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연골판파열 반월상연골판파열 반월상연골판파열
관절내시경 관절내시경 관절내시경 관절내시경

반월상연골판이란 무엇일까요?
반월상 연골판은 대퇴골(허벅다리뼈)과 경골(종아리뼈)이 만나
무릎 관절을 이룰 때 생기는 빈 공간을 채워주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구조물로 '쿠션'과 같은 역할을 하며,
반달같은 모양을 가지고 있고 반월상연골판 이라고 부릅니다.
내측 반월상연골판과 외측 반월상연골판이 있습니다
<반월상연골판의 기능>
★ 무릎기능 안정화
★ 대퇴골과 경골사이의 마찰 감소
★ 뼈의 영양 공급과 윤활작용
★ 외부충격 흡수
★ 신체 무게를 지탱 및 분산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원인>
★ 급성으로 인한 손상 (운동시의 충격이나 넘어짐)
★ 원판형 연골판 (연골판 모양이 둥근경우)
★ 만성으로 인한 손상 (퇴행성, 류마티스 관절염)
반월상연골판을 손상 부위에 따라 치료 여부가 달라지는데,
혈관분포 여부에 따라 수술법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바깥쪽 : 혈관분포 좋아 재생이 잘됩니다.
★ 안 쪽 : 혈관분포가 없어 재생이 되지 않습니다.
<반월상연골판파열 종류>
<반월상연골판이 파열 증상>
★ 계단을 이용하거나 쪼그려 앉기시의 통증
★ 부종
★ 잠김증상(무릎이 굽혀지지 않음)
★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
★ 무력감
★ 딱딱거리는 소리와 느낌
<반월상연골판파열 MRI>

위와 같은 증상이 있을 시 ,
간혹 통증이 잦아들면 방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냥 두면 치료시기를 놓쳐 더 큰 손상이 될수도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판의 치료 방법>
파열의 정도, 부위, 모양 등에 따라 크게
절제술과 봉합술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봉합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파열이 혈관이 있는 부위에 위치해야 하며
실제로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는 파열이 그다지 많지는 않습니다.
★ 절제술은 연골판 중 파열되어 불안정해진 부분을 절제합니다.
반월상연골판파열수술은 관절내시경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관절내시경 수술방법>
관절경 수술은 무릎에 약 1cm이하의 2개에서 4개정도의 작은 절개(입구)를 통하여
소형 카메라와 작은 수술 기구를 통하여 수술하는 방법입니다.
무릎을 절개하여 하는 수술에 비하여 시간도 단축되고 더 정확하며 환자의 회복도 매우 빠릅니다

일반적인 연골판 부분 절제술 후 일상 활동이나 운동에 대한 경과는
수술 2일째부터 걸을 수 있고,
일주일경이 되면 운전과 사무직의 복귀가 가능하며,
2~3주에 가벼운 운동을 시작해
2~3개월이면 고난이도의 스포츠가 아니면 가능하게 됩니다.

반월상 연골판의 파열 정도, 파열 형태와 절제한 정도 또한 동반 손상에 의하여 앞으로의 상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연골판에 작은 손상만이 있어 일부분만을 절제한 경우에는 거의 정상에 가까운 활동, 운동 능력을 기대할 수 있지만,
연골판 파열이 광범위하고 복합 파열이어서 연골판을 많이 절제한 경우 관절염이 조기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무릎통증 참지말고
관절경수술잘하는곳에서
정확한 진단으로 치료 받으세요 !!!!!!!!!!!!!!!!
관절내시경,관절경수술잘하는곳,무릎연골수술,반월상연골판파열.무릎수술.무릎통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