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물고기가족화는 어항을 그린 도식을 주어 그 안을 자신이 꾸미고 싶은 세계로 꾸며보게한다.
단 자기집에 있는 수족관이나 실물을 보고 그리면 안되며 자신이 꾸미고 싶은 세계를 꾸미게 한다. 또한 검사자가 의도하여 "나"를 포함한 물고기의 세계를 표현하라고해도 무방하며 자신의 가정에 대한 비유나 마음속 내면에 대한 것을 그리게 코멘트해도 무방하다.
이 도식화는 가족관계의 역동성을 나타내주며 현재 심리적 갈등을 일으키는 주제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주의할것은 그림을 그린 사람에게 반드시 왜 그렇게 그렸는가의 설명을 들어서 분석에 도움이 되고 정확한 갈등과 억압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것이다.
어항(Fish bowl)은 "프라이버시"가 없는 상태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가족내의 역동성을 물고기라는 매개체를 통해 별저항없이 표현하게 된다.
2. 분석방법
어항의 형태에서 어항가 물고기의 조화가 적당하고 동적인 움직임이 있으며 공간이 여유롭고 물풀이 조화롭게 있으면 안정된 정서로 해석한다.
나를 중심으로 그려졌을 때, "나"의 위에 위치한 배열은 권위적이고 지배적인 상징이며 수평적이거나 아래에 위치해 있으면 친절한 관계를 나타낸다.
주어진 어항 도식외에 손잡이를 그린다거나 받침을 그리는 등의 가필은 불안 심리와 외부로부터 도움받기를 요청하는 안전에 대한 욕구로 해석된다.
주변장식을 하지않고 물고기만 그리는 경우는 인간관계에 대한 관심도나 고민을, 반대로 주변장식에 치중하면 사회화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물고기의 형태에서 물고기가 지나치게 크면 자기중심적이며 외향적인 성격, 지나치게 작으면
자아축소와 내향적인 성향을 나타낸다. 또한 중심에 모양을 넣어 화려한 물고기를 그리면 감정적이며 감각적인 면이 많음을 보여준다.
이를 드러낸 물고기의 모양은 부정적이며 억압으로 인해 정서상태가 공격적인 상태를 표현한다. 아기물고기나 임신한 엄마 물고기, 또는 새끼집을 그릴 경우에는 유아기적 퇴행과 모성회귀 욕구를 말해주고 희미하여 분명하지 않은 필압은 자신감이 결여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다가 지워진 부분에는 반드시 심리적인 원인이 숨어있는 것으로 해석해야하고 물풀이 물고기 보다 지나치게 무성하거나 자갈을 크게 그리면 숨고 싶어하는 비사회화와 열등감을 보여준다.
물 위에 떠있는 연잎이나 수련잎을 크게 그릴 때, 어항 밖으로 누성하게 뻗은 수초를 그릴때는 나서고 싶지않은 소극적인 성격으로 대인관계의 장애를 의미한다.
산소기는 의존적인 성격에서 강조하여 그리며 큰 물방울은 감정의 둔감함을 작은 기포는 타인의 태도 여하에 따라 민감한 성격을 나타낸다.
무링 어항에 가득한데도 밖으로부터 연결된 호수는 억압으로부터 분출의 욕구를 나타낸다.
물이 어항의 2/3정도를 차게 그린 모양은 정서적으로 안정된 형태이지만 절반이하는 정서적인 결핍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실시 방법
"어항에 물고기 가족을 그려보세요. 반드시 물고기가족이 무언가를 하는 그림을 그려주셔야 합니다. "
자신이 꾸미고 싶은 것이 최대한 표현 될 수 있도록 정성껏 그려주세요(집 어항이나 실물을 보고 그려서는 안됩니다)
물고기 가족화 검사.
작성요령: 어항에 물고기의 가족을 꾸며 보세요. 반드시 물고기 가족이 무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리셔야 합니다. 자신이 꾸미고 싶은 것이 최대한 표현될수 있도록 그려주세요.
1.물고기 가족화 (어항그림) 물고기 가족화는 어항을 그린 도식을 주어 그안을 자신이 꾸미고 싶은 세계로 꾸며보게 한다. ' 나 '를 포함하는 물고기의 세계를 표현 해라고 해도 무방하며 자신의 가정에 대한 비유나 마음속 내면에 대한 것을 그리게 코멘트를 해준다.
이도식화는 가족관계의 역동적, 현재의 심리적 갈등을 일으키는 주재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반드시 내담자에게 왜그렇게 그렸는지 설명을 들어서 정확한 갈등과 억압의 상태를 분석하여야 한다. 어항(FISH BOWL)은 ' 프라이버시가 없는 상태' 라는 중의적 의미를 가지므로 가족내의 역동성을 물고기라는 매개체를 통해 별 저항 없이 표현하게 된다.
2. 분석방법
- 안정된 정서 : 어항과 물고기의 조화가 적당히 하고 동적인 움직임, 공간이 여유롭고 물풀이 조화 롭게 구성.
- 나를 중심적 그렸을 때 * '나' 위에 위치배열 : 권위적 , 지배적인 상징, 가족중 비중도 표시. * 수평적이거나 아래그렸을 때 : 친절한 관계.
- 어항 손잡이나 받침 그렸을 때 : 불안심리와 외부로부터 도움받기 요청하는 안전에 대한 욕구.
- 주변장식에 치중 : 사회화에 대한 관심.
-주변장식 않고 물고기만 그렸을 때 : 인간관계에 대한 관심도나 고민.
-물고기가 지나치게 크면 : 자기중심적 외향적인 성격.
-물고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 자아축소와 내향적인 성격.
-중심에 모양을 넣고 화려한 물고기 : 감정적이며 감각적인면이 많은 성격.
-이를 드려낸 물고기 모양 : 부정적이며 억압으로 공격적인 정서상태.
-아기물고기,임신한 엄마물고기, 새끼집 그릴 때 : 유아기적 퇴행과 모성 회귀 욕구.
-희미하고 분명하지않은 필압 : 자신감 결여된 상태.
-지워진 부분 : 숨어있는 심리적인 원인 반영.
-물풀이 물고기 보다 지나치게 무성, 자갈 크게 그리면 : 숨고싶어 하는 비사회화와 열등감 반영.
-물위에 떠있는 잎 크게그릴 때, 어항밖으로 무성하게 뻗은 수초 : 나서고 싶지않은 소극적 성격으로 대인 관계의 장애.
-산소기 : 의존적인 성격 강조.
-큰 물방울 : 감정의 둔감함.
-작은 물방울 : 타인의 태도 여하에 따라 민감한 성격.
-밖으로 연결된 호스 : 억압으로 부터 분출욕구.
-물이 어항의 2/3정도 : 정서적 안정.
-물이 어항 절반 이하 : 정서적인 결핍.
# 그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담자는 내담자 그림의 설명을 들으며, 면담을 통하여 가족내에서의 관계 와 어항속 물고기의 필압 형태를 통해서 성격과 가족관계, 또래 관계와 같은 인간관계를 이해 할수있도록 노력 하여야 하며 어항속 역동의 관계와 필압을 통하여 내담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충분한 대화를 통한검사내용 및 면담일지를 작성 하여 차기 검사시 활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