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송정 (松亭)
송정_현판 (촬영년도 : 2015년)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
1동 |
1985.08.05 |
경북 안동시 길안면 구수리 174번지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송정 (松亭)
대표이미지송정_현판 (촬영년도 : 2015년)
지정(등록)일 1985.08.05
소 재 지 경북 안동시 길안면 구수리 174번지
문화재 설명
송정은 표은 김시온(1598∼1669)을 추모하기 위해 적암 김태중이 앞장서서 숙종 5년(1679)에 지은 정자이다. 1949년 화재로 일부 불타버린 것을 고쳐 지었고, 1988년 임하댐 건설로 지금 있는 자리에 다시 옮겨 지었다.
표은 김시온은 병자호란(1636)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고, 병자호란 뒤에는 벼슬길을 포기하고 와룡산에 와룡초당을 지어 40여 년동안 절의를 지키며 제자를 가르치는데 전념하였다.
건물은 一자형으로 앞면 4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안쪽에는 ‘와룡초당(臥龍草堂)’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글씨는 명필로 알려진 동원 김희수가 썼다.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숭정처사유허비 (崇楨處士遺墟碑)
숭정처사유허비_전면 (촬영년도 : 2015년)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1기 |
1985.08.05 |
경북 안동시 길안면 구수리 174번지 |
문화재 설명
유허비란 옛 선현의 자취가 있는 곳을 후세에 알리고 이를 계기로 그를 추모하고자 세워두는 비로, 이 비는 조선 중기 때의 유학자인 표은 김시온(1598∼1669) 선생의 행적을 적고 있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났으나 벼슬에는 큰 뜻을 두지 않았으며,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이를 슬퍼하며 더욱 학문에만 힘썼다. 도연(陶淵)에 머물며 일체 출입을 삼가하던 그는 조정에서 그에게 관직을 내려주어도 끝내 응하지 않고 스스로 ‘숭정처사’라 칭하여 제자양성에만 힘을 기울였다. 영조 10년(1734) 증손인 김성탁이 경연에 입시되면서, 그의 절의가 알려져 3품직인 사헌부 집의에 증직되었다.
비각 안에 있는 비는 낮은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구름을 새긴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원래는 도연폭포 가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인해 1987년 이곳 구수리로 옮겨 세웠다.
.........................
밀암집(密菴集) 이재(李栽)생년1657년(효종 8)몰년1730년(영조 6)자유재(幼材)호밀암(密菴), 금수병수(錦水病叟)본관재령(載寧)특기사항권두경(權斗經), 김태중(金台重) 등과 교유
密菴先生文集卷之十六 / 碑 / 崇禎處士瓢隱金先生遺墟碑
人固有樂幽閒就藪澤。屛貴遺榮以爲高者。雖其淸標逸韻。伯仲箕潁。然由君子觀之。或不免潔身亂倫之譏。亦何足多尙哉。惟其明天下之大倫。扶一世之大義。泥塗軒冕。沒身無愧。使其風聲氣烈。卓然足以增三綱五常之重然後爲至焉耳。古之人。有若西山餓夫,東國高士與夫晉徵士,宋遺民。玆數君子者。由此其選也。前聖後聖。屢稱不一稱者。奚取焉。蓋亦爲萬世綱常計也。其在于今。有若瓢隱金先生之以崇禎處士。終老臥龍山下者。豈非所謂明大倫扶大義。增三綱五常之重。而無愧數君子者耶。先生自少。儀觀秀偉。胷襟灑落。炯然若玄圃霜毛玉壺淸冰。其視世間得喪欣戚。無足嬰其懷者。惟以道義名節自砥礪。及至崇禎丙子。有宗國非常之變。先生慨然直有蹈海之憤。入臥龍山下陶淵之上。結茅椽理松臺。堂名臥龍。齋號大瓢。皆因其地名也。前有翠壁淸瀾。奇巖噴瀑。白沙深松。號爲東南山水最殊勝處。先生日徜徉其間。歌詠先王之道。有時朋酒之會。語及京周則輒引滿悲憤泣數行下。先生旣不求知於世。而世多有推挽之者。東岡之志。確乎其不變。嘗言我死題吾墓曰崇禎處士之墓可也。門人儀曹員外郞金公學培狀其行。眉叟許文正公穆銘其墓。具言其事。嗟呼。今去先生之世且五十年。嶽立淵默之相。雖不可復見。尙幸故墟猶存。江山依舊。使人想像欽慕之不已。信乎高山景行。好德所同。前吏部尙書吳公始復素善隷。聞先生之風而慕之。爲書崇禎處士遺墟六大字。使之刻石以表其里。蓋賢者故事也。於是一方人士合謀治石。石旣具。俾栽相其役。栽以蹟偉詞拙。屢辭不獲命。猥次其事終始。因竊識其所感於心者曰。彼官尊祿厚。荷國寵榮者。一朝臨利害遇事變。率賊彝倫倍天常而不知恥。先生以海外一介眇然之身。非有策名委質之素。乃獨保崇禎日月於一區林泉。身任宇宙之棟樑。有若頹波之砥柱者。豈有他哉。特以其忠義之性鬱於中。取舍之分明於外。有非富貴貧賤所能撓者而已。嗚呼偉哉。而况千秋一片石。屹然輝映山門。長使後之人摩挲感奮。曠百世如一日。則其所以激淸風廉頑夫。爲萬古倫常之寄。直與古之薇亭醉石。並美齊聲。豈但如成都草堂碑。爲一時好事已哉。先生諱是榲字以承。其官閥世系學問行業之詳。已具諸公所撰述及我先太宰所爲遺卷序。玆不復贅。係之以詩。其詩曰。
惟帝降衷。在人爲倫。其倫伊何。父子君臣。彼林林者。孰無此德。惟利是梏。紛喪厥則。相彼邇僚。猶或貳心。邈爾海隅。胡漑之鬵。夫豈有爲。惟義之取。旣著天心。亦扶人紀。臥龍有石。昭揭崇禎。山高水長。百世風聲。
........................
