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세포의 과증식으로 조직의 어느 한 부위가 커져서 혹을 만드는 경우 이를 갑상선 결절(종양, 혹)이라 한다. 갑상선 결절은 가장 흔한 내분비질환의 하나로 성인의 4~7%에서 임상적으로 만져진다. 갑상선 결절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그 발생도 함께 증가하며, 대개 여자에서 남자보다 3~4배 더 잘 발생한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것은 양성 종양인지, 악성 종양(암)인지를 감별 진단하는 것이다. 갑상선 결절 중 암의 비율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4~25% 사이로 보고되어 있다.
발병위치
일 갑상선 결절
원인
갑상선 결절은 그 원인과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과증식성 결절, 콜로이드 결절, 염증성 결절, 낭성 결절 그리고 갑상선 암이 포함되어 있는 종양성 결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양성 결절인 과증식성 결절은 요오드 결핍 등과 같이 갑상선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환경인자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 세포에서 만들어 내는 콜로이드라는 액체 성분이 축적되어 생기는 콜로이드 결절, 림프구성 갑상선염이 결절 형태로 성장하여 생기는 갑상선염성 결절, 그리고 기존의 결절이 괴사 및 변성을 일으킨 일종의 낭성 결절 등이 있다. 악성 결절(갑상선암) 등의 종양성 결절의 경우는 여러 유전자 변이가 병인으로 밝혀져 있다.
증상
대부분의 갑상선 결절은 자라는 속도가 빠르지 않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일부의 환자에서는 결절이 주위 조직인 식도나 기도를 압박하여 연하(삼킴) 곤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대부분 수년간에 걸쳐서 갑상선종이 제한된 흉곽 안에서 커진 경우 생기는 증상으로 노인에서 주로 나타난다. 그 밖에도 수일 사이 동통을 동반하면서 갑자기 결절이 커지는 경우는 결절 안에서 출혈성 괴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수개월 사이에 비교적 갑자기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갑상선 암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또한 주위 조직에 유착되어 자라기 때문에 성대를 침범하여 목이 쉬거나, 기도 압박으로 호흡 곤란, 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진단
갑상선 결절의 진단에서 갑상선 암과 양성 결절을 구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병리학적으로 결절 세포를 관찰하여야 확진이 가능하다. 미세침흡인세포검사는 갑상선에 결절이 있는 경우 이 덩어리가 악성인지 또는 양성인지를 감별할 수 있는 간편하고도 안전한 검사이다. 일반적으로 1cm 이상의 크기로 손으로 만져지는 결절이거나 1cm 미만의 작은 결절이면서 초음파 검사상 암을 시사하는 소견이 있는 경우, 또는 병력이나 이학적 검진 결과 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미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검사
1) 혈액 검사 대부분의 갑상선 결절 환자는 정상 갑상선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혈청 갑상선 호르몬을 측정하면 정상으로 나온다. 그러나 드물게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동반한 결절이 있을 수 있으므로 모든 갑상선 결절 환자에게는 처음 진단 시에 일반적으로 혈청 갑상선 호르몬 검사를 시행한다. 또한 갑상선 수질암 등의 가족력이 있을 경우에는 혈액 검사로 암 표지자인 혈청 칼시토닌을 측정하기도 한다.
2) 갑상선 스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갑상선 스캔을 시행하면 결절의 위치, 모양, 크기 및 기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갑상선 스캔은 악성 결절의 진단적 가치가 낮아 갑상선 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선별 검사 혹은 단독 검사로는 이용하지 않는다.
3) 갑상선 초음파 갑상선 초음파 검사는 결절의 크기와 특성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속이 비어있는 물혹인지 또는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기적인 크기 및 모양의 변화를 추적 관찰하는 데도 일차적 검사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초음파 검사 단독으로는 감상선 암을 감별할 수 없다.
4) 미세침흡인세포검사 최근 늘어나고 있는 갑상선 결절의 감별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검사이다. 작은 주사 바늘로 갑상선 결절을 외부에서 직접 찔러 일정량의 세포를 채취한 후 세포의 모양에 따라 결절의 종류를 판정하는 검사이다. 다른 조직에서 시행하는 일반적인 조직검사와 달리 작은 주사 바늘로 세포의 일부만을 채취하여 검사하므로 1회의 검사에서 세포가 충분히 획득되지 않은 경우 검사를 반복해야 한다. 또한 드물게 낭성 결절이나 결절에 심한 석회화가 진행되어 있는 경우 세포를 채취할 수 없어 검사가 안 되는 경우가 있다.
1cm 이상의 큰 결절의 경우 촉진 후 바로 찔러서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초음파로 먼저 확인하고 초음파 유도 하에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1cm 이하의 결절의 경우는 대부분 초음파 유도 하에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작은 주사 바늘로 2~3회 찔러 검사를 하기 때문에 별도의 마취는 시행하지 않는다. 시술 후 10~15분 정도 안정을 취하면서 지혈을 한다.
시술에 따르는 특별한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드물게 출혈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유의하도록 한다.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술 전 평균 일주일 정도 약제의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이 경우는 약을 처방하는 담당의사와 상의한 후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기존의 약제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도 드물게 출혈이 생길 위험이 있으며, 이 경우 목 주위가 붓고 통증을 동반할 수 있다. 출혈이 심하면 갑상선 뒤쪽의 기도를 압박하여 호흡 곤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응급으로 갑상선 절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미세침흡인세포검사
치료
양성 갑상선 결절의 경우 정기적으로 초음파로 검사하면서 추적 관찰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암이 의심되거나 갑상선종이 매우 커지면서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며, 미용적인 목적으로 환자가 수술을 원하는 경우도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갑상선암의 경우 일차적으로 수술적 치료 이후 병기에 따라 갑상선 호르몬 억제 요법,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 등의 항암 치료를 병행한다.
경과/합병증
성인에게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해보면 2~4명 중 1명 정도가 갑상선에서 1cm 미만의 작은 결절(혹)들이 우연히 발견된다. 이 중 일부인 5% 정도만이 암이므로 결절의 크기가 1cm 미만으로 작고, 초음파 소견상 양성을 시사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조치 없이 6개월에서 1년마다 초음파를 시행하여 결절의 크기 변화를 관찰한다. 만약 결절이 점점 커지면 미세침세포흡인검사를 하여 암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갑상선 암은 성장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처음부터 암이었다고 해도 정기적 경과 도중 진단된 경우 대부분의 경우 예후에는 큰 차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