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신문 ♤ 시가 있는 공간] 가구의 힘/ 박형준
심상숙 추천
가구의 힘
박형준
얼마 전에 졸부가 된 사람이 있다
그 사람은 나의 외삼촌이다
나는 그 집에 여러 번 초대받았지만
그때마다 이유를 만들어 한 번도 가지 않았다
어머니는 방마다 사각 브라운관 TV들이 한 대씩 놓여있는 것이
여간 부러운 게 아닌지 다녀오신 이야기를 하며
시장에서 사 온 고구마순을 뚝뚝 끊어 벗겨내실 때마다
무능한 나의 살갗도 아팠지만
나는 그 집이 뭐 여관인가
빈방에도 TV가 있게 하고 한마디 해주었다
책장에 세계문학전집이나 한국문학대계라든가
니체와 왕비열전이 함께 금박에 눌려 숨도 쉬지 못할 그 집을 생각하며,
나는 비좁은 집의 방문을 닫으며 돌아섰다
가구란 그런 것이 아니지
서랍을 열 때마다 몹쓸 기억이건 좋았던 시절들이
하얀 벌레가 기어나오는 오래된 책처럼 펼칠 때마다
항상 떠올라야 하거든
나는 여러 번 이사를 갔었지만
그때마다 장롱에 생채기가 새로 하나씩은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그 집의 기억을 그 생채기가 끌고 왔던 것이다
새로 산 가구는
사랑하는 사람의 눈빛이 달라졌다는 것만 봐도
금방 초라해지는 여자처럼 사람의 손길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먼지 가득 뒤집어쓴 다리 부러진 가구가
고물이 된 금성 라디오를 잘못 틀었다가
우연히 맑은 소리를 만났을 때만큼이나
상심한 가슴을 덥힐 때가 있는 법이다
가구란 추억의 힘이기 때문이다
세월에 닦여 그 집에 길들기 때문이다
전통이란 것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것 -
하고 졸부의 집에서 출발한 생각이 여기에서 막혔을 때
어머니의 밥 먹고 자야지 하는 음성이 좀 누그러져 들려왔다
너무 조용해서 상심한 나머지 내가 잠든 걸로 오해하셨나
나는 갑자기 억지로라도 생각을 막바지로 몰고 싶어져서
어머니의 오해를 따뜻한 이해로 받아들이며
깨우러 올 때까지 서글픈 가구론을 펼쳤다.
( 박형준 시집『나는 이제 소멸에 대해서 이야기하련다』
17쪽, 문학과 지성사, 1994 )
[작가소개]
박형준 시인, 명지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 박사, 1991 한국일보 신춘문예「가구의 힘」으로 등단, 풀꽃 문학 대숲상 등,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부 교수
[시향]
박형준 시인의 시는 따뜻하다. 시인의 시를 읽다 보면 가진 그대로 행복하고 편안해지는 다정함이 솔깃 찾아들기 때문이다.
진통제나 소화제 없이도 순해져 아름답다. 시인이 독자를 일일이 챙길 일 없지만, 시 안에서의 시인이 바로 자신이듯 아껴지기 때문이다.
찢어지지 않으려 흔들리는 거미줄처럼 생존의 전략으로 시에 매진하는 일은 드물겠다. 시 안에서의 솔깃해지는 대목은 낮은 속삭임이다. 속삭임은 발끝에 차이는 작은 조약돌처럼 소소하다.
한 편의 지긋한 시는 축복이다. 이 시간 마음의 근육이 어루만져지는 당신에게 소중한 선물이 될 것이다.
글: 심상숙(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