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릴 적 자란 충청도의 서해안에서 가장 높은 山, 게다가 합천의 가야산과의 같은 이름의 산이기에 종종 궁금하였었다.
서해안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로는 시선에 들어와 더더욱 호기심을 일으켰던 산이다.
3주전 일요일 오후에 찾았으나, 늦은 시간에 도착한 부담감과 강풍으로 산행 의지가 약해진 탓에
상가리주차장에서 발길을 되돌렸던 가야산(충남)을 눈길 따라 이제서야 오른다.
가야산(伽倻山)은 이름 자체만으로도 불교의 이미지가 강하게 풍겨나오며, 실제 가야산 주변으로는 보원사지,개심사,일락사,가야사지,
보덕사,문수사,마애삼존불상 등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주변에 많은 사찰과 문화유적을 간직한 명산이다.
이 산은 백제 때 상왕산(象王山)이라 불렀는데, 신라통일 후 이 산 밑에 가야사를 세운 뒤 가야산이라 하였다 한다.
가야산의 높이는 678m이고,
주봉인 가야봉(가사봉)을 중심으로 원효봉(元曉峰, 605m),석문봉(石門峰, 653m),옥양봉(玉洋峰, 593m) 등의 봉우리가 있다.
능선을 따라 피어있는 진달래와 억새풀로 유명하지만, 설경 그 중에서도 설경 속의 석양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덕숭산(德崇山, 495m)과 함께 1973년 3월에 덕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들머리인 개심사 입구, 서산시 신창리 주차장.

여느 계절보다도 설산 산행시에는 산행 준비에 분주하다.

상왕산개심사 일주문
충남의 4대명찰 중 하나인 개심사는
651년(의자왕 11) 혜감국사(慧鑑國師)가 창건하고 개원사(開元寺)라 하던 것을 1350년 처능(處能)이 중창하며 開心寺로 고쳤다.
그 후 1475년(조선 성종 6) 중창하였으며 1955년 전면 보수하였다.
보물 제143호로 지정된 대웅전과 충남문화재자료 제194호인 명부전(冥府殿) 및 심검당(尋劍堂) 등이 있다.

개심사 마당의 백일홍

안양루에 걸린 ‘상왕산 개심사’라는 현판은 근대 명필로 알려진 해강 김규진의 글씨이다.

절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대웅보전과 요사채인 심검당은 조선 초에 지어진 건물로 당시의 건축 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요사채로 쓰이는 심검당은 굽은 나무를 그대로 건물에 사용해 그 자연스러운 모습이 인상적인 건물로
수리를 하면서 발견된 상량문은 개심사에서 이곳이 가장 오래된 건물임을 알려주었다.


능부에 올라 좌측으로 100m 오르면,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은세계는 색다른 느낌이다.

눈 내린 용현계곡의 깊은 모양새는 더욱 깊은 맛을 나타낸다.

일락산 정상. 표석은 없고 정자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 일락사까지의 거리는 1.2Km이다.

일락골의 황사저수지와 해미읍 전경

일락산릉에서 바라 본 석문봉


사잇고개. 고개마루는 산나그네를 위한 정성드린 휴식처와 소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석문봉에 가까워 질수록, 눈이 더욱 쌓여있다.

눈덮인 석문봉과 가야산(가사봉)의 능선

눈덮인 석문봉과 돌탑

이전의 능선과는 달리 석문봉에 오르자 찬바람이 거세진다.
이 곳은 가야산의 주능선인 가사봉과 옥양봉의 중간지점으로 이전보다 산꾼의 발걸음이 잦다.

무엇이 발걸음을 세웠을까~

가야산의 주능선과 정상

석문봉 돌탑과 해미들판

날머리인 상가리와 서원산. 그 너머로 드넓은 예당평야가 광활하게 펼쳐진다.

흰옷을 입은 "옥양봉"

석문봉 일대의 주능선은 좁은 암릉으로 이루어져 좋은 경관을 제공한다.


통신시설에 자리를 내 준 가야봉과 왼편의 원효봉

가야봉에 가까히 할 수록, 중계탑에 마음이 떨뜨름하다.

소나무와 눈꽃으로 어울러진 암봉



석문봉은 가야산의 실질적인 주봉이며, 산꾼들의 인기처이다.


