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세로선의 번호를 x라 하고, 그 선을 선택했을 때 나오는 금액을 y라고 하면, 하나의 x가 정해지면 꼭 하나의 y가 정해진다. 이 관계에서 x는 1, 2, 3, 4와 같이 여러 가지 값을 가질 수 있고, y도 x의 값이 변함에 따라 여러 가지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x, y와 같이 변하는 여러 가지 값을 가지는 문자를 변수라고 한다. 그리고 두 변수 x, y에 대하여 x의 값이 정해지면 y의 값도 단 하나로 정해지는 관계가 있을 때, y는 x의 함수라고 한다.
함수의 정의

일반적으로, 두 집합 X, Y에서 X의 각 원소에 Y의 원소가 하나씩만 대응할 때, 이 대응을 X에서 Y로의 함수라 하고, 이것을 f:X→Y와 같이 나타낸다. 이때, 집합 X를 함수 f의 정의역이라고 하고, 집합 Y를 함수 f의 공역이라고 한다. 특히 함수 f에 의하여 정의역 X의 원소 x에 공역 Y의 원소 y가 대응할 때, 이것을 기호로 y = f(x)와 같이 나타낸다. 이때, f(x)를 함수 f에 의한 x에서의 함숫값이라고 한다. 또, 함수 f에 의한 함숫값 전체의 집합, 곧 {f(x)Ιx∈X}를 함수 f의 치역이라고 한다. 오른쪽 그림에서 보듯이 일반적으로 치역은 공역의 부분집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