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실 여인들의 명칭과 지위, 그리고 왕과 주변인들의 호칭
왕실 여인들의 명칭과 지위
왕실 여인이나 특수층 여인․사대부 여인들의 지위에 관련된 것으로 내명부(內命婦)와 외명부(外命婦)가 있었다. 내명부 여인의 지위는 왕과 관련되어 그 높고 낮음이 정해졌으며, 외명부 여인도 남편의 지위에 따라 그 지위 고하가 정해졌다.
왕의 부인
정궁(正宮)은 왕의 본부인〔정비(正妃)〕를 지칭하는 말로, 왕비(王妃), 왕후(王后), 국모(國母) 등으로 불리었으며, 품계는 따로 없이 내명부를 총괄하는 최고의 위치에 있었다. 후궁(後宮)은 왕의 후처에 해당하는 여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왕의 본처에 대한 호칭은 고려시대 후(后)에서 비(妃)로 격하되었다.
중국 천자에 대한 예를 갖추기 위함이었다. 조선시대 후궁은 내명부에 따라 정1품 빈에서 종4품 숙원까지 그 호칭과 품계가 각각 정해져 비교적 엄격히 시행되었다. 즉 빈(嬪)-귀인(貴人)-소의(昭儀)-숙의(淑儀)-소용(昭容)-숙용(淑容)-소원(昭媛)-숙원(淑媛)까지가 내관(內官)으로 직무는 따로 없었다. 이들 빈 이하 숙원까지가 사실상 임금의 첩으로서 임금의 총애에 따라 그 품계가 오를 수 있었다.
빈은 조선시대 내명부의 정1품 여관으로서 후궁 가운데 가장 높은 지위에 해당하였다. 즉, 비 아래 가장 높은 여인의 지위였다. 만약 빈이 다시 비로 책봉되면 품계는 없어졌다. 또한 빈은 왕세자의 정부인(正夫人)을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빈이 거처하는 곳을 빈궁이라 하였는데, 빈궁은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이 경우, 직접 부를 때는 빈궁 마마라 하였다.
왕의 어머니
왕의 부인을 왕비라 칭하는데, 왕의 어머니는 대비(大妃), 왕의 할머니는 대왕대비(大王大妃)라 칭하였다. 다만 선왕의 부인이 세명이 동시에 살아 있을 경우, 이를 구분하기 위해 왕위를 계승한 서열에 따라 대왕대비․왕대비(王大妃)․대비로 구분하여 불렀다. 왕의 장모, 즉 왕비의 어머니는 부부인(府夫人)이라고 칭하였으며, 정1품의 품계가 주어졌다. 또 대군(大君)의 처도 부부인 이라고 칭하였다.
왕의 딸
왕의 딸을 지칭하는 용어로는 공주(公主)와 옹주(翁主)가 있다. 조선 초만 해도 제도가 미비하여 왕녀(王女)․궁주(宮主)․옹주(翁主) 등 여러 가지 명칭이 함께 사용되었으며, 왕의 후궁도 공주라 칭하였다. 그 뒤 성종 때에 문물 제도가 정리되면서 공주라는 명칭도 통일되었다. 즉, 『경국대전』「외명부」조(條)에 의하면, 왕의 정실부인이 낳은 딸을 공주라 하고, 후궁이 낳은 딸을 옹주라 하였다고 한다.
공주는 품계상 무계(無階)이며, 외명부의 가장 상위에 해당되었다. 왕비나 대비등과 마찬가지로 품계를 초월한 존재였던 것이다. 옹주는 조선시대 왕의 후궁이 낳은 딸로, 공주와 마찬가지로 품계를 초월하여 외명부에 속하였다. 또 고려시대 내명부나 외명부에게 정1품의 품계와 함께 주던 봉작의 하나이기도 하다.
궁녀
궁녀(宮女)는 나인(內人)․궁인(宮人)․궁첩(宮妾)․시녀(侍女)․궁빈(宮嬪)․궁아(宮娥)․여관(女官)․홍수(紅袖)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넓은 의미에서 궁녀는 궁궐에 거처하는 모든 여인을 뜻하는 말이지만, 역사적 측면에서 말하는 궁녀는 고려․조선시대 궁궐 안에서 대전(大殿:임금의 거처) 및 내전(內殿:왕비의 거처)을 가까이 모시던 여관을 총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조선시대 내명부의 경우, 정5품인 상궁 이하의 궁인직(宮人職) 여인을 총칭하는 말이기도 하다. 상궁 이하의 궁녀는 4품 이상의 품계에는 오르지 못하였다.