옥천집(玉川集) 조덕린(趙德鄰)생년1658년(효종 9)몰년1737년(영조 13)자택인(宅仁)호옥천(玉川), 창주(滄洲)본관한양(漢陽)특기사항권두경(權斗經), 이재(李栽) 등과 교유
玉川先生文集卷之七 / 序 / 崇禎處士瓢隱先生金公遺墟碑陰後敍
有地焉。靑壁萬仞。截然屹立。驚瀾怒瀑瀉其中。寔惟臥龍之山。陶淵之水。大瓢之里。蓋有崇禎處士遺墟之碑云。處士孰謂。謂瓢隱先生金公也。先生。東國之處士也。曷以崇禎冠之。先生志也。其謂先生志者。何也。丙子城下之盟。先生恥之。自丙子而至于甲申。未久也。宗國滅焉。先生義不辱。奉周正而終身。此其志也。先生東人也。爲吾國吾君恥固也。宗國滅矣。復延旣絶之號。以自旌。不旣越乎哉。嗚呼。事未易一二言也。先生生于文獻之家。惟祖惟父。世篤忠貞。壬癸之亂。先生叔祖文忠公身扞大難。中道隕墜。乘輿蒙塵。越在西灣。國幾亡。明天子動天下之兵。轉山東之粟。廓淸妖氛。有國無之。不啻父母之恩焉。蠢爾山戎。恃衆匪茹。反鄙我邦。荐食上國。維我忠臣義士。沬血飮泣。有以國斃。誓不俱生者。有不能終守其志。各爲主用。而惟先生不霑一命。不食斗祿。而睠焉宗國。惟思自靖。生稱崇禎。死題墟墓。自獻于先王。歸見于先祖。則推此志也。雖與日月爭光可也。豈一時之意氣一節之成就已哉。孔子曰。篤信好學。守死善道。夫篤信而能守死。好學而能善道。要非有二致也。先生珪璋特達。玉色金聲。濟以學問。充養有道。襟懷飄灑。氣宇軒昂。有時朋酒之集。引滿至醉。擊節蹈厲。愾焉寤歎。涕涔滛下。其胡致堂醉歌之意也歟。焚香燕坐。肅容澄思。涵養大本。以觀未發時氣象。其李延平求中之學也歟。赫赫宗周。犬羊爲讎。不祀忽諸。彼則肆然。於是謝徵辟。就閒曠。明大義。樹風聲。則其詩之匪風下泉之思。而春秋存陳之義也歟。由此觀之。名不可以虛成。節不可以徒立。先生之所樹立若此其卓絶。世之人槩以名節歸之。而不知先生之學本之實際。而先生之節特其一事爾。儻所謂篤信而好學。守死而善道。克世忠孝之傳。昭揭禮義之風。而山寺絶筆。亦足以軒天地抉虹霓。其英靈毅魄。不隨異物腐敗。而長在於龍山陶水之上。俯濁世而掃粃糠矣。嗚呼欷矣。吳太宰始復大書其坊曰。崇禎處士遺墟。而刻之石。其傍有齋。曰大瓢。先生考槃講道之所也。又其下。後人別營一室。以待遊客。諸賢爲之記若序頗詳。迺者僉君子又以命德鄰。書其後。德鄰旣未及登門而陪杖屨。則竊取諸賢之所撰著。一寓目焉。淸風肅然可敬。而其嶽立而巖巖。淵澄而渾渾。蓋亦有足當者。興起詠歎之不足。遂爲之歌曰。濕有苓。山有榛。云誰之思。西方美人。彼美人方。西方之人兮。敬爲先生賦之。又歌曰。景行行止。高山仰止。雖不能至。心鄕往之。爲聞風而來遊者賦之。又歌曰。無念爾祖。聿修厥德。永言配命。自求多福。爲後人之藏於斯修於斯。息且遊於斯焉者賦之。時崇禎甲申後八十八年臘月日。
.........................
후계집(後溪集) 이이순(李頤淳)생년1754년(영조 30)몰년1832년(순조 32)자치양(穉養)호후계(後溪), 만와(晩窩), 긍재(兢齋), 육우당(六友堂), 육우헌(六友軒), 기은(杞隱)본관진보(眞寶)초명성갑(聖甲)초자비언(斐彦)
後溪集卷之五 / 雜著 / 遊陶淵錄
永嘉府東三十里許。有臨河縣。縣前有川。川北有川前村。卽靑溪金先生之所卜。而子孫世居。有名人韻士文獻官冕。爲嶺中最。而其中葉尤著者。崇禎處士瓢隱先生。是也。丙子後避世。隱于川之最深處陶淵上以終世。聖朝嘉其節。褒贈之。至甲申三周之日。士林立祠淵上。而俎豆焉。于時會者千餘人。某以病。未參駿奔之列。所以想慕風節與夫落淵水石之勝。未嘗不慨然于中矣。越三年暮春之末。乘病間。命駕南行。過瓢谷。哭中表叔柳公之殯。一宿至川前女家。翼午與壻君上舍彭老。先登白雲亭。亭在村南一里許。靑溪築之。龜峯傳之。至今爲上舍家別業。而上舍君重新之。丹碧照耀。庭除淨湜。山川景物。頓若改觀。又翼日向陶淵。孟厚 坤壽,以凝 羲壽 昆季前導。遂並轡。涉南川。而舍川入谷。踰一岑。山之名曰景山。靑溪衣履之藏。在其上。下馬步行。見山下有村。村有景山精舍舊基。轉行數里。有水自南北折而出者。卽川之上流。而畏壘翼然臨于其上者。景山祠之移建。
而今爲泗濱書院者。水鏡山屛。儘有如密翁所記也。少憇樓上。拜審廟貌。元位曰贈判書靑溪先生。東一位曰藥峯。西一位曰龜峯。東二位曰雲巖。西二位曰鶴峯。東三位曰南岳。位皆曠後。廟奴或左或右。並從後開櫝。其便如此。奉審影幀。玄冠貝纓。昭顔皓髮。儼然淸肅。儘是有德君子之容矣。猗歟。父師當座。子弟列侍。一堂六賢。百世廟食。豈徒然哉。午飯後。又涉川登粉峴。峴之南麓盡水回處。聞有絶勝者曰仙倉。而路甚傾險。馬行無路。故不果尋。孟厚言漱石翁嘗見仙倉水石甚異之曰。吾欲誅茅於此。願乞分山。有一族人輒許之。族中衆攻之以爲癡人云。余笑曰。漱石此言。不過過去說。然江山本無主者。昔張文康公借居權東峯所占立巖。名其齋爲友蘭。今此數十里許。多閒漫之境。豈可惜一片土。不容他人占取乎。遂下嶺。又見水自東來。南折而入粉嶺下。此又爲泗濱之上游也。山之回抱。水之彎環。不知爲幾曲。而峽束洞隘。愈深愈險。則由玆以上。豈無異境奇觀。爲靈眞之所窟宅乎哉。並水行五六里。石稜崖角成坦途。以冠蓋輪蹄之多出入故也。中有巨石。捍据路之左右。所謂石門也。過石門。漸聞有聲。崩汹轟轉。若䨓吼電擊然。掀動一山。萬壑響應。此其爲瀑布聲也。
則落淵之得名。誠以此也。旣至其上。凜不可窺。日又薄曛。石刻古蹟。不能尋翫。但見北來山麓。抵川斗斷。山脈石根。絶流橫亘。僅令一束水通流。旋復陡起漸峙。南走幾百步而止。以抱陶淵一區。此所謂隔塵嶺也。未知嶺之得名。始於何時。而非在瓢翁避世之後。則抑古之地號山名。多有自然相應者而然耶。時川水淸淺。或緣彴。或乘馬。渡瀑布上流。
