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시대 정계에서 선비들이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사건을 가리킨다.
사화는 특히 조선 중기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까지 발생한 네 번의 옥사인
'4대 사화'를 뜻하는데,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戊午士禍),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甲子士禍),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己卯士禍),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乙巳士禍)를 가리킨다.
네 차례의 사화는, 성종 이후로 성장한 사림 세력이 훈구 세력의 부패와 비리를
비판하면서 시작되었다. 훈구 세력은 사화를 통해 사림 세력을 탄압하여 큰 피해를
입혔으나, 사림 세력은 지방의 서원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결국에는
중앙정권을 차지하였다.
첫 번째 사화인 무오사화는 김일손의 사초(史草)에 실린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훈구 세력이 연산군을 자극하는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영남 사림은 대부분 몰락하였다.
두 번째 사화인 갑자사화는 연산군의 친어머니였던 폐비 윤씨와 관련하여 그녀의
폐비에 찬성했던 신하들과 연산군에 동조하지 않았던 세력이 함께 연루되어 피해를
입은 사건이다. 갑자사화는 사림과 훈구 세력의 대립으로 일어난 사건은 아니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선비들이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사화라고 부른다.
세 번째 사화인 기묘사화는 사림의 지나친 압박에 싫증을 느낀 중종과 사림을
몰아낼 방법을 찾던 훈구 세력이 협력하여 일어난 사건이다. 당시의 대표적인
사림 세력인 조광조 일파에게 역적이라는 누명을 씌워 죽이거나 유배를 보냈다.
네 번째 사화인 을사사화는 명종 시기 왕실의 외척인 윤임(尹任)과 윤원형(尹元衡)의
권력 다툼으로 많은 선비가 피해를 입은 사건이다. 선비들 간의 세력 다툼으로
발생한 것은 아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선비가 희생되어 사화로 분류된다.


자료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