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도(州都) 세비야(Sevilla)
세비야 대성당 / 성당 앞에서 / 히랄다탑 바람개비 여인 1,2
세비야(Sevilla)는 안달루시아의 주도(州都)로 내륙에 있는 오랜 역사의 고대도시로 과달키비르(Guadalquivir) 강가에 세워진 내륙 항구도시인데 신석기 때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하며 AD 8세기, 이슬람 지배 시기에 수도로 정해진 세비야는 훗날 신세계 탐험의 중심인물들이었던 콜럼버스, 마젤란 등 탐험가들이 첫 항해를 시작한 출발점이기도 했던 역사적 도시이다.
세비야는 BC 4세기 로마의 지배를 받을 때 히스팔리스(Híspălis)로, 또 세빌(Seville)이라고도 불렀으며, 이탈리아의 작곡가 로시니(Rossini)가 작곡한 너무나 유명한 코미디 오페라 ‘세빌리아의 이발사(Il Barbiere di Siviglia)’의 세빌리아(Seviglia)도 세비야를 일컫는 말이다. 콜럼버스에 의해 신대륙이 발견되고 난 이후 엄청난 금은보화가 세비야를 통해 스페인으로 들어왔고 이로 인해 식민 지배를 받던 스페인은 오히려 광대한 식민지를 거느리는 강대국으로 변모하며 번영을 구가하게 되는데 모든 것이 스페인 통일의 어머니로 추앙받는 이사벨 여왕의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세비야(Sevilla)의 인구는 200만 정도로 마드리드(Madrid), 바르셀로나(Barcelona), 발렌시아(Balencia)에 이어 스페인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다.
<1> 세비야 대성당과 히랄다(Giralda) 탑
세비야(Sevilla) 대성당은 12세기 무슬림(Muslim) 사원이었던 건물을 가톨릭(Catholic) 성당으로 개조했는데 1403년에 시작하여 1506년에야 완성했다니 100년 이상이나 걸려 완공된 성당(聖堂)이다.
그러나 17~8세기 들어와 르네상스(Renaissance), 바로크(Baroque) 건축의 양식이 가미되어 증축되면서 원래의 이슬람 건축양식과 어우러지다 보니 다양한 건축양식이 혼합된 건물이 되었다고 한다.
세비야성당 관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성당의 종탑인 히랄다(Giralda) 탑이다.
히랄다 탑은 원래 이슬람 사원에서 하루 다섯 번 기도시간을 알리는 아잔(Adhan)을 외치던 첨탑 미나레트(Minaret) 였는데 성당의 종탑으로 개조하면서 정상에 여인이 바람개비를 붙잡고 있는 풍향계를 설치했다.
미나레트 정상의 돔(Dome)을 떼어내고 종루(鐘樓)를 설치하여 28개의 종과 가톨릭 신앙을 상징하는 여성 동상을 세워 풍향계 역할을 하게 했는데 1568년에야 오늘의 모습으로 완성되었다고 한다.
스페인어로 히랄다(Giralda)는 풍향계라는 뜻으로, 이 히랄다 탑이 세비야의 상징처럼 되어버렸다.
세비야 대성당은 로마교황청 바티칸(Vatican)의 성 바오로(Saint Paul) 성당, 영국 런던(London)의 세인트 폴(Saint Paul) 성당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 크기라고 하는데 크기뿐만 아니라 그 아기자기한 건축미는 보는 사람이 경탄을 금할 수 없게 한다.
<2> 콜럼버스 관(棺)
콜럼버스의 관 / 산타페 협약 동상(그라나다)
세비야성당 박물관에 들어서면 화려한 가지가지 장식품들과 성물(聖物)들로 눈이 어지러운데 그 가운데 특히 사람들 이목(耳目)을 끄는 것이 왕관을 쓴 네 사람이 콜럼버스의 관을 어깨에 메고 있는 조형물이다.
이 콜럼버스의 관(棺)에 얽힌 이야기가 재미있어 조금 덧붙여 본다.
