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 출신 친구는 있지만 둘 다 살고있는 곳이 서울이니 광주에 갈 일은 없었다.
그 친구가 춘천으로 이사갔다.
광주로 가는 직행이 없어 서울을 거쳐 간다고 했다.
서울은 교통 허브라 전국으로 연결되는 교통편이 제일 많다.
서울 살아 다행이었다.
그러면서 '광주는 참 멀고 가기 힘든 곳 이구나' 생각했다.

5.18 사적지 여행인 '오월걸음' 하러 광주 가자는 제안을 받았다.
광주 '5.18 민중 항쟁 기념 행사 위원회'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다행히 KTX나 SRT 고속철도를 이용하면 전라도 광주에 빠른 시간에 도착할 수 있다.
사적지 다녀온 후 인증샷등 미션 수행하면 경비를 지원받는다.
( 선착순 마감 - 교통비, 숙박비, 식사비, 다과비, 문화체험비 영수증 제출하면 최대 1인당 10만원 지원 )
문의 :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062-352-0518~9

오월걸음 기념품은 5.18 민주화운동기록관 오월길 방문자 센터에서 받는다.

광주 동구 금남로 221, 1호선 금남로4가역 4번출구
월요일 휴무, 관람료 무료
062-613-8204
http://518archives.go.kr/

/*0) generatedType=2; if (generatedType==2) { dMap.style.cursor = "pointer"; dMap.xxonclick = function(e) {initGmapsLoader(e||event)}; var t = document.createTextNode("Click to load"), d = document.createElement("div"); d.appendChild(t); d.style.cssText="background-color:#e5e5e5; filter:alpha(opacity=80); opacity:0.8; padding:1em; 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position:absolute; left:0; box-sizing:border-box; width:100%; max-width:500px; top:0"; dMap.appendChild(d); } function CreateGMapgmap202211244136() { var dMap = document.getElementById("gmap202211244136"); if (dMap) dMap = dMap.parentNode; else dMap = document.getElementById("wgmap202211244136"); if (!dMap) return; if (dMap.ckemap) { var map = dMap.ckemap.map, center = map.getCenter(); google.maps.event.trigger(map, "resize"); map.setCenter(center); return; } dMap.xxonclick = null; var mapOptions = { zoom: 15, center: [35.14958,126.91685], mapType: 0, zoomControl: "Default", mapsControl: "Default", heading: 0, tilt: 0, overviewMapControlOptions: {opened:true}, pathType: "Default", googleBar: false }; var myMap = new CKEMap(dMap, mapOptions); dMap.ckemap=myMap; myMap.AddMarkers( [{lat:35.14958, lon:126.91685, text:"광주 동구 금남로 221",color:"green", title:"광주 동구 금남로 221", maxWidth:200, open:0}, {lat:35.14958, lon:126.91685, text:"광주 동구 금남로 221",color:"green", title:"광주 동구 금남로 221", maxWidth:200, open:0}] ); } if (!window.gmapsLoaders) window.gmapsLoaders = []; window.gmapsLoaders.push(CreateGMapgmap202211244136); if (generatedType==3) window.gmapsAutoload=true; window.gmapsKey="AIzaSyBdNWKBpXHz-UDSmoiz_-IVjXz3Zo_pFZ8"; /*]]>*/

1층 1전시실 - 항쟁 Struggle
5.18 민주화운동을 사진, 영상, 예술작품 등 이미지로 보여준다.
역사적 사실 전달에 중점을 두고 미디어, 음향장치로 마치 1980년 5월 항쟁 중심에 서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2층 2전시실 - 기록 Record
당시 생산된 각종 공공 문서와 시민, 학생, 항쟁지도부의 호소문, 성명서를 전시한다. 관련 방송물, 영상, 다큐멘터리가 상영된다.


3층 3전시실 - 유산 Heritage
유네스코 세계인권기록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전달한다.
4층 자료실
방문객들을 위한 자료들이 비치되어 있다. 꼬마 평화도서관 내에는 수유실이 마련되어 있다.

