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위 지파의 자손들(14-20)
하나님께서는 각 개인을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부르시며, 고유한 재능과 역할을 통해 공동체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합니다. 서로의 역할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자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때 전체가 조화롭게 기능합니다.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해 정체성을 찾고 사명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교훈은 오늘날에도 유효하며, 각자가 하나님이 원하시는 역할을 찾도록 격려합니다.
14여호와께서 시내 광야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15레위 자손을 그들의 조상의 가문과 종족을 따라 계수하되 일 개월 이상된 남자를 다 계수하라 16모세가 여호와의 말씀을 따라 그 명령하신 대로 계수하니라 17레위의 아들들의 이름은 이러하니 게르손과 고핫과 므라리요 18게르손의 아들들의 이름은 그들의 종족대로 이러하니 립니와 시므이요 19고핫의 아들들은 그들의 종족대로 이러하니 아므람과 이스할과 헤브론과 웃시엘이요 20므라리의 아들들은 그들의 종족대로 말리와 무시이니 이는 그의 종족대로 된 레위인의 조상의 가문들이니라(14-20)
레위인은 이스라엘 자손의 맏이를 대신해서 하나님께 온전히 바쳐진 자들이었습니다(9,12). 레위인에 대한 인구조사의 목적은 레위인의 수와 이스라엘 자손의 맏이 수를 비교해 후속 조치를 휘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레위인과 이스라엘 장자의 수가 동일하다면 아무 문제가 없지만, 만일 둘 중에 어느 하나가 많거나 적으면,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야만 했습니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1개월 이상의 남자 레위인의 수를 조상의 가문과 종족을 따라 계수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그 명령대로 모세는 수행하였습니다. 레위인의 인구조사에 앞서서 야곱의 셋째 아들 레위의 가계도가 소개됩니다.
레위에게는 게르손, 고핫, 므라리라는 세 명의 아들들을 두었습니다. 이들을 통해 세 줄기의 레위 혈통이 유래되었고, 아론은 고핫-아므람-아론으로 이어지는 제사장 가문으로 별도로 분류됩니다. 레위 자손들의 인구가 각각 혈통을 따라 계수되는데, 태어난 지 한 달 이상 된 남자만 이 통계에 들어갑니다(15). 게르손의 아들들은 립니와 시므이였으며, 고핫은 네 명의 아들 아므람, 이스할, 레브론, 웃시엘을 두었습니다. 므라리의 아들들은 말리와 무시입니다. 고핫의 아들 아므람에게서 아론과 모세가 태어났습니다.
각 자손들과 맡은 임무(21-37)
공동체 내에서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줍니다. 하나님은 각 사람에게 주어진 사명을 통해 공동체의 조화를 이루게 하십니다. 각 지파의 역할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교훈은 우리가 서로를 존중하고 협력하며 살아가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결국, 하나님 안에서의 협력은 공동체의 건강과 성장으로 이어집니다.
21게르손에게서는 립니 종족과 시므이 종족이 났으니 이들이 곧 게르손의 조상의 가문들이라 22계수된 자 곧 일 개월 이상 된 남자의 수효 합계는 칠천오백 명이며 23게르손 종족들은 성막 뒤 곧 서쪽에 진을 칠 것이요 24라엘의 아들 엘리아삽은 게르손 사람의 조상의 가문의 지휘관이 될 것이며 25게르손 자손이 회막에서 맡을 일은 성막과 장막과 그 덮개와 회막 휘장 문과 26뜰의 휘장과 및 성막과 제단 사방에 있는 뜰의 휘장 문과 그 모든 것에 쓰는 줄들이니라 27고핫에게서는 아므람 종족과 이스할 종족과 헤브론 종족과 웃시엘 종족이 났으니 이들은 곧 고핫 종족들이라 28계수된 자로서 출생 후 일 개월 이상 된 남자는 모두 팔천육백 명인데 성소를 맡을 것이며 29고핫 자손의 종족들은 성막 남쪽에 진을 칠 것이요 30웃시엘의 아들 엘리사반은 고핫 사람의 종족과 조상의 가문의 지휘관이 될 것이며 31그들이 맡을 것은 증거궤와 상과 등잔대와 제단들과 성소에서 봉사하는 데 쓰는 기구들과 휘장과 그것에 쓰는 모든 것이며 32제사장 아론의 아들 엘르아살은 레위인의 지휘관들의 어른이 되고 또 성소를 맡을 자를 통할할 것이니라 33므라리에게서는 말리 종족과 무시 종족이 났으니 이들은 곧 므라리 종족들이라 34그 계수된 자 곧 일 개월 이상 된 남자는 모두 육천이백 명이며 35아비하일의 아들 수리엘은 므라리 종족과 조상의 가문의 지휘관이 될 것이요 이 종족은 성막 북쪽에 진을 칠 것이며 36므라리 자손이 맡을 것은 성막의 널판과 그 띠와 그 기둥과 그 받침과 그 모든 기구와 그것에 쓰는 모든 것이며 37뜰 사방 기둥과 그 받침과 그 말뚝과 그 줄들이니라 38성막 앞 동쪽 곧 회막 앞 해 돋는 쪽에는 모세와 아론과 아론의 아들들이 진을 치고 이스라엘 자손의 직무를 위하여 성소의 직무를 수행할 것이며 외인이 가까이 하면 죽일지니라 39모세와 아론이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레위인을 각 종족대로 계수한즉 일 개월 이상 된 남자는 모두 이만 이천 명이었더라(21-39)
므라리(수리엘) 6,200명 성막의 골조들 | ||||
게르손(엘리아삽) 7,500명 천막과 휘장들 | 성 막 | 모세/제사장 (고핫계열) | ||
고핫(엘리사반) 8,300명(?) 본당의 주요 기물들 |
레위의 세 아들인 게르손(21-26), 고핫(27-32), 므라리(33-37)의 순서를 따라서 소개합니다. 첫째는 각 종족들에 속한 하위 종족들, 두 번째는 계수된 세 종족의 1개월 이상 된 남자의 수, 세 번째는 각 종족들의 진 배치, 네 번째는 세 종족의 지휘관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종족의 임무가 소개됩니다. 레위인에 대한 소개는 출애굽기 6:16-19, 역대상 6:16-19과 역대상 23장에서도 소개되고 있습니다.