入陶淵精舍。舍之西。有卧龍草堂處士遺墟碑。而未及登覽。俄而金友亨萬 會運。自秋月追踪而至。四友聯枕。自曉雨大注。
不得瞻謁景節祠。以竢日晴。第見其祠屋講堂。制甚雄偉。挽近罕比矣。竊伏惟大瓢翁。淸風高節。與名山大川相與終始。一鑑淵澄。其德業也。千丈壁立。其氣象也。卧龍菴中。隔塵嶺內。獨保大明日月。古人所謂別有天地非人間之句。政指此也。令人低徊俛仰。豈勝感慨之懷哉。淵之南相望地。有仙刹菴。冒雨越溪而上。菴中方有
長𦤎世稿印出役。故本家人多有會者。世稿曰野菴也。雲川孫。 曰無爲堂,一柳堂,牧菴也。野菴子。 曰七灘,質齋,月灘,龜洲也。野菴孫。 祖子孫三世八人。皆以文章鳴。各有稿。合成一部。世居川上之長𦤎。故稿名云云。其盛矣哉。於是前後會者。並與題名於尋眞錄中。以繼古事。雨終日。川大漲。不得通。仍留宿于菴。菴前有仙遊亭。亦靑溪之付與雲巖者也。乘雨少歇。隨諸友杖登。亭在石角陡絶上。前對隔塵嶺。洛淵水溢而分流環嶺。由亭下出。亦亭之一奇觀也。還宿于菴又一夜。自刊所供一日費亨友。以亭之主人。繼供一日。會中諸人戲余曰。塵人之遊此山者。遇雨則稱爲洗塵雨。余答云。余於入山之初。卽雨以洗舊染塵埃。使山之眞面更好。而又爲之留行。恣賞仙景。豈非仙分之多於前人歟。在山三日。領畧山之勝槩而論之。夫洛淵瀑之爲南州奇勝者。以其絶山橫流。有若天成而然也。然吾則謂未也。夫水之性就下。每從山盡洞開處。回轉而去。其勢然也。今川之勢。當循隔塵嶺之趾。南迴北轉而出。似是古道也。而今不然者。竊意隔塵嶺之過峽也。山勢低伏。石脈融結。一爲甚雨急流之所觸齧。而土崩石頹。轉成空隙。水漲而踰落而成淵者。本非其勢然也。夏禹氏之鑿龍門以導河。只是順水之勢也。然尙矣不可論。如南康廬山之瀑。吾東朴淵之瀑。有名焉者。皆是山谷間直流之水。無他去處。故其勢之飛流落下。自是天成也。山川形勝。天作爲貴。今使水由隔嶺下古道。東而南而北出。則其奇勝反有浮於今矣。故愚謂大築石木。以塞瀑布之口。可爲報佛恩。抑又思之。嶺之大川。有河洛焉。洛之源。自太白山而有穿山直出者曰穿川。河之源。
自日月山而有割嶺直下者曰落淵。東南奇勝。雙峙並立。而河洛之間。儒賢輩出。未知天地造化之妙。爲吾嶺鍾靈之故。而自然天成也耶。又復評品一川之形勝。則陶淵之爲山。幽深寬曠。允宜隱者。盤旋之所。而遂爲儒林俎豆之鄕。與隆中之卧龍祠,潯陽之歸去來館。相上下。則不須以一槩形勝言矣。特地孤絶。仙亭有其勝。而終少寬閒之意。山回水抱。泗濱有其美。而不免寥寂之病。仙倉吾未之見。夢仙今無其閣。至如占高壁而不爲驕。頫大村而不于俗。山容明媚。水色漣漪。幽夐寬敞。兼有俱備。白雲亭是也。則當以川中之第一勝。歸之於此矣。霽翁有言。吾亦云云。大氐川之入府境三數十里之間。上自芝村蘭谷。下至秋月錦水。一門諸族。百世盤據。士夫窟宅。甲于吾嶺。則宜乎傑人碩儒。前後相望。文章氣節。輝暎一代。儘是山川淑氣之所鍾毓也。人傑地靈之語。亦豈誣哉。雨止而水猶盛。無路涉川。不得已先發。取道水淺處。與孟厚偕至陶淵。拜景節祠。別孟厚。尋龜峴。宿金季和 致運 之爲蘭翁嗣孫家。借得同里切姻家一僮。涉山達川。至沙村。信宿于女家。轉向韶邑女家。留數日。復路更踏宿趼。過秋月村。訪亨友題鳳。入川前。則向時同遊諸君。自陶淵歸。已有日焉。相與更做一日話。獨亨友不復遇。可悵。先是聞婿君本生家。有世傳寶物。而未之見焉。請主人金鎭綱賷來。其一文章劒。其二梅竹硯。其三靑玉簫。其四烟霞枕。俱以神物。傳之累世。至今靈氣寶輝。煥然未沫。而不躍不飛。又不朽焉。無亦爲嶽瀆靈鬼之所呵護而然耶。今吾之行。能盡一川之奇觀勝賞。烏得無發之形容吟弄者。而顧川中諸先輩長杠巨筆。摸寫盡矣。焉敢以區區雕虫之手。走馬之便。反以汚穢江山乎。由是行槖枵然無一字。歸卧敝廬。歷歷有仇池岷嶺之想不能自已者。聊述一部行程曆。以寓卧遊之興云。
...........................
신암집(愼庵集) 이만각(李晩慤)생년1815년(순조 15)몰년1874년(고종 11)자근휴(謹休)호신암(愼庵), 암후(巖后)본관진성(眞城)특기사항이병원(李秉遠), 유치명(柳致明)의 문인. 권연하(權璉夏), 이돈우(李敦禹), 강건(姜楗), 윤최식(尹最植) 등과 교유
愼菴文集卷之七 / 記 / 東遊十小記 幷引
福之東有臨河縣。縣三十里。其間名山水而村者以十數。皆平沙茂林。怪石峭壁。河由其中。瀉爲川漾爲津渟爲淵。隨其勢而地爲之名焉。始靑溪金公卜居玆土。爲一方文獻之祖。緣河下上。在在是光躅。或亭或社。遂爲金氏舊庄。余間遊渭陽。受業之暇。步自川上。遊落淵。筇而從者二十有五人。俱在尋眞錄中。金士遠言臨河有九曲。余未洎問。曲之名都不知也。葢歸追想彼時遊歷。渺然神遊沅湘而若將凌虛御風也。雖其淸標奇氣。不足與山水稱。然其所以盪幽懷而發高韻者。未始不由此其助也。遂撮其勝槩。述東遊十小記。
白雲亭
川之南夷山腰而亭曰白雲。實靑溪翁所占。而付之孫雲川公者也。閑敞爽塏。俯臨積翠造天。萬玉嶙峋。上下數十里。長林皓沙。村烟野靄。農謳牧笛。往來羅絡。呈奇獻巧於起居談笑之間。河自長臯津駛而前爲碧湫。游魚數千頭吹起輕浪。每風止波息。橃剌可數。亭東榮數武。有臺可觀魚。余畏其欹不能也。留詩以解恨。前後雜卉簇如也。名可知者葢少。古松數十環焉。輪囷離奇。如飛龍如蹲虎。板揭許文正三大篆。蒼鬱奇古。與松氣相貫云。上舍丈祖壽雲川胄也。出示余文章釰,梅竹硯,玉笛,烟霞枕。皆古物也。庭畔古桐可琴。
臨川
自雲亭沿河三里而上有臨川。曾祀文忠公金先生。今只有堂。高或讓雲亭。爽朗相伯仲。登而風者當敲赩莫覺也。十里明沙。浩浩茫茫。河鑑于前。唾可及也。河之外羣峯列秀。如海之揚瀾。如佛之圓光。晴嵐積翠。變幻百態。眞絶景也。未知此其爲九曲之一也歟。
泗濱