5층 보존서고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기록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기록물을 보존. 보관한다.
1보존서고 - 보상서류 및 미 국무성 자료, 재판자료 및 수사기록, 행정문서
2보존서고 - 원본 자료와 세계기록유산 관련 성명서, 국내외 신문자료
3보존서고 - 유품 등 78건, 필름, 사진, 구술자료

6층 진실의 눈 The eye of the truth
기록관이 들어서기 전 카톨릭센터 모습을 남겨놓았다.
윤 대주교를 비롯한 성직자들이 금남로 거리를 내려다보며 신군부의 진압과 학살을 목격한다.
5.18 민주화운동 진상 규명과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며 단식투쟁을 전개하고 1987년 6월 항쟁에도 전면에 나섰다.

기념품 손수건을 펼치니 오월걸음 대상 목록이 나온다.
전남대학교 정문 - 광주역 광장 - 옛 시외버스 공용터미널 - 금남로 - 옛 전남도청 - 518민주광장 - 상무관 - 광주YMCA - 광주YMCA옛터 - 광주MBC옛터 - 녹두서점 옛터 - 전남대학교 병원 - 광주기독병원 - 옛 광주적십자병원 - 조선대학교 - 배고픈 다리 일대 - 주남마을 인근 양민 학살지 - 광목간 양민 학살지 - 농성광장 격전지 - 상무대 옛터 - 무등경기장 정문 - 양동시장 - 광주공원 광장 - 518 최초 발포지 - 옛 광주교도소 - 국군광주병원 - 518구묘지 - 남동성당 - 505 보안부대 옛터 - 들불야학 옛터 - 전일빌딩 - 고 홍남순 변호사 가옥 - 국립 518 민주묘지 - 518 시계탑

한정된 시간에 모든 곳을 다녀볼 순 없다. 어디 가볼까?
518 민주화운동 발자취 따라 걸으며 미션 수행 해야한다.
전일빌딩245는 전망 좋은 카페이면서 기록유산이라 1순위 방문지다.
유네스코 유산 표지석이 있길래 518 민주화운동기록관부터 들러보기로한다.
광주 5.18 민주화운동은 대한민국 근대 역사에 가장 중요한 사건인 동시에 가장 왜곡된 사건이기도 하다.

5.18 민주화 운동기록관은 2011년 5월 25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 설치되었다.
기록물은 항쟁 당시 발생한 원천문서와 항쟁 이후 생산된 사후 문서를 포괄하고 있다.
1976년 준공되어 광주카톨릭센터로 사용된다.
1980년 5월에는 계엄군에 맞선 시민들의 항쟁과 피신의 공간이었다.

로슬린 러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장은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이행기 정의 실현과 과거 청산의 가장 모범사례'라고 평가한다. 남미와 남아프리카공와국의 과거사 청산 작업은 단편적으로 이뤄진다. 반면 5.18 민주화운동은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명예회복, 피해보상, 기념사업 5대 원칙이 관철되었다.


원천 문서는 항쟁의 발발, 전개, 진압, 사상자 진료, 사망자 처리 등을 담은 공공문서와 군 자료 등이다.
사무 문서는 항재 후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전 국민들의 시위와 자료, 보상, 기념사업 서류를 포괄한다.


'분노 보다는 슬픔이' Sorrow rather than Wrath
1980. 5.26. 김성용, 조비오 신부를 비롯한 교수와 변호사 등 수습위원들은 목숨을 걸고 시내 진입 계엄군과 협상하기 위해 맨 몸으로 장갑차에 맞서는 '죽음의 행진'길에 오른다.
김성용 신부는 김수환 추기경의 권유로 광주 참상을 담은 '분노보다는 슬픔이'라는 보고서와 테이프를 제작하여 국내외에 전파한다.
윤공희 대주교는 교구 신부들이 수감되는 상황에서 전두환 대통령을 만나 사형수들의 사면을 이끌어낸다.


조선, 고려, 삼국시대보다 가까운 과거지만 국사시간에 배우지 못했던 사실들을 알게되었다.
진실과 정의를 위한 열정과 희생 덕분에 누리는 평화로운 지금의 일상이 감사한다.
노란빛 은행잎으로 물든 11월의 광주는 아름답다.

기록관을 둘러보는데만도 시간이 꽤 소요되었다.
옆 골목 백반집에서 맛있고 푸짐하면서 저렴한 끼니를 해결한다.
종가집 조기찌개 1인분 8,000원 / 광주 동구 중앙로 196번길 15-35
062-227-6116

하루가 바쁜 오월걸음은 다음 블럭에 있는 전일빌딩245로 향한다.
/* CK googlemapsEnd v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