서쪽의 해미읍과 서해안고속도로,한서대(가야봉 전망대에서)

북쪽의 주능선인 석문봉과 옥양봉(가야봉 전망대에서)

동쪽의 상가저수지와 서원산,예당평야(가야봉 전망대에서)

남동방면의 원효봉과 옥계저수지,덕산읍내(가야봉 전망대에서)


만만하지 않은 초반 하산길

이 곳이 설국(雪國)이구나~~


매우 차가운 기온임에도 대지의 온화함에 계곡이 풍성하다.

상가저수지



남연군묘.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아버지인 남연군의 무덤으로 풍수지리설을 믿은 이하응이 한 풍수가에게 명당을 찾아줄 것을 부탁하였는데,
풍수가는 이 자리를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올 자리로 지목하였다고 한다.
이곳에는 원래 가야사(伽倻寺)라는 절이 있었고 무덤자리에는 탑이 서 있었는데,
1844년(헌종 10) 대원군은 명당자리를 찾아 옛 가야사를 불지르고 탑을 부순 후 경기도 연천에 있던 부친의 묘를 썼다.
7년 후 대원군은 차남 재황(載晃)을 얻었는데, 이가 곧 철종의 뒤를 이어 12세에 왕위에 오른 고종이다.
1866년 독일인 오페르트에 의해 이루어진 야만적인 남연군묘도굴사건으로 더욱 유명해졌다.

남연군묘 바로 아래. 한창 발굴중인 예산가야사지
■ 날 짜 : 3월 22일 [작전역2번출구 7시출발]
■ 산행코스 : 남연군묘-옥양봉-석문봉-가야산-남연군묘
(상기일정은 일기상황등에따라 변동될수 있습니다)
※ 시산제 / 기념품증정 / 작전역2번출구 7시출발
■ 산행시간 : 3~ 4시간
■ 찬조금 : \30,000원
■ 입금계좌 : 231-097443-04-038 기업은행 / 자연보호
■ 예약문의 : 010-4343-0900 / 댓글로도 예약 가능
☆ 여행자보혐-2009년 10월1일부로 금융감독원의 지침에 따라 국내 여행자
보험에는 상해입원 치료비가 제외되고 사망시에만 적용하도록 변경되어
실질적인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산행에 참가하시는 회원님께서는 기존에
가입된 상품이나 별도의 개인적인 상해보험 가입을 통해 만일에 대비할것을
당부드립니다.자연보호산악회에서는 별도의 여행자 보험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 기본 안전 산행 장비는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준비물 : 등산복장,고어자켓or방풍자켓,식수,행동식,우의,후레쉬(무박),
구급약품,아이젠(동절기),여벌옷 등.
※초보자대환영 ※차내가무,음주,흡연금지
※하산후식사제공
※산행시본인 부주의로인한 안전사고발생시 책임지지 않습니다.
조심!또조심!안전에유의 하시기바랍니다.
※권고사항:고혈압, 심장질환, 당뇨, 기타 합병증이 심하신 회원께서는
무리한 산행 삼가 바랍니다
※산행일정및 코스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꼭 부탁 말씀 : 안전 산행 하세요
첫댓글 시산제는
교행사가 아닌 우리들에 안전을 기원하는 행사입니다


교적인 이유로 참석을 안하시는 회원이 없기를 바랍니다



^^*
스스로에 안전산행과 건강을 기원하는 뜻에서 시산제를 열고자 하오니
우리 산악회에 1년중 가장 큰 행사인 시산제에 여러분들에 많은 뜻과 동참을
바랍니다
귀한 정보감사드립니다,,항상감사 ~~~~
형 갔이가요
차영일님 예약 감사합니다♡
박정은외..3명
여성위원장님외 3명 예약 감사합니다
같이 가실분 성함과 연락처를 알려주시면 더욱더 감사하겠습니다!
@소유찬 김순리외4명
김두영.최석환.배귀녀.서대철
김순리, 김두영,최석환,배귀녀,서대철님 예약 감사합니다
류 창희. 김태숙 .정기순 예약 합니다
류창희,김태숙,정기순님 예약 감사합니다
나는 예약이 안돼었네요~~~애기했는데~~~
네 이미경님 예약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