縣東踰一峴。從澗谷下。有泗濱書院。奉靑溪翁眞。翁五子並配食焉。晩生夙切高山之仰。每誦爲寫衰眞寄舍南之詩。如景星鳳凰。焜燿一方。今獲拜翁父子於一祠之內。山益以高。水益以淸。於是人與地儘兩相遭矣。溪回山抱。洞府幽敻。視雲亭,臨川。又別一界也。
松石
由泗泝五里。從崖入有洞周互。不知爲人世也。洞盡而樓出。乃金氏齋庵。頭頭皆野僧。泉石無絶致。獨爲山窈窕。令人有遺世絶俗之想。余固是之取爾。
仙倉
旣出洞。又沿流而上。柳仲思曰石色已仙倉意。旣仙倉。石皆白。峭者突者凹者。呀而深者。平而衍者臥者。奮欲起者。通一水爲一石。而縫會界落。錯錯歷歷。如鋪盤如橫彴如布鼓如盆甕如蜂窠。而大抵是一拳石之多。濤盛則襄之。故方旱而水滿焉。余及柳叔厚,仲思,傅立,肯涵,鞏甫,金文若,純若,仲實,恭伯,敬保,周顯十二人。揭而入跪而隮躍而越。搜奇索妙不遺也。餘人惡夫徒莫從也。噫石鍾之不傳於世者。蘇仙已言之矣。今人皆知仙倉之有石。而其絶特怪詭。卒無傳焉。抑可見天地內不特遺才而不得試嘗。並與名山絶壑而不得自衒於騷人墨客之文者。可勝道哉。
石門
石旣盡。緣溪邊石磴行數里。有巨石呀然。爲落淵作門。余東海上人也。龍門,劒閣一筇未到。未知其斬絶峻拔。視此又何如也。顧醢鷄藩鷃。才過一石一水。輒欲與古人壯遊爲之較絜。吁其可愧也夫。
落淵
由石門入。山一支北來。斷江流。中爲坼。水介其中爲瀑。時天久旱。勢甚低。要之爲巨瀑。大如練細如線。噴如沫。如灑雨如驟風如漲霧。如甕中彈箏。如爇盌鳴水。震盪吼怒。凜不可頫。至到頭處。淵停爲潭廣幾畒。游魚泝欲上旋卻。進如箭射。退如葉拋。高而人立。低而鷺下。飜而雪飄。若盛氣若奮飛。皆自得也。於乎。落淵之勝。豈魚與水之謂乎。瀑東有崇禎處士遺墟碑。
瓢翁遺墟
渡欲瀑處溪畔。松林翳日。有一屋曰卧龍草堂。乃瓢隱先生棲遯講道之所也。有嶺渡瀑奮起。環於水。靑壁萬仞。顔於堂而遮乎洞。是所謂隔秦。先生當崇禎亂。眷言宗國。惟思自靖。遂老於此。其淸風高節。直與蹈海相上下矣。吳太宰始復書其坊曰崇禎處士遺墟。立石堂之西。士林立祀以奉焉。
仙遊亭
遺墟下隔水一里許。有洞唅呀。北麓有古寺曰仙刹。下數步許。有巨石臨水而蹲。負石而亭曰仙遊。亦靑溪翁所建也。翠壁遮西天者幾千尋。高楠蘸于淵如碧錦。落淵隔一嶺。隱隱地傳雅樂。葢閒曠爽朗。不及雲亭。淸絶奇邃殆過之。論福州名勝。當僂了第一指矣。仙遊之號。葢盡之矣。余擧似二字。當斯亭眞影贊。
上禪庵
仙刹西折。入兩壁交縫處。蟻附上幾千丈。於是始平衍。有小庵曰上禪。旣上兩腋飄飄然若將驂鸞駕鶴。高擧於廣漠之濱。幾乎忘人世矣。西于臺諸山傴僂仆地。其間烟氣濛濛而上者。皆郡縣也。余始欿然自小。繼而傲然自高。旣而喟然自歎曰夫欿與傲。均之爲喪我。彼所觀愈大。所守愈定者。果何人哉。於是散步叙嘯。形神相接。鯈然忽焉。若有所得而下。
[주-D001] 橃 : 撥
...........................
...........................
호곡집(壺谷集) 유범휴(柳範休)생년1744년(영조 20)몰년1823년(순조 23)자천서(天瑞)호호곡(壺谷)본관전주(全州)특기사항김강한(金江漢), 이상정(李象靖)의 문인. 이완(李埦), 이우(李㙖), 남한조(南漢朝) 등과 교유
壺谷集卷之十一 / 祝文 / 陶淵書堂瓢隱金先生奉安文
於惟先生。間氣以挺。山岳其重。金玉其精。軒天抉霓。瓌奇峻整。濟以問學。本之倫常。倫常在人。或値其變。山登海蹈。樹之風聲。往在崇禎。宗國變極。四海左袵。滿地腥羶。眇然者身。先生曰恥。愾焉寤歎。我安適歸。有水曰陶。隔秦其嶺。千丈危石。萬折懸流。龍卧其間。蠱九之以。海東異日。有秉麟毫。特書大書。處士某卒。有辭千載。恥刷城盟。功莫與京。本之則有。踐履之篤。見理之明。主靜求中。冰壺餘韻。故其樹立。炳然日星。牖後作程。曠古誰媲。有開其緖。有偉六賢。篤信家傳。而以守死。方壺一夢。餘二百年。立廟遺墟。江山如昨。明年太歲。又是涒灘。縟儀斯煌。事若有待。羞以薇菊。侑以榛苓。先生降聆。宛爾臨享。於千百禩。無我射思。
常享祝文
主靜之學。蹈海之風。山高水長。永綏欽崇
...........................
壺谷集卷之十三 / 附錄 / 年譜
二十三年癸未 先生八十歲 正月陞通政大夫。以年八十。依例加資。或言當求實職者。先生不許。 二月答陶淵書院儒生論景節祠揭虔事。祠在卧龍山下。當崇禎丙子。瓢隱先生金公是榲築卧龍庵。隱居不仕。至是士林建議立院。堂宇齋額。皆先生所命名。又撰奉安文及常享文。 三月寢疾 先生自少有足熱症。每歎妨於危坐。中年以後又患寒熱之候。恒在調攝之中。而非甚劇。亦不廢巾櫛書冊。至是尤沉劇。雖呻吟宛轉之際。兢惕提掇之意。常自在焉。 八月二十七日辰時考終。訃出遠近人士。奔走來哭。門人李晦慶,朴冕中,柳箕鎭,權𧆸,柳田文,柳家鎭加麻三月。
...........................
영조 20 1744 갑자 乾隆 9 1 7월 25일, 安東府 臨河縣 水谷里 大坪에서 태어나다.
정조 24 1800 경신 嘉慶 5 57 3월, 병으로 귀가하다. ○ 9월, 殯殿 進香官에 차임되다.
*유범휴(柳範休)생년1744년(영조 20)몰년1823년(순조 23)
1800년 이후 1823년까지 기사 결락
........................
壺谷集卷之四 / 書 / 答金孟厚 癸未
陸續拜狀。喜審花雨。端居一味淸裕。且有聯牀湛洽之樂。尤切慰仰。
陶社縟儀。進定誠得宜。
堂額同稱亦何妨。盛意若必改爲則未知尙敎敦敎二者誰優。惟在仁里僉意擇用耳。
祠曰景節。兩齋東曰壁立。西曰淵澄。門曰逌道。此於僉意皆何如。
...........................
