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Anatman][無我]
브리테니커
범어 anatman 혹은 nir-atman의 번역이다. 비아[非我]라 번역하기도 한다. 아는 영원히 변하지 않고[常], 독립적으로 자존하며[一], 자체자로서[主] 지배적인 능력을 지닌 주체[宰]로 생각되는 본체적인 실체를 의미한다. 무아는 불교의 근본 교리로서 삼법인의 하나인 무아인[無我印]에 해당 한다. 이 제법무아인에서 아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아의 뜻과는 구별되는 내용이 있다. 인도에선 예부터 브라만교의 교설에 의해 아트만[我]사상이 보편화되어 있었으므로 부처님은 일차적으로 그런 의미의 아의 관념을 부정한 것이다. 즉 나라는 관념, 나의 것이란 관념을 배제하는, 사고방식, 아는 실존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고 방식이었다.
팔리어 성전에서 말하는 무아의 원어는 anattan이다. 그 의미는 내가 아니다.와 내가 있지 않다.는 두 가지 뜻이 있다. 초기불교에선 결코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없었다고 한다. 원래는 나에 대한 집착에서 떨어진다.는 의미다. 우파니샤드철학이 아를 실체시하는데 반해 불교는 이런 견해를 거부한 것이다. 이것은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실존을 부정한 것이 아니라 객체적이고 기능적인 아에 대한 사고방식을 반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부처님은 다만 나의 것 이란 관념의 포기를 가르친다.
잡아함부 경전 권3에는 오온의 하나 하나가 고이므로 비아이다. 무상이므로 무아다. 라는 교설이 있다. 이것은 아가 아닌 것을 아로 간주 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즉 신체를 나의 것, 나라고 간주해선 안 된다는 뜻이다. 유부에선 인무아[人無我]를 말하며 아를 부정했으나 법무아[法無我]는 말하지 않았다. 후에 아는 존재하지 않는다. 는 무아설이 확립되어 대승불교로 계승되면서 인법의 2무아설이 확립된다. 이때 법무아는 모든 인식의 대상은 인연에 따라 나타난 것이므로 사물 자체에 본래부터 지니고 있는 독자적인 자성은 없다는 것이다.
대승불교에선 이 무아설이 공관[空觀]과 연관되어 인무아. 법무아. 아법 2공을 설하고 공이란 관념조차 초극해 버리는 사상[空空] 으로 발전한다. 무아(無我) 불교에서의 무아란 모든 사물이 서로 의지하며 지탱하고 있다는 존재의 진상을 뜻한다. 흔히 무아라고 하면 사심(私心) 또는 아욕(我欲)이 없는 것이라든지 무아몽중(無我夢中)등으로 쓰이며 무엇에 몰두하는 것을 말하나 그것은 불교에서의 무아와 의미가 다른 것이다. 아(我)라는 것은 나라는 인칭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실체의 뜻이다. 그 자체로서 존재하며 변하지 않으며 움직이지 않는 것, 그것이 아(我)이며 어떤 무엇에 의해서 지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자체로서 존재가 완전히 끝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아란 그러한 변하지 않고 움직이지 않는 실체는 아니라는 것이며, 이것이 불교의 존재론이 되는 것이다. 우리들 주위를 돌아보면 어느 하나도 다른 것과 관계하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실체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러한 무아라는 존재의 진리를 여실히 알았을 때에만 우리들은 다른 존재에 대한 경건한 마음과 자애를 품을 수 있다. 무아(無我) 범어anatman 혹은 nir-artman의 번역이다. 비아(非我)라 번역하기도 한다. 아는 영원히 변하지 않고(常), 독립적으로 자존하며(一), 자체자로서(主), 지배적인 능력을 지닌 주체(宰)로 생각되는 본체적인 실체를 의미한다. 무아는 불교의 근본 교리로서 삼법인의 하나인 무아인(無我印)에 해당한다. 이 제법무아인에서 아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아의 뜻과는 구별되는 내용이 있다.
첫댓글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보명합장()()()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