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기의 공연산책 한국생활연극협회의 김상열 작 송수영 연출의 배비장전
대학로 드림시어터에서 한국생활연극협회의 김상열 작 송수영 연출의 배비장전을 관람했다.
배비장의 원전은 배비장 타령이다. 판소리 12마당 중 소실된 7마당 중 하나가 배비장전의 원전이다.
배비장 앞에 선달이라고 붙인 것은 과거시험인 문과나 무과에 급제하고 아직 벼슬하지 아니한 사람을 일컬어 선달이라 불렀기에 선달 배비장이라고 붙였다.
고종 때 신재효가 판소리 사설을 여섯 마당으로 정착시킬 때 빠져 있었다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이미 배비장 타령은 판소리로서의 생명을 잃어 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 소재가 된 근원설화는 기생과 이별 때 이빨을 빼준 소년의 이야기인 <발치설화>와, 기생을 멀리하다 어린 기생의 계교에 빠져 알몸으로 뒤주에 갇힌다는 경차관의 이야기인 <미궤설화> 2가지가 포함되었다.
절대 여색에 빠지지 않을 거라고 부모님과 부인에게 큰소리치던 배 비장이라는 인물이 제주도로 부임하는 부사를 따라가서, 마침 애랑 이라 부르는 기생에게 홀려서 앞니까지 다 빼 주는 관리를 보고 비웃는다. 배 비장은 이것을 보고 자신이 여색에 빠지나 안 빠지나 방자와 내기를 한다.
그러나 애초부터 성인군자인양 허세를 부리던 배 비장 입장에서는 이기기 힘든 내기였고, 거기에 더해 내기의 당
사자인 방자가 처음부터 애랑과 짜고, 이길 수밖에 없는 내기를 주도하면서 상관인 그를 골탕 먹인다는 내용이다.
배 비장이 위선을 떠는 모습이나, 그러한 위선을 떨다가 결국 본색을 드러내고 처참하게 망가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그 시대 관료들의 비리와 위선을 풍자한 작품이다. 특히 배 비장이 자신의 상관과 부하를 포함한 만인이 보는 가운데 알몸뚱이로 우주유영 허우적대는 마지막 장면과 그것을 변명하느라 또 허세를 떠는 그의 마지막 대사가 묘하게 호질(虎叱)과 비슷한 일면이 있다.
어느 판본에서는 후에 배비장이 이런 경험을 한 뒤에 정의현감이라는 관직에 오르면서 정사를 잘 다스렸다 전한다.
김상열(1941~1998)은 1966년 중앙대 연극영화과를 졸업. 가교를 시작으로 현대극장에서 연출활동을 벌이고, 1987년 극단 신시를 창단하여 작고 시까지 대표를 역임한 연극계의 큰 별이다. 문공부공모 희곡당선, 도의문화저작상, 백상예술대상 희곡상 연출상, 서울연극제 작품상. 연출상 등을 수상했다. 수사반장, 마당놀이, 어린이뮤지컬, 창작뮤지컬, 악극 등 다양한 장르의 개척과 발전에 선구적 역할을 했다. 사후 부인 한보경에 의해 김상열 연극상이 제정되었다.
송수영(1952~)은 극단 사하의 대표인 배우이자 상임연출이다. <쥐덫>,<엄마의 방>, <향숙이>, <나의 고백>, <신방자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그 외 다수 작품을 연출했다. 출연한 대표작으로는 <에케호모>, <바람꽃>,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우자알버트>, <인생 제2막>, <오셀>, <피그말리온>, <쥐덫> 등이 있다.
영화작품으로는 시집가는 날(1977,김응천감독), 벽 속의 두 사람(1977,이성구감독), 도솔산 최후의 날(1977,설태호감독), 개선문(1978,김응천감독), 무상(1978,이성구감독), 낮은 데로 임하소서(1981,이장호감독), 일송정 푸른 솔은(1983,이장호감독) 외 20여 편에 출연하고,
은어 (박갑종, 2010), 와이키키 브라더스 (임순례, 2001), 그렇게 김순임은 강두식을 만났다 (김한민, 1999), 일송정 푸른 솔은 (이장호, 1983), 0점하의 자식들 (김양득, 1982)에 출연해 탁월한 기량을 발휘했다. 2014년에는 한국연극배우협회 올해의 배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무대는 배경에 한 폭의 동양화 같은 풍경이 자리를 잡고, 건물의 뚫린 구멍 같은 조형물과 사각의 틀로 된 뒤주 조형물, 색색의 광목으로 파도의 형상을 연출해 내고, 병풍형태의 조형물을 세워놓았다. 하수 쪽에 타 악 연주석이 있고, 음악과 음향효과는 녹음으로 처리되고, 의상과 분장은 고풍을 답습했다.
연극 <선달 배비장>에서는 방자가 연극을 이끌어 간다. 애랑 역으 여배우가 등장해 극의 도입에 관객과의 소통을 펴고, 배비장과 애랑의 호연이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사또 또한 근엄하고 품격 있는 연기로 극의 주춧돌 역할을 하지만, <배비장전>이라기보다는 <신방자전>의 등장이다.
방자가 관객의 시선을 끌어들이고 폭소창출자 역할을 한다. 부채춤과 체조 요정이 등장해 극의 분위기를 상승시키며 갈채를 이끌어 낸다. 대단원에서 상체를 벌거벗은 자세로 수영하듯 허우적대는 배비장의 모습은 관객들도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강춘향 조성희, 이윤철 정하이, 김서이 한정애, 임현재 장덕산 등이 더불 캐스탱 되어 출연해 아마츄어이지만 열정을 다한 연기로 갈채를 받는다. 장서연 김동익 국호가 특별출연한다.
고수 국 호, 색소폰 이윤선, 라틴댄스 지민 등대 작은길 개미 제니 하영, 등이 특별출연해 역시 갈채를 받는다.
예슐감독 현천행, 제작 기획감독 반진수, 사업프로듀서 이연수, 조연출 김태라, 프로그램 심규성, 음향 김수완, 조명 김 선 등 스텝진의 열정도 드러나 한국생활연극협회(이사장 최성웅)의 김상열 작 송수연 연출의 배비장전을 한편의 폭소희극으로 창출시켰다.
박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