당시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 등의 과학자들에 의해 지동설(地動說)이 처음으로 제기되고 지구는 둥글다는 이론이 나오자 모두 반신반의(半信半疑)하던 시절이었다. 당시 모험심이 강한 이사벨 여왕은 황실의 보물까지 처분하여 배 세 척과 선원들, 그리고 식량을 지원한다.
이탈리아의 항해가(航海家) 콜럼버스(Columbus)는 금과 진주, 그리고 향료가 무진장이라는 인도(India)를 향해 대항해를 시작하는데 그가 탔던 배가 바로 산타마리아(Santa Maria/성모마리아)호다.
당시 지구는 평평하고, 땅을 둘러싸고 있는 바다는 멀리 나가면 폭포처럼 공중으로 쏟아져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서 근해에서만 고기를 잡거나 항해를 하고 먼바다는 두려워서 나가지 못하던 시절이었다.
중국에서는 커다란 지각판(地殼板)을 네 마리의 거북이 받치고 있는데 이따금 거북이들이 꿈틀거리면 지진(地震)이 일어난다는 이야기가 있던 시절이었으니.... ㅎㅎ
<3> 마르코 폴로(Marco Polo)의 동방견문록
당시 모험가들은 동쪽으로, 동쪽으로...
사막을 지나고 산맥을 넘어 무작정 갔더니 인도라는 나라가 나타났는데 밀림 속에 황금으로 된 도시가 있고 코가 긴 코끼리라는 짐승이 있고, 사막 근처 바위 밑에 샘물이 있어 목이 말라 마시려고 했더니 냄새가 나서 마실 수 없었다.
낙타도 못 마셨는데 불을 붙이니 불이 붙었다(원유)....
이런 모험가들의 이야기를 듣고 모두 거짓말쟁이, 허풍쟁이라고 하던 시절이었다.
코를 손처럼 사용하는 동물이라구? 샘물에 불이 붙다니.... 말 같지도 않은 말을... ㅎㅎ
이탈리아 사람 콜럼버스는 지구가 둥글다니까 동쪽으로 가지 말고 서쪽 바다(대서양)를 배로 건너가면 훨씬 더 빨리 갈 수 있다고 굳게 믿었다. 돈 많은 부자들을 찾아가서 나에게 배를 대어 달라. 나는 서쪽 바다로 인도를 가겠다.
인도는 황금도시도 있고 진주와 향료가 무진장이라고 하니 한 번만 다녀오면 그 몇 배로 갚아 주겠다.
그러나 누구도 콜럼버스의 말을 믿으려 하지 않고 모두 정신 이상자로 취급했다.
<4> 이사벨(Isabel) 여왕의 현명한 결단
콜럼버스는 포기하지 않고 마지막으로 스페인 여왕 이사벨을 찾아가서 배를 대어달라고 요청하는데, 이사벨 여왕은 자신이 시집올 때 가지고 온 패물까지 처분하여 콜럼버스에게 배를 세척 대어주고 계약을 하는데 그것이 바로 산타페 협약(Santa Fe Capitulations)이며, 이른바 벤처 투자였던 셈이다.
이사벨 여왕과 콜럼버스의 산타페 협약은 무슬림 국가인 그라나다가 함락된 몇 개월 후인 1492년 4월에 체결하는데 협약의 내용은,
①콜럼버스에게 스페인 여왕이 작위(爵位)를 부여하고,
②앞으로 발견되는 지역의 대제독(大提督)과 식민지 총독(總督)으로 인정하며,
③이러한 직위들은 그의 자손들에게 영구히 상속(相續)되고,
④그곳에서 생산되는 모든 귀금속의 10분의 1을 콜럼버스가 소유하는 것 등이었다고 한다.
이 산타페 협약 체결 모습의 동상이 그라나다(Granada) 대성당 앞 광장인 ‘이사벨 라 까톨리카 광장(Plaza Isabel la Catorica)’ 가운데 우뚝 세워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