수정재집(壽靜齋集) 유정문(柳鼎文)생년1782년(정조 6)몰년1839년(헌종 5)자회칙(晦則), 이중(耳仲)호수정재(壽靜齋)본관전주(全州)초명제문(齊文)특기사항유장원(柳長源)의 문인. 이병원(李秉遠), 강운(姜橒), 이병하(李秉夏), 유치명(柳致明) 등과 교유
壽靜齋集卷之九 / 祝文 / 陶淵 景節祠 追享時 奉安文
天挺間氣。海蹈高風。旨訣氷壺。主靜體中。學邃綱植。百世可忘。睠玆柴桑。有儼宮墻。瞻依滋久。可徵輿衷。見而知之。有若錦翁。蚤被樂育。遠大是仗。服勤至死。赤志黃狀。恩義兩至。衣鉢在玆。配先生食。疇有異辭。諏日稱禮。爰躋爰妥。夫子在座。賢弟由右。同薦豆籩。告玆事由。一堂洋洋。陟降彌休。
右瓢隱金先生
篤生名家。胎光趾徽。幼而騰異。早得依歸。眇是
丱。見期遠大。逮壯愈騫。華聞彪藹。乍遊璧水。遂擢虬門。曷不顯敞。匪樂斯存。拙修有築。聖功有集。斂迹向裏。一意傳習。中林有烏。下郡有蟹。學道愛人。暫施旋解。蘇州病守。錦里先生。學何其嗜。病何其嬰。伯恭中身。今昔同涕。微言幸後。可驗造詣。粤自太學。玄譚破瑩。辨別理氣。俗學是訂。葛翁有云。功懋距詖。百源所畏。先兄所推。允矣先生。望以實卓。本原旣晣。日用皆學。正容謹節。篤倫明禮。倣古依今。同居儀體。推行已驗。不徒文字。師門終事。尤見自致。旐惟崇禎。微意日星。深衣黃狀。古鼎韓銘。子夏篤信。展也堂域。由玆德選。允合廟食。迄今未擧。事若有竢。無勞刱設。協諸神理。先師有廟。遺墟大瓢。江山如昨。怳際誾夭。仙庵碧燈。草廬晴薰。造次親炙。左右服勤。於玆配食。有眷精靈。詢謀允合。吉日惟丁。爰妥爰侑。有踐籩簋。洋洋一堂。不康禋祀。不康不歆。多士衷誠。百世無斁。惠我周行。
右錦翁金先生
...........................
壽靜齋集卷之一 / 詩 / 景節祠焚香。吟示金景鴻 漸運。
淸晨靚服儼宮墻。處士祠前一瓣香。雲磬一聲何處落。前山知有小庵藏。
..........................
향산집 별집 제2권 / 서(書) / 김기백 필락 에게 답하다 경자년(1900, 광무4)〔答金耆伯 弼洛 庚子〕
예의의 군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모시면서 명분과 이치의 말씀을 들었으니 이 얼마나 대단한 인연입니까. 헤어진 이후 고명(高明)께로 향하는 마음이 어느 때고 간절하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팽인(伻人 편지를 전해 주는 사람)이 와서 유덕한 말씀이 담긴 편지를 전해 주었습니다. 젊은 사람이 먼저 인사를 올려 문후해야 하는 분수로 볼 때 도리어 차례를 잃었으니, 부끄럽고 군색한 마음이 감사한 마음보다 큽니다.
삼가 초가을에 생활하시는 기력은 강왕하신지요? 길안(吉安)의 도연서원(陶淵書院)과 임하(臨河)의 사빈서원(泗濱書院) 사이에는 명유(名儒)와 석사(碩士)가 많아서 노사들이 새벽별처럼 스러지신 후에도 아직까지 전형(典型)이 방불한 자가 있으니, 단지 산수만 아름다울 뿐만이 아닙니다.
신체와 기력이 청건한 이부(吏部) 군은 이미 묵묵한 가운데 정신이 감통하여 선창(仙倉)의 문하로 찾아뵈러 갔습니다만, 만도와 같은 자는 가을 낙엽이나 겨울 쓰르라미와 함께 변변찮은 시골구석에 살면서 스스로를 돌볼 겨를도 없으니 어찌 가련하지 않겠습니까. 서로 만나는 풍류의 자리에서 필시 아쉬운 마음으로 저를 생각해 주시겠지요.
[주-D001] 김기백(金耆伯) : 김필락(金弼洛, 1831~?)으로, 기백은 그의 자이다. 김진기(金鎭基)의 아들이자 서산 김흥락(金興洛)의 족제이다. 본관은 의성이다.
ⓒ 한국고전번역원 | 이규필 (역) | 2017
..........................
구사당집 제1권 / 시(詩) / 하남삼절을 바위에 새기려는 의론이 이미 결정된 뒤에 부중의 시에 차운하다〔河南三絶刻石議旣定 次扶仲韻〕
만고에 전해질 숭정 처사의 비석이여 / 萬古崇禎處士碑
세우지 못했던 것이 이 절경처럼 기이하네 / 未遑猶是一般奇
지금의 결정은 선대 뜻을 이은 것이니 / 如今斷定追先志
세상일 빠르고 늦음은 참으로 때가 있도다 / 淹速人間儘有時
[주-D001] 하남삼절(河南三絶) : 하남(河南)은 도연(陶淵) 일대를 가리키고, 삼절(三絶)은 선유층벽(仙遊層壁)ㆍ낙연현류(落淵懸流)ㆍ표은고풍(瓢隱高風)을 말한다.
[주-D002] 숭정 처사(崇禎處士) : 표은(瓢隱) 김시온(金是榲, 1598~1669)을 가리킨다. 본관은 의성이고, 자는 이승(以承)이다. 병자호란 이후로 은거하며 독서에 전념하여 제자백가 및 경학에 통달하였다. 도연서원(陶淵書院)에 제향되고, 저서로는 《표은집(瓢隱集)》이 있다. 저자의 고조부이다.[주-D003] 지금의 …… 것이니 : 부중(扶仲) 김정한(金正漢)의 시 제목에,〈……선유층벽ㆍ낙연현류ㆍ표은고풍을 하남삼절이라고 하니, 곧 선배들이 명명한 것이고, 부형들이 계실 때에 일찍이 진양 하처사의 큰 글씨를 얻어 절벽위에 새기려고 했으나 미처 이루지 못했다.……〉라고 하였다. 《芝谷集 卷1》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박대현 (역) | 2013
金正漢 | 1711 | 1766 | 義城 | 扶仲 | 芝谷 |
지곡선생유집 (芝谷先生遺集)
저자 성명 김정한 (金正漢)
자 부중 (扶中)
호 지곡 (芝谷)
판사항 木版本
발행년 1911
.......................
구사당속집 제3권 / 행록(行錄) / 유인 김씨 행록〔孺人金氏行錄〕
유인 문소 김씨(聞韶金氏)는 신라 왕자 석(錫)의 후손이다. 조선조에 들어와 증직이 판서인 진(璡)은 호가 청계(靑溪)이다. 다섯 현명한 아들을 두었으니, 내자시 정(內資寺正)을 지낸 약봉공(藥峯公) 극일(克一)은 곧 그중에 장남이다. 3대 뒤에 증직이 집의(執義)인 표은공(瓢隱公) 시온(是榲)은 여덟 명의 아들을 두었다. 장남은 성균 생원(成均生員)인 방렬(邦烈)이니, 이분이 유인의 고조부이다. 증조부는 휘가 여중(呂重)으로 통덕랑(通德郞)을 지냈고 조부는 휘가 지탁(之鐸)으로 통덕랑을 지냈다.
아버지는 처사로 휘가 민행(敏行)이니 훌륭한 행실과 기절(氣節)로 고을과 나라에서 추중을 받았다. 금상 4년(1728, 영조4)에 역란이 일어났는데, 이에 역적이 말로 무고하여 공〔민행〕을 끌어들였다. 그러나 임금께서 공의 원통함을 헤아려 불문에 부치고 용서해주었다. 이렇게 되자 공은 의리상 평상한 사람으로 자처하지 않고 두문불출하며 빈객을 사절하기를 10년 동안 하다가 죽었다. 어머니는 무안 박씨(務安朴氏)로,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냈으며 증직이 호조 판서(戶曹判書)인 의장(毅長)의 후손이며 통덕랑을 지낸 진상(震相)의 따님이다. 재덕과 식견이 평범한 부인보다 월등히 뛰어났다. 처사공이 일찍부터 종중(宗中)의 일을 세워서 유지하였으며, 기울어진 것을 지탱하고 폐한 것을 일으켜 세워 선조의 가업을 크게 확대시켰다. 처사공이 그것을 계획하고 조치하는데 아내의 내조가 많았다고 한다. 명릉(明陵 숙종의 능호) 을유년(1705, 숙종31) 8월 8일에 유인을 낳았다.
