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경산시(慶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부에 있는 시이다. 북동쪽은 영천시, 남동쪽은 청도군, 서쪽은 대구광역시 동구 및 수성구에 접한다. 1990년 이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섬유공업지역으로 성장하였고, 중산 · 정평동과 임당동 일대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연장되었다. 영남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구대학교, 경일대학교, 대구한의대학교 등 교육 기관이 많다. 갑제동에는 한국조폐공사 화폐본부가 소재하고 있어서 대한민국의 화폐인 원의 지폐와 동전이 발행된다. 진량읍에는 삼성 라이온즈의 2군 홈 구장인 경산 볼파크가 위치하고 있다. 와촌면에는 갓바위라고 불리는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가 있다. 대구광역시와 밀접한 도시라는 특성 때문에 지역 국번은 경상북도의 다른 행정 구역들과 달리 대구광역시와 공용하고 있다. 시청 소재지는 중방동이고, 행정구역은 2읍 6면 7동이다.
[편집] 역사
1995년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경산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6행정동 - 중앙동, 동부동, 서부동, 남부동, 북부동, 중방동
[편집] 지리
[편집] 지형
경산시의 전체 면적은 411.70㎢ 로써 경상북도의 중앙남부에 자리하여 금박산, 용산이 동쪽으로 우뚝 솟아 영천시와 청도군을 경계로 하고 있으며, 선의산, 구룡산은 동남으로, 환성산맥은 북으로 뻗어 영천시, 대구광역시에 접하고 있다.
하천은 동남으로 흐르는 오목천과 하도지를 기점으로 하는 남천이 북으로 흘러, 동서로 가로질러 흐르는 금호강에 합류하고 있으며 하천 연안평야 지역은 비옥한 토지와 관개시설로 농업생산기반 역할을 하고 있다.[7]
[편집] 기후
경산시는 남부 내륙 형에 속하며, 대구 특수형에 가깝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끼여있는 남부내륙형 기후지역은 분지적 특색을 나타내어 연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며, 하계 기온이 가장 높고 기온의 연교차가 큰 지역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금호강유역 분지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경산시는 한반도 연강수량에 비해 소다우지역에 속하는데, 이는 주로 지형적인 영향에서 비롯된다.
즉, 한반도 강수 대부분은 저기압성 강우인데 이 저기압은 중국 대륙 및 동지나해에서 발생하여 동쪽으로 이동해 오며, 황해와 남해에서 습한 바람이 이 저기압 중심을 향하여 유입하는 과정에서 소백산맥 서사면과 남해안 지역은 풍상 측이 되어 많은 비를 오게 하지만, 소백산맥을 넘어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벌써 많은 습기를 손실하였고 또한, 풍하 측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적어진다.
또한, 동계 북동기류 형의 기압 배치가 되었을 때도 동해를 거쳐 불어오는 습윤한 북동풍이 강릉, 속초 부근에서 상륙하게 되고 경상북도에 이르렀을 때는 태백산맥을 넘어 건조한 바람이 되기 때문에 역시 강우량이 적다.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경산시의 행정 구역입니다.