궁녀는 그 직책에 따라 계급이 나눠졌는데, 그 호칭은 직책과 관련이 있었다. 계급상 상궁․나인․애기 나인의 3종류로 크게 구분되는데, 7세 무렵에 입궁한 궁녀는 애기나인, 즉 새앙각시라 하였다. 새앙각시가 궁궐 안의 법도를 익혀 계례( 禮)를 치르면 나인이 되었다. 나인은 직책에 따라 지밀(至密)나인․침방(針房)나인․소주방(燒酒房)나인․세답방(洗踏房)나인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각기 독립된 처소에서 안살림을 맡아보았다.
상궁(尙宮)은 조선시대 내명부에 속한 정5품 여관을 지칭하는 말이다. 상궁에는 제조(提調)상궁․부(副)제조상궁․대령(待令)상궁․보모(保姆)상궁․시녀(侍女)상궁 등이 있는데, 각기 그 직책에 따른 일을 맡아보았다. 그 가운데, 제조 상궁은 가장 지체가 높고 가장 고참의 상궁으로 '큰방상궁'이라고도 하였다. 제조상궁은 내전의 어명을 받들거나, 내전의 크고 작은 살림살이를 맡아서 주관하였으며, 나인들을 총괄하였다. 왕의 은총을 받는 것 이외에 궁녀로서 가장 출세할 수 있는 게 바로 제조상궁이었다.
무수리는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나인들의 세숫물 시중을 들던 계집종을 가리키는 말로 수사(水賜)라고도 부른다. 무수리와 관련된 인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사람은 영조의 어머니인 숙빈 최씨이다. 숙빈최씨는 무수리로 궁중에서 지내다가 숙종의 은총을 입어 숙빈의 지위에까지 오른 여인이다.
궁녀는 민가(民家)의 처녀들 가운데서 엄격한 규정에 따라 뽑았는데, 궁녀로 뽑혀 궁에 들어오면 죽을 때까지 그곳에서 살아야 했다. 또한 내명부에는 엄격한 규칙이 있었는데, 그 규칙에 따라 궁녀는 왕과 환관 이외의 남자와는 접촉할 수 없었다. 즉 궁녀의 팔자는 임금에게 달렸었다. 다행이 임금의 눈에 들어 은총을 입게 되면, 본인은 물론 집안까지도 부귀와 권세를 누릴 수도 있었지만, 대다수의 궁녀는 임금의 은총을 한번도 입지 못하고, 처녀의 몸으로 그냥 늙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궁녀로 뽑히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았다.
■조선의 궁녀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조선시대에도 과연 여자의 직업이 있었을까? 철저한 유교중심의 사회에서 여자가 가질 수 있는 직업으로는 궁녀, 의녀, 기녀, 무녀가 있었다.
궁녀는 궁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여성들과 무수리, 각심이, 방자 등 품계 없이 일하는 여인들 모두를 말하는데, 종 9품에서 정5품까지의 품계를 가질 수 있어 당시 여성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보통 궁녀는 상궁이나 나인이라고 불리며 왕실의 의식주와 관계된 일을 맡았다. 가장 지위가 높은 궁녀는 '지밀'로 왕실과 왕비의 신변 보호 및 일체의 시중과 내전의 물품관리, 궁중 안 여러 기관과의 교섭을 담당했다. 이 외에 궁녀들은 왕궁에서 소요되는 의복을 만들고 수를 놓은 '침방'과 '수방' 식사를 담당하는 '소주방' 음료 및 과자를 만드는 '생과방' 빨래와 옷의 뒷손질을 하는 '세답방'등에서 일했다.
보통 궁녀는 10년 만에 한 번씩 뽑았는데 양반도 평민도 아닌 중인 계급의 여자아이 중에 4~10세 사이의 아이로, 상궁 이상의 추천을 받아야 했다. 이렇듯 궁녀는 아무나 될 수 없었기에 집안의 영광으로 삼았지만 철부지 아이를 보내는 부모들은 며칠씩 앓아 눕고 평생 맘고생을 했다. 어린아이를 뽑은 것은 일찍 데려가 궁녀로서의 교양을 쌓게 하려 함이었다. 처음 입궐한 견습나인을 '애기 항아님'이라고 불렀으며 정식 나인이 되려면 15년이나 걸렸다. 견습나인은 몸가짐이나 말하기 등 궁중 법도를 빠짐없이 배우고 언문과 천자문, 대학, 소학까지 두루 익혀야 했다. 입궁한 지 15년이 지났을 때는 일종의 성년식을 치르는데 사실상 신랑 없는 혼례의 의미를 겸해 이날 집에서 바지, 버선, 속치마 등과 음식을 장만하여 부모로서의 마지막 도리를 다했다.