유인은 어려서 자못 거칠고 준걸하여 사내 기상이 있었다. 그러나 매우 자애롭고 인자하여 다른 사람이 재앙으로 곤궁하여 보금자리를 잃어버리는 것을 보고 들으면 문득 그 때문에 눈물을 흘렸다. 또 책을 좋아하여 귀로 경전의 구절을 들으면 비록 그 뜻은 몰라도 항상 암송하여 입에서 끊어지지 않았다. 이미 언문에 환히 통하여 날마다 옛날 현인(賢人), 군자, 정녀(貞女), 절부(節婦)의 업적을 완미하였고, 마음에 감동되는 구절에 이르면 한두 장(章)을 뽑아서 무릎을 치며 탄복하면서 읽었는데, 낭랑한 목소리가 들을 만하였다.
조금 성장하여 스스로 거친 태도를 꺾고 자제하여 온순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그래서 여자로서의 일을 하며 순리에 따라 차분한 태도를 가져 어릴 때와는 판이하게 달라졌다. 어버이를 섬김에 지극히 효성스러워 사랑하면서도 공경할 줄 알았다. 어버이 곁에서 기쁘고 즐겁게 해드리고 아리따운 모습을 하였으며, 어버이 뜻을 따르고 맞게 함을 힘썼다.
21세 때 본관이 재령(載寧)인 이휘원(李輝遠) 자실(子實) 군에게 시집갔다. 바야흐로 시집갈 때 처사공이 손수 훈계의 말을 써서 주었는데, 유인은 가슴에 새기면서 감히 잊지 않았다. 유인에게 두 언니가 있었는데 출가한 지 이미 여러 해가 되었다. 언니들이 유인을 꾸며서 시집보낼 때 복식(服餙)과 화장도구를 마땅히 새로운 것으로 준비하려 하였다. 유인이 사양하며 말하기를 “두 언니에게 있는 것도 아직 해지지 않았으니 또한 임시로 빌려 쓰면 되니, 원하건대 부모님께서는 이것을 가지고 다시는 심력을 수고롭게 하지 마십시오.”라고 하였다. 부모가 그 뜻을 가상히 여기며 허락해주었다.
이씨는 옛 법도 있는 집안으로 규방의 명성이 다른 집안과 달랐다. 유인이 시가에 들어갈 때 위의와 법도가 매우 닦여져 있음에 시조부 통덕랑공(通德郞公)과 시어머니 신부인(申夫人)이 매우 기뻐하였으며, 유인을 바라보는 상하의 사람과 내외의 사람들이 모두 유인의 현명함을 칭찬하였다. 신부인이 과부로 시아버지 통덕공을 받들고 있었는데, 유인이 술과 음식을 만드는 것을 돕고 의논하여 충성스럽게 봉양하였다. 통덕공이 성격이 엄중하여 잘못은 조금도 용서함이 없었으며, 집안은 넓고 커서 일이 많았다. 유인이 위로 어른을 받들고 아래로 젊은이를 대하면서 모든 것을 적의(適宜)하게 하였다. 통덕공이 기뻐하며 말하기를 “약관의 아녀자가 행실이 이와 같으니, 우리 집안의 종사(宗祀)는 걱정이 없겠다.”라고 하였다.
무신년(1728, 영조4) 겨울에 친정에 자식 한 명〔유인의 형제〕이 죽었다. 유인이 친정 부모께서 연로하신 가운데 마음이 처참하여 병이 들까 염려하여, 친정에 돌아가 봉양하기를 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친정에 있는 몇 년 동안 어머니를 대신하여 집안 내의 일을 주관하였는데 마른 일과 습한 일을 가리지 않았다. 무릇 자기에게 관련되는 옷을 짓는 것과 바느질의 일 일체를 물리치고 하지 않았으며, 오직 어버이를 조섭하고 보호하여 그들의 마음을 위안시키는 것을 일삼았다.
정사년(1737, 영조13)에 처사공이 병이 오랫동안 낫지 않고 위독하여 기거하고 침식하는 모든 것에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좌우에 모시는 자가 또한 많았지만 처사공의 뜻을 맞출 수는 없었고 오직 유인만이 주야로 부축하며 보호하였다. 수저를 드는 것, 밥상을 올리고 거두는 것, 이부자리를 거두고 펴는 것, 약물을 조제하는 절도 등을 유인 스스로 하지 않음이 없었으며, 누차 아버지 대변의 맛을 보아서 병의 차도를 살폈다. 시절이 여름이었을 때 처사공이 참외를 먹고 싶어 하였지만, 옆에 있던 사람이 참외는 병에 해로울까 염려하여 감히 올리지 않았다. 처사공이 끝내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죽으니, 유인이 이때문에 종신토록 차마 참외를 먹지 못하였다.
어머니는 쓰라린 고통을 거듭 겪어 더욱 딸들이 자기 옆에 있어주기를 바랐다. 유인이 시가와 친정을 왕래하며 안부를 살피며 뵙는 일을 거의 한 해도 거른 적이 없었다.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드리며 쑤시고 가려운 데를 부드럽게 누르고 긁어드렸다. 그리고 나아가고 물러남과 응하고 대답함에 어머니께서 하시고자 하는대로 하지 않음이 없었다. 어머니가 매우 편안하게 여기면서 말하기를 “이 아이가 최고로 나의 마음에 맞다.”라고 하였다. 사촌 동생 시형(始亨)이 일찍이 유인을 두고 ‘형체가 없는 데서 보고 소리가 나지 않는 데서 듣는다.’는 것으로 칭찬하였다.
임술년(1742, 영조18)에 시조부께서 돌아가시니 초종(初終)과 장례 그리고 제례에 필요한 물품을 유인이 한결같이 모두 조처하였는데, 일이 군색하거나 실패한 적이 없었다. 일찍이 궤식(饋食 상식(上食))하는 일에 임하여 여종이 넘어져서 제수를 엎어버렸다. 상하 사람들이 모두 놀라며 경황이 없었는데, 유인이 미리 준비한 다른 쟁반을 갖추어서 곧바로 다시 올리게 하였으니, 그가 일을 사려함에 주밀함이 이와 같았다.
기사년(1749, 영조25)에 시어머니 신부인(申夫人)이 죽으니, 상례의 도구 외에 무릇 집안의 크고 작은 일을 모두 기획하여 질서정연하게 조리가 있게 하였고, 쓸데없는 일로 남편을 번거롭게 하지 않았다. 그러나 또한 마음대로 재단한 적이 없고 반드시 남편에게 품의한 이후에 행하였다.
이미 시가집에 많은 어려운 일을 당하였고 또 누차 수해를 입어서 생업이 자못 영락하였다. 이에 갑술년(1754, 영조30)에 안동(安東)의 청성촌(靑城村)으로 이주하였다. 외롭게 우거하는 초창기에다가 거듭 기근이 들어서 그 어려움과 고생은 보통 사람들은 견딜 수가 없는 것이었지만 유인은 편안하게 처신하며 슬퍼하거나 원망하는 뜻이 없었다. 몇 년을 지남에 전염병이 크게 돌아 남편 집안의 고향에 머물러 있던 사람들이 죽어서 초상을 연이어 치르자, 객지에서 거의 자립할 수가 없었다. 이에 철수하여 동쪽 시가 고향으로 돌아가니, 친족으로 살아남은 사람들이 모두 기쁘게 맞이하여 귀의처로 삼았다.
