org.uk/mag/indexmag.html?http://www.microscopy-uk.org.uk/mag/artsep06/bj-Passion-Flower.html
- 윤슬사랑
-----------------------------------------------------
coffee break로
<바이런 Lord George Gorden Byron>의 일화라고 알려진 잘못된 얘기 하나 적어 볼까요?
바이런 Byron이 한창 옥스퍼드 대학에 재학 중
종교학 과목 시험을 치루고 있었다
시험의 주제는
'요한 복음 2장 1절에 나온 그리스도께서 물을 포도주로 만든 부분을 종교적이며 영적으로 서술하라' 였다
바이런 Byron은 2시간 동안 아무것도 안하고 우두커니 앉아 있다가
시간이 다 되어 교수가 답안지를 걷으려고 하자 건네기 전에 펜으로
다음과 같은 답을 적어 제출했다
"물이 그 주인을 만나 얼굴을 붉혔도다.
The conscious water saw its God and blushed"
시험의 결과는? 물론 만점
-------------------------------
그런데 사실은
바이런 Lord George Gorden Byron (1788-1824)은 옥스퍼드 대학을 나오지도 않았고,
<바이런 Byron>보다 140년 앞서 살다간
<리처드 크러쇼 Richard Crashaw(1613-1649)>의 말이라네요.
"The conscious water saw its God (Creator) and blushed" by Richard Crashaw, who was an English poet in the 17th Century. He, a person of great faith, used "vibrant stylistic ornamentation" in describing certain Biblical verses. Let us all hope that we too, at the end of the lent, will be able to see our Creator and blush.
[출 처] http://www.malankaraworld.com/Library/Sermons/Sermons_1st-sunday-of-lent-GV.htm
"The conscious water saw its God and blushed."는 여러 가지 번역이 있죠.
"신이 물이 담긴 유리잔에 키스를 하자, 물이 쑥쓰러운 나머지 볼이 붉어졌다."
"생각이 깊은 물이 하느님을 보자, 얼굴이 붉어졌다."
제일 유명한 해석은 아래의 것이네요.
"물이 그 주인을 만나 얼굴을 붉혔도다."
Passiflora incarnata sämling seedling 2012
Growing the Hardy Maypop Passion Flower
How to pollinate passion fruit flowers
How to Pollinate Passion Flowers, Tempe Arizona. Passion Fruit Abundance.
시계초 번식시키는 방법
Passionsblume (Passiflora) vermehren
Die Passionsblume (ARD-Ratgeber: Heim & Garten)
Growing passion fruit from seed in the bottle
How to: root stem cuttings of the passion flower part 01
How to: root stem cuttings of the passion flower part 02
Scarlet Passion Flower - Passiflora Coccinea - Red passion flower HD 01
Red passionflower time lapse: Watch flowers bloom and close before your
eyes
★ How to: Grow Passion fruit from Seed (A Complete Step by Step Guide)
시계초는 비료를 좋아하는 식물이라고 합니다.
영양을 많이 섭취하지 못하면 열매의 과육이 발달하지 못하여 속이 비고 과육이 생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Mollissima(몰리시마)는 패션후르츠의 이름으로 알려진 과실시계꽃(passiflora edulis)와 마찬가지의
식용종인 대장실과실시계꽃(passiflora quadrangularis)도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번식은 눈꽂이(삽목)와 포기나누기에 의하여 번식한다.
꽃향기는 종류에 따라 메론향, 쵸코렛향도 나며, 과실은 타원형이다.
과실의 색깔은
오렌지색 - 클리어 스카이(Clear Sky), 리귤라리스 시계초(Passiflora ligularis),
자주색 열매 - 루테아(Lutea)종,
열매 속에는 노란 젤리와 같은 과육과 자잘한 검은 씨와 함께 들어 있습니다. 젤리는 생식을 하며 쥬스, 샤
벳, 제리, 소스 등으로 이용합니다.
꽃과 줄기는 정신안정제로 쓰이는데, 중독성(습관성)이 없으며 진정작용이 있다. 맛은 쓰며, 성질은 따뜻하
고, 독이 없다.
질병 치료제 - 신경통, 정신안정, 고혈압, 불안증세, 긴장완화용, 불면증, 월경통 및 하리(유행성 또는 급성
으로 발병하는 소화기 계통의 전염성 질환), 풍열, 현기증, 비색증과 콧물을 흘리는 증상에 쓴다. 마취와 진통
작용, 진정작용이 있다. 풍을 제거하고, 열을 내리며, 해수를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인다.
복용량 -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중국의 <사천중약지>에서는 풍열, 두통의 치료에 "시계초의
잎, 국화, 뽕나무 잎, 꿀풀, 연잎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 시계초 파종법
1. 파종전 24시간 정도 물에 불린다(물은 시계초 열매 즙이나 쥬스를 사용하면 산성에 의해 껍질을 연하게
하여 발아를 촉진시킨다,).
2. 배양토에 5mm 깊이로 심는다.
3. 토양은 축축하게 하되, 침수시키는 것은 금한다.
4. 온도는 20~24˚c의 따뜻한 온도를 유지한다.
5. 파종한 용기 위에 깨끗하고 투명한 플라스틱을 덮어주어서 습도와 온도를 유지시켜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