(1) 게르손 자손(21-26)
게르손의 혈통은 다음 같습니다.
① 게르손의 후손 : 립니와 시므이 집안
② 총 인구 : 7,500명
③ 위치 : 이들의 진영은 성막 뒤쪽이었는데, 성막 정문의 동쪽 맞은편인 서쪽이었습니다.
④ 지휘관 : 게르손 자손의 지휘관은 라엘의 아들 엘리아삽
⑤ 게르손 자손의 임무 : 그들의 임무는 성막 건물의 외형을 만드는 천막과 휘장들을 책임졌습니다.
(2) 고핫 자손(27-32)
고핫 자손들은 아므람, 이스할, 헤브론, 그리고 웃시엘 종족으로 나뉘었습니다. 이 중 아므람 종족은 모세와 아론이 출생된 가장 중요한 혈통이었습니다. 이들은 맛소라 본문에 따르면 8,30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만일 이 숫자를 따르면 레위 지파의 인구는 게르손 7,500명, 고핫 8,600명, 므라리 8,600명으로 합산하면 22,300명이어야 합니다. 그런데 39절은 총계를 22,000명으로 보고합니다.
이들은 남쪽에 진을 쳤으며, 지휘관은 엘리사반이었습니다. 이들의 임무는 성막의 가장 중요한 기물들을 관리하는 것이었습니다. 즉, 그들은 지성소 안의 법궤와 내성소 안의 떡상, 등잔대, 제단들(번제단과 향단)과 더불어 여러 기구들, 즉 아마 물두멍을 포함하여 잔과 삽, 불똥 그릇과 같은 중요 기물들을 맡았습니다.
(3) 므라리 자손(33-39)
이어서 므라리 자손들의 총수와 임무가 설명됩니다. 그들에게서 난 아들들은 말리와 무시였습니다. 이들의 1개월 이상된 남자의 합계는 6,200명이었으며, 진영의 위치는 북쪽, 지휘간은 수리엘입니다. 므라리 자손이 맡은 임무는 성막의 골조들이었습니다. 즉, 회막의 벽을 만든 널빤지, 널빤지 벽을 고정하고 연결하는 기다란 띠, 내소막과 지성소 휘장을 걸치기 위해 세운 기둥들, 그리고 널빤지와 그 기둥들의 아래쪽에 끼우는 은으로 만든 받침대들과 여러 부품들이 이 목록에 들어갑니다(36).
마지막으로 모세와 아론의 가문이 진을 칠 곳이 지정됩니다. 그들은 성막 정문, 즉 동쪽의 해 뜨는 방향에 막사를 짓고 기거했습니다. 레위인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성막 입구에서 보초를 서는 역할도 감당했습니다. 레위인들이 성막의 남과 북쪽, 그리고 서쪽에 진을 치고 외인들이 가까이 오는지 감시해야 했던 반면, 제사장들은 성막 입구의 동쪽에서 무단 출입자가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막아야 했습니다. 만일 외인이 제사장 진영을 통과해 성막에 불법으로 침입하면 하나님께서는 제사장들에게 그를 죽이라고 명령하십니다(38).
하나님께서 레위 지파를 특별히 구별하신 이유와 그들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레위 지파에게 성막에서의 봉사를 맡기시고, 이스라엘 백성을 대신하여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게 하셨습니다. 각 레위 지파의 가문은 명확한 임무와 구역을 부여받아 성전의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구분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공동체의 신앙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각자의 사명을 충실히 수행하며, 하나님께서 주신 역할을 기억하고 그에 따라 살아가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