무인년(1758, 영조34) 가을 7월에 유인이 처사공의 기일에 친정으로 돌아와 통곡하고 드디어 머물면서 수 개월 동안 어머니를 모셨다. 이윽고 시가로 돌아가려고 고하니, 어머니께서 매우 늙었고〔篤老 70세 이상의 노인〕 마음이 나약해져서 마음속으로 헤어지기를 어려워했다. 유인이 청하여 말하기를 “추위가 이르려고 하니, 장차 시가로 가서 남편의 옷을 마련하는 일을 마치고 나면 감히 다시 친정에 돌아와 어머니에게 안부를 드리지 않겠습니까. 멀어도 내년 새봄을 넘기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어머니가 이에 허락하면서 “이 기약을 저버리지 마라.”라고 하였다.
시가에 돌아옴에 빨리 옷감을 장만하여 손수 스스로 재단하여 바느질을 밤낮 쉬지 않고 하였다. 11월 초순에 옷이 완성되자 이에 아들 우일(宇一)에게 고하여 말하기를 “너는 종과 말〔馬〕을 갖추어서 이것을 외가 내앞〔川上〕에 가져다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우일이 “오직 명령대로 하겠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우일이 내앞에 도착하기 전에 이 달 17일에 유인이 감기에 걸렸다. 병이 위독하자 집안의 일에 대하여는 한 마디의 언급도 없고, 목구멍에서 더듬거리는 말은 오직 어머니를 생각하는 말 뿐이었다. 문병하러 오는 사람이 있으면 문득 고하여 말하기를 “나의 병을 낫게 하여 다시 어머니를 볼 수 있게 빌어주십시오.”라고 하였다. 결국 23일에 돌아가시니 향년 54세였다.
남편의 종숙부 상사공(上舍公)이 애통하게 곡하면서 말하기를 “이런 질부의 현명하고 덕스러움은 세상에서 그 짝할 만한 사람이 드물다. 이제 다시는 볼 수 없게 되었다.”라고 하였다. 노비와 노소들이 모두 목놓아 울며 애통해 하였다. 이때 친정 어머니께서 실날같은 목숨으로 병상에 누워있었는데, 시중드는 사람이 유인의 죽음을 숨기고 이야기하지 않았다. 겨울이 다 지나가고 봄이 오도록 아침저녁으로 유인이 오기를 바랐다. 그러다가 기약한 날짜가 이미 지나가자 의아한 마음이 수없이 일어나 말하기를 “내 딸이 죽지 않았나.”라고 하였다. 이로부터 식사량이 날마다 줄어들고 기운이 날마다 쇠약해지며 얼마 있지 않아 감기가 걸려서 돌아가시니, 친척들이 비통해 하지 않음이 없었다.
유인이 십수년 이래로 비록 시가의 일을 주관하는데 시간이 쫓겨 계속하여 끊임없이 친정으로 돌아와 어버이를 모시는 일을 할 수 없었으나, 시절마다 문안인사를 드리는 것은 끊어지지 않아 어버이 마음을 위로하고 기쁘게 한 것은, 거의 부모님 곁에서 봉양하는 것과 다름이 없었다. 중간에 어려움을 겪고 온갖 고생을 맛보았으나 근심스럽고 고통스러운 것을 어머니에게 말하여 알린 적이 없었다. 오직 자신의 일 때문에 어버이에게 우환을 끼칠까 염려하였기에 이에 사생의 즈음에 슬픔을 끼치는 것을 면하지 못하였으니, 슬픈 일이구나.
유인이 일찍이 말하기를 “내 나이 60세에 가까워 죽으면 심히 한스러울 것은 없을 수 있으나, 다만 어머니가 살아계실 때 죽어서 어머니의 마음을 매우 상하게 할까 염려된다.”라고 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그 말이 부절처럼 맞아떨어졌으니, 어찌 천명이 아니리요. 기묘년(1759, 영조35) 4월 17일에 영해부(寧海府) 서쪽 노곡(魯谷) 진좌(辰坐) 언덕에 장례를 지냈다.
유인이 이미 부모에게 효도하고 또 우애와 공경에 독실하였으며, 목인(睦婣)에 돈독하였다. 시가에 있을 때 여러 시숙부모님들과 여러 동서들로부터 환심을 얻지 않음이 없어서 한 집안의 분위기가 조용하고 여유가 있었다. 신부인이 일찍이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이 아이는 우리 집의 현명한 며느리니 나는 죽어도 눈을 감을 수 있겠다.”라고 하였다. 제사를 삼가여 재계하는 날에 친히 방과 마루에서부터 부엌과 마당까지 깨끗하게 청소하였다. 제수들을 제사 전에 미리 살펴서 극도로 정결하게 하였다. 밤에는 촛불을 밝히고 앉아서 제사의 행사를 기다렸는데, 매우 추운 날씨와 찌는 듯한 더위에도 혹 게을리 하지 않았다. 무릇 계절에 따라 나는 음식은 사당에 올리지 않고는 감히 먼저 먹지 않았다. 빈객이 있을 때 비록 가난하고 곤핍한 지경을 만났을지라도 대접하기를 반드시 예로 하여 싫증을 내거나 게으른 기색을 한 적이 없었다.
매양 자녀들에게 경계하여 말하기를 “사람이 사는 집에 중요한 일은 빈객과 제사에 있다. 살림의 풍성하고 빈약함을 문제 삼지 말고 마땅히 나의 성의와 공경을 다해야 한다.”라고 하였다. 사람에게 차마 잔인하게 하지 못하는 마음은 종신토록 한결같았다. 사람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으면 친소와 귀천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 고기를 먹지 않았다. 궁핍한 사람을 구휼하고 어려운 사람을 구제하기를 마치 자기의 우환처럼 여겼다. 혹 궁핍한 사람들이 도와주기를 요구함이 번거롭게 자주해도 가지고 있는 재력에 따라 호응하였고 고통스러운 일로 생각하지 않았다. 늙고 병들어 의탁할 데가 없는 사람을 더욱 긍휼히 여겼다. 마을의 할머니들이 그의 은혜에 감동하여 장수하고 복 받기를 축원해 주었고, 혹 죽으면 반드시 은혜에 보답 받음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 자도 있었다.
종들을 부림에는 관대하여 포용함이 있었고 어린 여종을 볼 때는 딸같이 여겨, 질병이 있으면 특별히 치료하며 보살폈고, 죄를 지으면 조용한 태도로 가르치고 경계하여 스스로 감화되게 만들었으니, 다른 집의 종들이 모두 사모하여 이와 같은 주인을 만나기를 원하였다. 무릇 사람에게 옳지 못한 점이 있는 것을 보면 마음으로 그를 위하여 불쌍히 여기며 잘못된 것을 고쳐서 선한 데로 가기를 바랐다. 그러나 죄상을 명백하게 말하여 공개적으로 드러내지 않았는데, 그것에 대하여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마치 듣지 못한 것처럼 하였다. 그러나 자녀들이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죄과를 규명하여 꾸짖고 조금도 용서하지 않았다.
