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율교실] 39. 빨리『범망경』 초기경전 ‘디가니까야’에 수록된 계율서 계를 주제로 한 몇몇 경전 가운데, 특히『범망경(梵網經)』은 우리나라나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불교국가에 큰 영향을 준 경으로 꼽힌다. 이 경은 화엄경에 근거한 보살계위와 대승계에 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승계를 설한 후반 부분은 특히 대승교도들의 실천항목을 담은 것으로서 우리나라의 불교도들 사이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이 경은 인도 제작으로 구마라집(鳩摩羅什)이라는 스님에 의한 번역이라고 여겨져 왔지만, 근년의 연구에 의하면 5세기경에 중국에서 성립한 위경(僞經)인 듯하다.
니까야는 삼장(三藏)의 하나인 경장(經藏, Sutta-piTaka)의 분류방법으로, 경장은 5부 니까야, 즉 디가니까야(DIgha-nikAya, 장부), 맛지마니까야(Majjhima-nikAya, 중부), 상윳따니까야(SaMyutta-nikAya, 상응부), 앙굿따라니까야(AGguttara-nikAya, 증지부), 쿳다까니까야(Khuddaka-nikAya, 소부)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디가니까야는 주로 긴 내용의 경전을 모아놓은 부분으로 3편 34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편이란 계온편(戒蘊篇), 대편(大篇), 빠띠까편(PAthika篇)을 말한다. 그 이름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계온편이란 계에 관련된 경전들을 모아 놓은 부분으로 전부 13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경들 가운데 첫 번째로『범망경(BrahmajAla-sutta)』이 등장한다.
소계에서는 살아있는 생명을 죽이지 않는 것, 도둑질하지 않는 것, 이성과 음란한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의 세 가지 청정한 신업(身業)과,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 이간질하는 말을 하지 않는 것, 난폭한 말을 하지 않는 것, 쓸데없는 경박한 말을 하지 않는 것의 네 가지 청정한 어업(語業), 그리고 마지막 여덟 번째로 청정한 생활방법의 실천이 설해진다.
청정한 생활방법에는 종자류나 초목류를 해치지 않을 것, 하루 한번 식사하고 야식을 피하며, 춤이나 음악과 같은 오락을 보지 말며, 장식물을 멀리하는 등 사치스러운 생활로부터 벗어날 것, 그리고 뇌물이나 사기, 약탈, 폭행과 같은 잘못된 행동을 멀리할 것을 가르친다.
한편, 대계에는 출가자가 피해야 할 사악한 직업과 유희 등이 망라되어 있는데, 주로 당시 인도에서 행해지고 있던 여러 가지 주술이나 유희 등이 그 내용을 이룬다.
日 도쿄대 연구원 [출처 : 법보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