한편 처녀만 궁녀가 될 수 있다는 법도 때문에 '금사미단(金絲未斷)의 판정을 받아야 비로소 입궁이 허락됐는데, 앵무새의 피를 팔목에 떨어뜨려 피가 맺히지 않고 그냥 흐르면 처녀가 아니라고 여겼다. 하지만 일단 궁에 들어오면 늙고 병들기 전까지는 궁궐 밖으로 나갈 수 없었다. 예외적인 경우는 모시던 상전이 승하할 경우 3년 상을 치르고 신주를 종묘나 사당에 모신 뒤에야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그러나 밖으로 나온다 해도 평생 수절해야 했다. 한번 궁녀가 된 여인의 삶은 온전히 궁궐 안에서 묻혀 가는 것이다. 그래서 어느 궁녀는 자신의 심정을 연못 속 물고기에 이렇게 비유하기도 했다.
"앞 연못에 사는 고기들아 누가 너희를 몰아넣었기에 살고 있느냐
넓은 바다, 맑은 연못을 어디 두고 이 연못에 살고 있느냐
들어오고 못 나가는 마음은 너와 내가 다르겠느냐"
왕과 주변인들의 호칭
■ 왕은 자기 자신을 어떻게 불렀을까?
왕이 자기 자신을 일컬을 때 사용하는 말로 짐(朕:나 짐), 고(孤:홀로 고), 과인이라는 말이 있다. 원래 짐은 중국에서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용어였고, 고는 왕후장상이 사용할 수 있는 용어였다. 그리고 과인이라는 말은 왕이 자기 자신을 낮출 때 사용하는 용어였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황제는 아니지만 중국과 대등하다는 입장에서 고(孤) 대신에 짐(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사실 고려시대에 몽고 침입 후 몽고(원)는 고려의 왕실 용어와 관제를 낮추어 충성을 표시하도록 하면서, 왕을 지칭하는 말인 짐(朕)은 고(孤)로,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각각 격하되었다.
왕의 묘호 역시 종래의 조(祖)나 종(宗)대신 왕(王)이라 하고 원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 충(忠)자를 붙이도록 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형식적으로는 중국(명)과 주종(主從)관계는 유지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대등함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조선에서 주로 사용한 용어에 짐, 조, 종 등은 중국과 대등함을 보인 용어 사용이고, 전하, 세자, 왕비(비), 왕후 등은 주종관계를 인정한 용어사용으로 보인다.
위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자칭)-스스로 부를 때
황제 - 짐
왕 - 고
과인 - 자기 자신을 낮추어 부를 때
(타칭)-남이 부를 때
황제 - 폐하
왕 - 전하
(기타)
태자 -황태자를 의미(황위를 이을 황제의 적장자)
세자 -왕세자를 의미(왕위를 이을 왕의 적장자)
황후 - 황제의 본처(황비)
왕후 - 왕의 본처(왕비)
■ 왕을 부르는 호칭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1. 태어나면
왕은 태어날 때는 이름을 갖지 않고, 왕의 적장자로 태어나면 원자(왕의 장자로서 아직 왕세자로 책봉되지 않은 사람)가 된다.
2. 자 字
관례를 행하면서 받는 호칭. 일생동안 명심해야 할 훈계 또는 축복의 내용을 담은 두 글자
3. 휘 諱(이름)
왕의 이름은 함부로 부를 수 없어서 잘못하여 글로 쓰거나 하면 큰 벌을 받았다. 금기의 글자였던만큼 조선시대 사람들은 역대 조선왕의 이름을 죽 외우고 있어야 했다. 그래야, 상소문, 과거시험, 문장 등을 쓸 때 그 글자를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당연히 잘 쓰지 않는 특이한 글자나 새로 글자를 만들어 썼다.
4. 호 號
자신이 스스로를 표시하기 위해 붙이거나 스승 또는 친구들이 붙여주는 일종의 별명.
5. 존호 尊號
왕이 훌륭한 업적을 이룩한 경우, 신료들이 왕의 업적을 찬양하기 위해 올리는 호칭.
6. 시호 諡號
○ 왕이 죽었을 때 그의 일생을 평가하고, 공덕을 기리기 위해 짓는 호칭.
- 고관 또는 공훈이 있는 사람에게 사후에 주는 존칭.