경산시의 행정 구역은 2읍 6면 7동이다. 하위 행정구역은 28법정동 225리이다. 경산시의 면적은 411.70㎢이며, 인구는 2010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91,529 세대, 247,185 명이다.[8]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행정지도 |
하양읍 |
河陽邑 |
10,414 |
28,396 |
48.6 |
 |
진량읍 |
珍良邑 |
14,710 |
41,101 |
46.2 |
와촌면 |
瓦村面 |
2,671 |
6,726 |
47.9 |
자인면 |
慈仁面 |
2,810 |
6,971 |
22.05 |
용성면 |
龍城面 |
1,754 |
3,852 |
79.4 |
남산면 |
南山面 |
1,759 |
4,148 |
38.17 |
압량면 |
押梁面 |
5,157 |
12,719 |
18.35 |
남천면 |
南川面 |
1,468 |
3,806 |
70.53 |
중앙동 |
中央洞 |
3,134 |
7,378 |
0.83 |
동부동 |
東部洞 |
11,186 |
31,015 |
18.46 |
서부1동 |
西部洞 |
13,619 |
39,326 |
5.64 |
서부2동 |
|
7,142 |
20,782 |
1.49 |
남부동 |
南部洞 |
6,396 |
17,141 |
3.74 |
북부동 |
北部洞 |
6,408 |
13,816 |
9.1 |
중방동 |
中方洞 |
2,901 |
10,008 |
1.24 |
[편집] 관광
[편집] 교육 기관
|
- 경북체육중학교
- 경산여자중학교
- 경산중학교
- 무학중학교
- 문명중학교
- 사동중학교
- 삼성현중학교
|
- 용성중학교
- 자인여자중학교
- 자인중학교
- 장산중학교
- 진량중학교
- 하양여자중학교
|
|
- 경산동부초등학교
- 경산서부초등학교
- 경산중앙초등학교
- 경산초등학교
- 계당초등학교
- 금곡초등학교
- 금락초등학교
- 남산초등학교
- 남성초등학교
- 남천초등학교
|
- 다문초등학교
- 대동초등학교
- 부림초등학교
- 사동초등학교
- 성암초등학교
- 압량초등학교
- 옥곡초등학교
- 와촌초등학교
- 용성초등학교
- 임당초등학교
|
- 자인초등학교
- 장산초등학교
- 정평초등학교
- 진량초등학교
- 진성초등학교
- 청천초등학교
- 하양초등학교
- 하주초등학교
- 현흥초등학교
|
[편집] 출신 인물
[편집] 고대
- 원효 -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인이다. 설총의 생부이며, 한국 최초의 대처승으로도 유명
- 설총 -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다. 신라 3문장 한 사람이다.
- 일연 - 삼국유사 지은 승려이다.
[편집] 현대
[편집] 역대 명단
[편집] 경산시장
이 부분의 본문은 경산시장입니다.
[편집] 경산시의 국회의원
이 부분의 본문은 경산시의 국회의원입니다.
[편집] 친선 도시
[편집] 자매 도시
[편집] 우호 도시
[편집] 주석
- ↑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년 7월 8일)
- ↑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 ↑ 경산시 조례 제226호 진량읍설치에관한조례 (1997년 10월 22일)
- ↑ 경산시 조례 제481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4년 10월 6일)
- ↑ 경산시 조례 제592호 동·리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2007년 1월 8일)
- ↑ 2010년 경산시 통계연보 2011년 7월 22일 확인
- ↑ 경산시의 행정구역, 2011년 7월 23일 확인
[편집] 바깥 고리
좌표:
35°49′N 128°44′E / 35.817°N 128.733°E / 35.817; 128.733
[보이기]
경상북도 경산시의 행정 구역 |
시청소재지: 중방동 |
 |
|
|
|
나는 경북 경산시 서상동에 살아요 ㅈㅅㅋㅋ......
오 경산이나오다니 자랑스럽군요]
제가 숙제가 있었는데 많은 도움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경산에 대해 소개 해주셔서 한번더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경산 진량읍 선화리 내 첫사랑이 살고 있는곳 경산 그 때문에 더 정겨운 곳
경산 계양동이나 사동쪽까지 그나마 발달돼있고 그이후로 평산동부터 자인 그넘어까지는 농촌이죠
경산을 소개를 하는지 몰랐네요~~경산 좋은곳이죠~~제가 지금 30년 넘게 살고 있고~ 경북내 인구 증가율도 계속 올라가고 있구요~앞으로 (구)새한 공장 자리에 중산지구라는 압축형 자족 도시인 OO힐즈가 드러설 예정입니다~65층 주상복합과 공중파 방송국 등등 곧 있으면 지하철 2호선도 개통되고 아마 5년후 대평동 일대(이편한세상 아파트 건너편)에는 상권들이 막 들어오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임당역 중심으로 역세권으로 해서..ㅋㅋ
경산 진량읍이요 ㅎㅎ 갓바위가 나왔네여
나 경산 압량 사는데 ㅋㅋㅋㅋ 경산이 이렇게 소개될 줄이야 ㅋㅋㅋㅋㅋ
하양사는데 ㅋ
와촌면사는 1人. 우리집에서 조금만 밑으로가면 갓바위올라가는길 나오고 조금만 더 내려가면 삽살개육종연구소도 나오고. 우리동네 소개임 ㅋㅋㅋㅋㅋㅋㅋ