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에 애매모호에 대한 글과 네오님이 덧 붙여 주었으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운영진-
마지막 궁지에 몰린 상황을 말하는 이판사판은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의 합성어다.
이판은 참선, 경전 공부, 포교 등 불교의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이고, 사판은 절의 산림(山林)을 맡아 하는 스님이다. 산림이란 절의 재산관리를 뜻하는 말인데 산림(産林)이라고 쓰기도 한다. '살림을 잘한다'에 쓰이는 살림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한말의 국학자 이능화가 쓴 '조선불교통사' 하권 '이판사판사찰내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판승과 사판승을 설명한다.
'조선 사찰에는 이판승과 사판승의 구별이 있다. 이판(理判)이란 참선하고 경전을 강론하고 수행하고 홍법 포교하는 스님이다. 속칭 공부승(工夫僧)이라고도 한다. 사판(事判)은 생산에 종사하고 절의 업무를 꾸려나가고 사무행정을 해나가는 스님들이다. 속칭 산림승(山林僧)이라고도 한다. 이판과 사판은 그 어느 한 쪽이라도 없어서는 안되는 상호 관계를 갖고 있다. 이판승이 없다면 부처님의 지혜광명이 이어질 수 없다. 사판승이 없으면 가람이 존속할 수 없다. 그래서 청허, 부휴, 벽암, 백곡 스님 등의 대사들이 이판과 사판을 겸했다.'
조선조에 스님이 된다는 것은 마지막 신분 계층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일이기도 했다. 조선 시대가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국교로 세우면서 스님은 성안에 드나드는 것조차 금지되었다. 이 때문에 조선조에서 스님이 된 것은 이판이 되었건 사판이 되었건 그것은 마지막이 된 것이었고, 끝장을 의미하는 일이었다.
<출처: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500가지 1권/박숙희/서운관>
애매모호 유래에 대한 글
클릭해서 읽어보세요
http://cafe4.daum.net/Cafe-bin/bbsView?bbsgrp=bigmemories&bbscode=bigmemories01&num=001838&pnum=001838&rev_num=998162&pos=0&index=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