조선의 왕은 중국에서 두 글자의 시호를 받고, 미진한 경우 신료들이 네 글자의 시호를 더 올리는 경우도 많았다. 그리고, 왕후 앞에 붙는 명칭도 '시호'이다.
▷ 시호의 기원은 중국에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 법흥왕 원년(514년)에 죽은 부왕에게 '지증'이라는 시호를 올렸다는 기록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시호제도가 정비된 것은 조선시대부터이다.
시호를 정하는 절차와 방법은 매우 엄숙하고 까다롭게 진행되었다. 특히 국왕이나 왕비가 죽은 경우에는 시호도감을 설치하고 시책을 올리도록 했다. 시호에 쓰는 글자는 정해져 있었다. 조선 초기 사용하던 글자는 모두 194자였으나 글자 수의 부족으로 시호를 정하기 어려워 세종의 명에 의해 집현전에서 107자를 첨가, 그후 모두 301자를 사용했다. 그러나 자주 쓴 글자는 문 文, 정 貞, 공 恭, 정 靖, 양 良, 효 孝, 충 忠 등 120자 정도에 불과했다. 이 글자들은 모두 몇 가지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예> 문 文
온 천하를 경륜하여 다스린다 /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묻기를 좋아한다 / 도덕을 널리 들어 아는 바가 많다 / 충심으로 남을 사랑한다 / 널리 듣고 많이 본다 / 등 15가지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의미 가운데 돌아가신 분의 행적에 맞는 글자를 선택, 시호를 올리는 것이다.
7. 묘호 廟:사당 묘 號:부르짖을 호
○ 왕의 삼년상이 끝나고 신주가 종묘에 들어가면 종묘에서 그 신주를 부르는 호칭.
신료들이 왕의 일생을 평가하여 공이 많다고 여기면 '조'를 붙이고, 덕이 많다고 여기면 '종'을 붙여서 두 글자로 지었다.(이것은「예기」에 나오는 내용이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조'와 '종'에는 어떤 정해진 규칙이 없고, 신료들의 평가에 달려있는 것이다. 따라서, 아들로 내려가면 '종'이고, 아니면 '조'다 라든가, 적자이면 '종', 아니면 '조' 등등의 말은 옳은 이야기라고는 할 수 없다.
<증명 I >선조(중종의 서손, 덕흥대원군의 아들)
처음의 묘호 = 선종 -> 공보다 덕이 앞선다고 평가함.
바뀐 묘호 = 선조 ->임진왜란 때 왜구를 물리친 공이 있다는 근거로 허균과 이이첨이 주장.
<증명 II> 중종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사이의 아들)
묘호가 바뀌진 않았으나, 연산군을 몰아낸 큰 공을 인정하여 '중조'로 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음.
∴ 정해진 원칙은 없으며, 공이 있으면 '조', 덕이 있으면 '종'이라는 신료들의 평가에 달려있을 뿐이다.
8. 능호 陵號
○ 왕의 무덤을 지칭하는 호칭.
왕의 무덤을 '능'이라하여 존중했다. 능은 구릉이란 의미인데, 왕의 무덤이 구릉처럼 크고 웅장하다는 의미다.
이렇게 많은 호칭을 어떻게 표기할까? 왕의 칭호는 보통 붙여서 쓰는데, 그 순서는 보통
① 묘호 ② 중국에서 내려준 시호 ③ 존호 ④ 신료들이 올린 시호 순이다.
<예> 세조의 정식 호칭
" 세조 혜장 승천체도열문영무 지덕융공성신명예흠숙인효
① ② ③ ④
우리가 보통 태조, 세종, 성종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 길고도 긴 호칭의 맨 앞에 위치한 '묘호' 두 글자만 부르는 것이다.
그 외의 호칭으로는 -
▷ 대원군
○ 임금의 대를 이을 적자손이 없어 방계 친족이 대통을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던 벼슬. 즉 방계에서 왕위를 계승한 때에 그 왕의 생부에게 주는 칭호.
▷ 대군, 군
○ 대군 : 왕비에게서 난 아들 / 왕의 적자
○ 군 : 후궁에게서 난 아들, 그리고 대군에게서 난 아들
▷ 비, 빈
○ 비 : 왕비, 왕후, 국모 등과 같이 사용하며 왕의 본처
○ 빈 : 후궁과 같이 사용하며 왕의 후처
▷ 공주, 옹주
○ 공주 : 왕비에게서 난 딸 / 왕의 적녀(嫡女)
○ 옹주 : 후궁에게서 난 딸 / 왕의 서녀(庶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