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 기-묵상과 기도
‘소화(小花) 데레사’ 아기 예수의 데레사 성녀는 1873년 프랑스의 알랑송에서 태어났습니다. 1888년 열다섯 살에 리지외의 가르멜 수도원에 들어갔으며, 결핵을 앓고 1897년 스물네 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수도 생활은 짧았지만 그는 마음을 다하여 기도하고 고행했으며, 일상의 단순하고 작은 일에 충실하였고, 그는 자신을 작은 꽃으로 여기고, 죄인들의 회개와, 사제들, 특히 먼 지역에 가서 선교하는 사제들을 위하여 끊임없이 기도하였습니다. 세상을 떠난 뒤에 발표된 병상 저서들은 세계 곳곳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많은 이를 감동시켰다. 1925년 비오 11세 교황께서 그를 시성, 1929년 '선교의 수호자'로 선포, 1997년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이 '교회 학자'로 선포하셨다.
욥은 받은 시련. 그의 재산, 머슴들의 죽음, 자녀들의 죽음, 발바닥에서 머리 꼭대기까지 고약한 부스럼 등 모든 일을 당하고도 제 입술로 죄를 짓지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죽음을 간절히 바라고 요청하고 있으며, 붙어있는 자기 생명을 한탄하고 있습니다.
예루살렘을 향한 여행 중에 사마리아인들의 마을에서 예수님 일행인 제자들을 박대하자, 제자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님께 하늘의 불로 그들을 심판하기를 원하시는가? 묻자, 예수님은 돌아서서 제자들을 꾸짖으시고 나서, 다른 마을로 돌아가셨습니다.
성찰.
-. 지난 시간을 되돌아 봅니다. 어제 등. 지난 시간 걸어온 길, 자리, 만남, 대화 등 나의 모습과 말, 행위를 바라봅니다.
-. 사랑과 자비, 진리와 선을 중심으로 나의 허약함과 허물, 그릇됨과 악습 등을 바라 봅니다. 회개와 함께 자선의 길을 찾습니다.
-. 내 안에 살아계신 주님, 자비하신 그분의 현존을 바라봅니다. 그분의 말씀을 듣습니다. 나의 바람을 말씀드립니다. 그리고 또 그분의 말씀을 듣습니다.
-. 들음을 바탕으로 감사의 마음으로 나의 다짐과 실천의 내용을 기도로 바칩니다.
말씀 묵상
욥이 입을 열어 제 생일을 저주하였다. 욥이 말하기 시작하였다. “차라리 없어져 버려라, 내가 태어난 날, ‘사내아이를 배었네!’ 하고 말하던 밤! 어찌하여 내가 태중에서 죽지 않았던가? 어찌하여 내가 모태에서 나올 때 숨지지 않았던가?
어째서 무릎은 나를 받아 냈던가? 젖은 왜 있어서 내가 빨았던가? 나 지금 누워 쉬고 있을 터인데. 잠들어 안식을 누리고 있을 터인데. 임금들과 나라의 고관들, 폐허를 제집으로 지은 자들과 함께 있을 터인데. 또 금을 소유한 제후들, 제집을 은으로 가득 채운 자들과 함께 있을 터인데.
파묻힌 유산아처럼, 빛을 보지 못한 아기들처럼 나 지금 있지 않을 터인데. 그곳은 악인들이 소란을 멈추는 곳. 힘 다한 이들이 안식을 누리는 곳. 어찌하여 그분께서는 고생하는 이에게 빛을 주시고 영혼이 쓰라린 이에게 생명을 주시는가?
그들은 죽음을 기다리건만, 숨겨진 보물보다 더 찾아 헤매건만 오지 않는구나. 그들이 무덤을 얻으면 환호하고 기뻐하며 즐거워하련만. 어찌하여 앞길이 보이지 않는 사내에게 하느님께서 사방을 에워싸 버리시고는 생명을 주시는가?” 욥기 3,1-3.11-17.20-23
하늘에 올라가실 때가 차자, 예수님께서는 예루살렘으로 가시려고 마음을 굳히셨다. 그래서 당신에 앞서 심부름꾼들을 보내셨다. 그들은 예수님을 모실 준비를 하려고 길을 떠나 사마리아인들의 한 마을로 들어갔다.
그러나 사마리아인들은 예수님을 맞아들이지 않았다. 그분께서 예루살렘으로 가시는 길이었기 때문이다. 야고보와 요한 제자가 그것을 보고, “주님, 저희가 하늘에서 불을 불러 내려 저들을 불살라 버리기를 원하십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님께서는 돌아서서 그들을 꾸짖으셨다. 그리하여 그들은 다른 마을로 갔다. 루카 9,51-56
말씀 실천
욥은 극심한 고통 속에 자신이 태어난 날. 그날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 왜 무릎에서 나를 받아 내었던가, 그 때 죽음이었다면 빛을 보지 못한 아기들이 되어 지금 있지 않았을 텐데.. 악인들이 소란을 멈추는 곳. 힘이 다한 이들이 안식을 누리는 곳. 어찌하여 그분께서 고생하는 이에게 빛을 주시는가. 영혼 쓰라린 이에게 생명 주시는가! 오히려 무덤을 얻으면 환호하고 즐거워 하련만!하고 극심한 고통 중에 자신의 탄생을 책하고, 탄식하였습니다.
우리도 욥과 같은 극심한 고통과 고난을 겪은 적이 있는가? 태어남을 책하고 그것을 탄식한 적이 있는가? 그러면서 극심한 환난 중에 하느님을 원망하지는 않았는가? 극심한 고통과 괴로움 속에서 자신을 원망할 뿐 아니라, 부모 형제도, 나를 고통스럽게 몰아넣은 사람에게, 그리고 이런 극심한 고통과 시련을 주신 하느님을 원망하지 않았는가?
그러나 우리는 그 고통 가운데서도, 하느님의 신비. 섭리의 신비에 대해 성찰하고, 희망의 마음으로, 기도합니다.
마침 기도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을 바칩니다.
이재을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