평소에 반드시 새벽에 일어나서 더러운 먼지를 소제하고 기물들을 정돈하여 무질서하고 어지럽지 않게 하였다. 말씨와 행동은 항상 스스로를 수칙(修飭)하였고, 갑작스럽게 태도를 바꾸어 변덕스럽게 하지 않았다. 일찍이 이웃집에 불이 났는데, 온 식구가 어찌할 줄을 몰랐다. 유인이 천천히 말하기를 “어찌하여 평상시의 태도를 잃음이 이와 같음에 이르는가.”라고 하였다.
부유한 집안에서 생장하였지만 세속의 화려한 것을 즐거워하지 않았다. 의복과 음식은 오직 정결한 것을 취할 따름이었고, 교묘하게 아름답거나 괴이한 장식을 한 적이 없었다. 일찍이 말하기를 “일부러 검소한 것을 현명한 일로 삼을 것은 없지만 빈한한 선비의 아내가 오히려 사치하면 어떻게 되겠는가.”라고 하였다. 또 옳지 않은 도를 좋아하지 않아 무당과 박수를 가까이 앞에 오지 못하게 하였다.
유독 평생토록 시문과 역사서를 좋아하는 마음이 쇠퇴한 적이 없었다. 책을 읽는 소리를 들으면 문득 기뻐하며 귀를 기울여 듣고 말하기를 “남자이면서 이것을 좋아하지 않으랴.”라고 하였다. 대개 일찍이 유인의 효순(孝順)한 덕망과 인혜(仁惠)한 마음을 보니 그것은 진실로 타고난 본성이었다. 그의 기질과 행실 같은 경우는 전후로 마치 두 사람이 한 것처럼 판이하게 달랐으니, 이것은 반드시 옛 교훈을 완미하고 익혀서 열녀를 상상하고 사모한 공력에서 온 것이 아님이 없다. 어찌 시속의 아낙네들이 부화하고 허탄하며 아름답고 화려한 이야기에 정력을 피폐하게 하고 입이 닳도록 말하여, 성정(性情)을 손상시키며 자기 직무를 방해하는 것과 같겠는가. 장부가 되어서 배우지 아니하고 아는 지식이 적어, 종신토록 하등 급에 머물며 스스로 거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자는 또한 부끄러워할 만하다.
1남 5녀를 두었으니, 아들은 곧 우일(宇一)이다. 장녀는 김달국(金達國)에게 시집갔고 둘째는 김훈(金壎)에게, 셋째는 남택양(南宅陽)에게, 넷째는 조거선(趙居善)에게 각각 시집갔다. 막내 딸은 어리다. 남편 자실(子實) 군이 유인과 부부로 산 지 30여 년에 유인의 뜻과 행실 그리고 덕의 아름다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익숙히 알고 있는데, 그것이 인몰되어 후세에 전해지지 않을까 애석하게 여겼다. 그가 근래에 일찍이 부인의 업적을 기록하여 나에게 보여주면서 행록을 지어주기를 부탁하였다.
돌아보건대 나는 그 일을 하는데 적합한 사람이 아니다. 그러나 그윽이 스스로 생각해보니 나는 유인과의 관계가 본종(本宗)으로 보면 재종(再從)의 친척이 되고 외당(外黨)으로 보면 이종(姨從) 형제가 된다. 나는 2, 3살 때부터 어머니와 이모에게 함께 길러져 정의(情義)가 한 배에서 난 형제와 다름이 없었다. 그러므로 오늘 행록을 지어달라고 청하는 것을 끝내 사양할 수가 없는 점이 있다. 삼가 이미 부탁을 받아놓고 머뭇거렸더니 얼마 뒤 우일이 또 재차 와서 청함이 매우 간곡하였다. 이어 그가 어머니 상고 때의 일을 언급하면서 오열하고 눈물을 흘리며 스스로 그의 효심을 이기지 못하였고, 게다가 충분히 사람을 감동시키는 점이 있었다. 드디어 본록(本錄)과 우일이 구전하는 바에 근거하여 모두 기록하고, 사이사이에 내가 평소에 귀로 듣고 눈으로 본 것을 부기하여 세상에서 규방의 모범을 고찰하려는 사람들이 채택하는데 대비한다. 삼가 기록한다.
[주-D001] 진(璡) : 김진(金璡, 1500~1580)으로,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영중(瑩仲), 호는 청계(靑溪)이다. 1525년(중종20)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출사를 단념하고 귀향하였다. 임하 부암 곁에 서당을 짓고 다섯 아들을 훌륭하게 키웠다. 다섯 아들은 약봉(藥峯) 김극일(金克一, 1522~1585),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 1528~1583), 운암(雲巖) 김명일(金明一, 1534~1570),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 1538~1593), 남악(南嶽) 김복일(金復一, 1541~1591)이다. 김진은 뒤에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으며 내앞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제향되었다.[주-D002] 시온(是榲) : 김시온(金是榲, 1598~1669)으로, 본관은 의성, 자는 이승(以承), 호는 도연(陶淵)ㆍ표은(瓢隱)ㆍ숭정처사(崇禎處士)이다. 어려서부터 학문만을 좋아하고 벼슬에는 뜻이 없었다. 경서(經書)의 연구에 심취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다. 안동(安東)의 와룡산(臥龍山) 아래 와룡초당을 짓고 40여 년 동안 절의(節義)를 지키고 후진 양성에 힘썼다. 사후에 집의(執義)에 추증되었다. 안동의 도연서원(陶淵書院)과 경절사(景節祠)에 제향되었다. 문집으로 《표은집》이 있다.[주-D003] 방렬(邦烈) : 김방렬(金邦烈, 1616~1692)으로, 본관은 의성, 자는 사현(士顯)으로 1652년(효종3) 생원시에 합격하였다.[주-D004] 민행(敏行) : 김민행(金敏行, 1673~1737)으로, 본관은 의성, 자는 선백(善伯)으로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이다.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의진에 가담하였다.[주-D005] 금상 …… 일어났는데 : 무신년(1728)에 경종(景宗) 사후 정권에서 배제된 노론의 거두 김일경(金一經)의 잔당인 이인좌(李麟佐)와 정희량(鄭希亮) 등이 공모하여 영조 즉위 후 실세한 소론의 호응을 얻어 밀풍군(密豐君) 탄(坦)을 추대하여 왕통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여 반란이 일어났다.[주-D006] 의장(毅長) : 박의장(朴毅長, 1555~1615)으로,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사강(士剛), 시호는 무의(武毅)이다. 김언기(金彦璣)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577년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 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서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박진(朴晉)과 함께 경주 탈환 작전에서 화차(火車)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사용하여 적군을 크게 무찔렀다. 그 전공으로 경상좌도 병마절도사에 승진하였으나 재임 중에 임지에서 61세로 죽었다. 호조 판서에 추증되고, 영해(寧海) 정충사(貞忠祠)에 제향되었다.[주-D007] 이휘원(李輝遠) : 1706~1775.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자실(子實), 호는 삼수헌(三守軒)이다. 영해(寧海)에 거주하였으며, 저서로 문집과 《가훈증보(家訓增補)》, 《관성록(觀省錄)》이 전한다.[주-D008] 초종(初終) : 초상부터 졸곡(卒哭)까지를 말한다.[주-D009] 목인(睦婣) : 목(睦)은 구족(九族)에게 친한 것이고, 인(婣)은 모족(母族)과 처족(妻族)에게 친한 것이다.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송희준 (역) | 2015
......................
안동의 도연서원(陶淵書院)과 경절사(景節祠)에 제향되었다.-> 안동의 도연서원(陶淵書院)의 경절사(景節祠)에 제향되었다.
* 壽靜齋集卷之九 / 祝文 / 陶淵 景節祠 追享時 奉安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